전체뉴스
-
경제 기타
中 시장경제 이끈건 덩샤오핑의 '1978년 담화' 아니다
지방의 농가경영체가 개혁 발단 사회주의 실현을 위한 대약진운동 과정에서 수천만 명이 굶어 죽고, 문화혁명으로 경제발전이 10년 이상 후퇴했던 중국이 개혁·개방을 시작한 것은 마오쩌둥 사망 2년 후인 1978년이다. 이후 중국 경제는 급속한 성장을 이어가며 2012년 현재 국내총생산(GDP) 8조2270억달러로 세계 2위의 경제 규모로 커졌다. 중국은 21세기로 접어들 무렵부터 세계의 공장 역할을 해왔으며 글로벌 금융위기로 선진국이 극심한 경기...
-
경제 기타
(18) 인플레이션 때 돈을 버는 '미술품 경매사'
많은 국가들의 중앙은행이 목표로 하고 있는 것 중 하나는 물가 안정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한국은행법 제1조에서 '효율적인 통화신용정책의 수립과 집행을 통한 물가안정'이 한국은행의 설립 목적임을 명확하게 언급하고 있다. 물가는 다른 어떤 요인보다 국민들의 실제 생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특히 자주 문제가 되는 것은 급격한 물가의 상승이다. 경제학에서는 일반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하는데, 이...
-
경제 기타
소용돌이에 빠진 우크라이나…유고연방 전철 밟나
우크라이나 정국이 대혼란의 소용돌이에 빠졌다. 3개월째 계속된 반정부 시위로 우크라이나 경제가 붕괴하는 것은 물론 내전 끝에 여덟 개 나라로 쪼개진 유고슬라비아연방의 전철을 밟는 게 아니냐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우크라이나 야당이 주도하는 최고의회(라다)는 지난달 22일(현지시간) 빅토르 야누코비치 대통령의 권한을 박탈하고 오는 5월25일 조기 대선을 치르기로 결정했다. 의회는 또 23일 긴급회의를 열어 하루 전 의장에 새로 선출된 알렉산드...
-
커버스토리
인터넷으로 연결된 기기들…loT, 세상을 바꾼다
사물인터넷(IoT)은 모바일 혁명에 이어 지구촌의 모습을 크게 바꿔 놓을 것으로 전망된다. 기기끼리 정보를 주고받음으로써 생산·유통은 물론 사회 전반의 소통에도 큰 변화가 생길 것으로 보인다. 기업들은 이미 기술표준 선점을 위한 경쟁에 들어갔다. 표준화 선점 경쟁은 물론 기술 동맹, 인수합병(M&A)을 통해 세를 불리는 음직임을 본격화하고 있다. 하지만 성큼성큼 다가오는 사물인터넷 시대는 그림자도 있다. 무엇보다 인터넷으로 연결된 모든 ...
-
커버스토리
통신기술의 진화…4G는 속도의 혁명
사물인터넷은 통신기술이 있어야 가능하다. 유선과 무선, 무선과 유선을 자유자재로 오가는 통신망을 갖춰야 열리는 세상이 바로 사물인터넷이다. 언제 어디서든 정보를 주고받는 유비쿼터스가 바로 그것이다. 통신망이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 알아보자. G의 세상 통신기술을 알기 위해서는 G를 알아야 한다는 말이 있다. 2G, 3G, 4G 할 때 그 G다. 물론 영어의 첫 글자를 땄다. generation, 즉 세대를 뜻한다. 2세대, 3세대, 4세대 통...
-
경제 기타
사상최대 경상흑자의 이면…저성장 그림자?
지난해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700억달러를 넘어서면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역대 연간 경상수지가 500억달러를 넘어선 것은 처음으로 정부와 한국은행의 예상치를 웃도는 서프라이즈 수준이다. 최근 신흥국의 금융 위기가 증폭되는 와중에 한국의 경제 펜더멘털이 돋보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하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다른 측면도 있다. 수출 증가보다는 수입 감소가 경상수지 흑자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는 지적이다. 수출은 크게 늘지 않고 국내...
-
경제 기타
'가치투자의 귀재'가 들려주는 성공투자 5대 원칙버핏 "거품 붕괴로 모두 떠날 때 난 투자했다"
세월호 참사 당시 먼저 탈출한 승무원들로부터 외면당한 남성 조리원이 사고 발생 52일 만인 6일 싸늘한 시신으로 돌아왔다. 범정부 사고대책본부는 민·관·군 합동구조팀이 이날 오전 8시께 3층 선미 좌측 선원 침실에서 주방 조리원 김모씨(60)의 시신을 수습했다고 발표했다. 대책본부에 따르면 김씨는 사고 당시 3층 주방에서 조리원 이모씨(51·여)와 함께 돈가스를 튀기고 있었다. 갑자기 배가 기운 것을 느낀 두 사람은 탈출을 시도했으나 굴러서...
-
경제 기타
교육부, 8만4000명 조사결과…고교생 71%, 패스트푸드 즐겨
초·중학생의 키는 꾸준히 커지고 있는 반면 표준체중보다 몸무게가 더 나가 비만도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전국 초·중·고생 8만40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3년 학교건강검사 표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초등 6학년생의 키는 남학생 평균 150.9㎝, 여학생 151.2㎝로, 10년 전인 2003년 조사 때보다 각각 2.2㎝와 1.4㎝ 커졌다. 중학교 3학년의 남녀는 각각 169.0㎝와 159.5㎝로 같은 기간 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