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학습 길잡이 기타
(32) 귀한 사람은 되기 쉬우나, 좋은 사람이 되기는 어렵다
▶임오년(1702년) 젊은 나이에 급제한 도암 이제(李縡)에게 어머니 민씨 부인이 한 말로, 『도암집』'선비묘지'에 실려 있어요. 그 내용은 “너의 영달이 기쁘지 아니한 것은 아니지만 지위가 높고 귀한 사람이 되기는 쉽지만 좋은 사람이 되기는 어려운 일이다. 이것이 내가 심히 걱정하는 바이다” 중 일부랍니다. 모두 남들이 부러워하는 재력과 권세만 가지려 하지, 정작 자신이 어떤 마음을 가지고 세상을 사는지는 중요하지 않은 세상이에요. 우...
-
스도쿠 여행
(299) 스도쿠 여행
문제에 표시된 ⓐ~ⓘ에 들어갈 숫자를 생글생글i 홈페이지(sgsg.hankyung.com)에 올려주세요. 정답을 올려준 분들 중 추첨해 상품을 드립니다. ▶ 298회 스도쿠여행 정답: ⓐ-6 ⓑ-8 ⓒ-1 ⓓ-2 ⓔ-6 ⓕ-5 ⓖ-9 ⓗ-4 ⓘ-5 ★ 297회 당첨자: 박승현 김소영 박준하
-
경제·금융 상식 퀴즈
3월 3일자
1. 최근 삼성 '갤럭시S5' 등 최신 정보기술(IT) 기기가 이곳에서 공개됐다. 스페인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IT 박람회인 이것은? (1)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국제소비자가전쇼(CES) (3)국제가전박람회(IFA) (4)바젤월드 2. 세계 경제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미국 중앙은행(Fed)의 사상 첫 여성 의장 이름은? (1)벤 버냉키 (2)재닛 옐런 (3)로렌스 서머스 (4)로버트 루비니 3. 최근 증시에서 줄기세...
-
경제 기타
나라경제 건실성 보여주는 외채규모·외화 유동성
뚝 떨어진 단기외채 비중 우리나라의 총외채 중 단기외채가 차지하는 비중이 1999년 2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외채 구조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는 “작년 12월말 기준 총외채는 4166억달러로 전년말 대비 72억달러 증가했다”고 19일 밝혔다. 이중 단기외채는 1128억달러로 전년말 대비 143억달러 감소했으나, 장기외채는 3037억달러로 216억달러 증가했다. - 2월 20일 한국경제신문 ☞ 한 나라 경제가 건실한지...
-
경제 기타
월마트보다 사랑받는 코스트코, 왜? 등
때 이른 이상고온 현상에도 불구하고 빙과업체 주가는 연일 하락세다. 위닉스 하림 등 고공 행진하던 다른 여름 수혜주 역시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자 주가는 오히려 약세 반전하고 있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빙그레 주가는 지난 3일 1.11% 하락한 8만200원으로 마감, 2012년 7월16일(8만1900원) 이후 2년여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올 들어 9만~10만원대에서 오르락내리락하던 주가는 기온이 올라가기 시작한 지난달 이후 연일 뒷...
-
경제 기타
SNS 콘텐츠 무단공표와 '개인의 선택' 등
SNS 콘텐츠 무단공표와 '개인의 선택' '군중 속의 고독'이라는 표현이 잘 어울리는 현대인들에게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는 하나의 축복처럼 보인다. 공동체적 정서의 퇴색과 개인주의적 성향의 정착은 현대인들에게 '소통의 욕구'를 느끼게 해주고 있다. 이 같은 욕구는 과학의 진보로 채워지고 있다.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와 같은 '개방형 SNS'는 안성맞춤이다. 개방형 SNS는 동시에 많은 문제점을 낳았다. 미국의 한 아이는 스타워즈 장면...
-
학습 길잡이 기타
하나고 조계성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하나고 조계성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 - Bertrand's paradox (베르트랑의 역설) 1889년 프랑스의 수학자 조제프 베르트랑은 그의 저서 Calcul des probabilites (확률론)에서 접근하는 관점에 따라 1/2, 1/3, 1/4 로 제각각 서로 다른 답이 얻어지는 알쏭달쏭한 문제를 소개했다. 베르트랑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원에서 임의의 현을 생각하자. 이 현의 길이가 원에 내접하는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보다 ...
-
경제 기타
(3) 한국경제사의 흐름: 시대구분
경제사의 관점에서 한국사의 흐름은 어떻게 나눌 수 있을까? 연속적인 경제의 변화를 나누는 것은 살아 있는 생선을 토막 치는 것과 같지 않을까? 그래도 큰 고민 없이 나눌 수 있는 것은 첫 번째는 농업의 시작이며, 두 번째는 산업화(공업화)다. 농업의 시작은 식량 획득 방법이 수렵·채집에서 작물재배와 가축사육으로 바뀌기 시작한 것을 의미한다. 동물을 사냥하고 나무열매를 따거나 물고기를 잡고 조개를 주어서 먹을 것을 구하던 사람들이 곡식을 심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