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논술신문 생글생글 창간 10년…대학생 "생글로 시장경제 눈떴다"

    한국경제신문에서 발간하는 고교생 경제논술신문 ‘생글생글’이 학생들의 경제 지력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된 것으로 분석됐다. 생글생글을 읽은 학생들은 ‘작은 정부와 경쟁’을 강조하는 자유가 ‘큰 정부와 분배’를 중시하는 평등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경 경제교육연구소가 ‘생글 창간 10주년’을 맞아 벌인 ‘구글 온라인 경제의식 조사...

  • 청소년들에게 올바른 가치관 심어온 생글생글 10년

    한국경제신문이 발행하는 청소년 경제·논술신문 ‘생글생글’이 창간 10주년을 맞았다. ‘생각하기와 글쓰기’를 의미하는 생글생글은 타블로이드판 24면으로 매주 25만부를 발행하고 있다. 웬만한 종합일간지보다 부수가 많다. 전국 2100여개 고등학교 중 1200여개 고교와 150개 중학교에서 구독하고 있다. 한경과 함께 받아보는 가정독자도 7만명에 육박한다. 불모지나 다름없던 청소년 경제교육의 ...

  • 커버스토리

    생글생글 창간 10년…경제 이해력이 국력이다

    생글생글이 창간 10주년을 맞았다. 2005년 6월7일자로 제1호를 발행했으니 만 10년의 세월이 흘렀다. 생글 창간 당시 전국 단위의 학생 신문은 낯설었으나 이제 웬만한 고등학생이라면 생글을 모르는 학생이 없을 정도다. 아마 지금 20대 대부분은 적어도 한 번 이상 생글생글을 읽으며 경제를 공부했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경제신문이 생글을 만든 것은 학생들이 시장경제 원리를 제대로 이해하고 합리적인 경제인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에서다...

  • 커버스토리

    생글생글 창간 10주년 축하합니다

    황우여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청소년 경제논술신문 생글생글의 발행 10주년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생글생글’은 미소 짓는 학생들의 얼굴을 떠올리게 합니다. 밝고 행복하게 성장하는 학생들을 위해 대화와 토론의 장을 마련해 주신 ‘생글생글’ 관계자 여러분들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우리 학생들이 폭넓고 깊은 생각을 키워 나갈 수 있도록 더 많은 기회의 장을 열어 주시기 바랍니다. 박용만 대한상공...

  • 경제 기타

    생글생글에 대입 논술 비법 있었네!

    대입논술의 해법은 생글생글에 있었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이화여대 건국대 동국대 홍익대 등 최근 수년 사이 수시 논술시험을 치른 대학의 인문계 문제를 분석한 결과, 생글생글에서 다뤘던 주제와 상관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글생글을 꼼꼼하게 읽은 학생이라면 제시된 용어와 그것이 나타내고자 하는 의미를 어렵지 않게 간파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보자. 서울대 논술에서는 생글 주제가 자주 등장했다. 서울대 2011년 논제2는 저출산과 관련...

  • 커버스토리

    "하버드 합격 비결은 대학 때도 생글을 꾸준히 읽었던 것"

    “생글은 제게 꼭 필요한 상식을 보충해주는 ‘비타민’ 같은 존재였죠. 민족사관고 1학년 때부터 생글을 꾸준히 읽었고, 논리적 사고력을 키울 수 있었어요. 생글이 창간된 지 10년이라니 믿어지지 않네요. 생글을 통해 많은 것을 얻었어요. 신문을 꾸준히 읽는 습관, 소중한 동기들을요. 중·고교생뿐만 아니라 대학생이 읽어도 좋은 신문이에요. 오랜 기간 이렇게 좋은 신문을 만들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생...

  • 커버스토리

    생글 10년을 함께 한 학창시절의 꿈 '생글 기자'

    한국경제신문이 발행하는 중·고교 경제논술신문 ‘생글생글(생각하기와 글쓰기)’에서는 매년 100명의 중고생(고교생 70명, 중학생 30명)을 학생기자로 선발한다. 선발된 학생들은 여름방학 때 한경 경제교육연구소에서 진행하는 1박2일 기자교육과 글쓰기 교육을 받은 후 학생기자로 활동한다. 생글생글은 2005년 6월 생글 창간 이후 600여명의 학생기자를 배출했다. 10년의 세월만큼 선후배의 끈끈한 네트워크도 생글...

  • 커버스토리

    경제·논술 결합한 첫 고교신문…1년여만에 25만부로 '급성장'

    한국경제신문이 만드는 생글생글(생각하기와 글쓰기)이 6월7일로 창간 10년을 맞았다. 생글생글은 창간 이후 외형적 성장도 눈부셨지만 발행이 거듭될수록 내용 또한 더욱 알차게 채워졌다. 생글생글의 인기는 구독하는 학교 수에서 확연히 드러난다. 현재 1200여개 고등학교, 150여개 중학교를 비롯 전국의 주요 도서관에서 생글생글을 구독한다. 전국 인문계 고등학교 2100여곳 중 절반이 훨씬 넘는 학교가 생글생글을 경제와 논술공부에 활용하고 있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