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생글생글
-
치명적인 바이러스의 진화
제861호 생글생글은 치명적인 바이러스의 진화를 커버스토리 주제로 다뤘다. 최근 코로나19 감염자가 다시 급증하고 원숭이두창으로 알려진 엠폭스(MPOX) 바이러스 환자가 늘어나는 등 감염병이 확산하고 있다. 감염병이 일상화한 시대라는 진단도 나온다. 감염병 일상화 시대의 사회·경제적 의미를 살펴봤다. 시사이슈 찬반토론에선 올림픽 메달리스트에게 주어지는 병역과 연금 혜택이 적절한지 따져봤다. 대입 전략에선 수험생 2016명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2025학년도 수시 지원 성향을 분석했다.
-
한국 경제 60년 성장사
제859호 생글생글은 ‘한국 경제 60년의 기적’을 커버스토리 주제로 다뤘다. 지금으로부터 60년 전인 1964년 한국 수출은 1억달러에 불과했다. 이후 60년간 한국 경제 발전사는 한 편의 드라마와 같았다. 한국 경제의 기적과 같은 성장을 가능하게 한 원동력은 무엇이었는지 살펴봤다. 한국경제신문이 창간 60주년을 맞아 지난 1일부터 진행 중인 ‘희망과 기적의 순간들’ 버스 사진전도 소개했다. 대입 전략에선 2025학년도 수시전형 선발 규모와 지역별·계열별 예상 합격선을 분석했다.
-
인구 위기, 어떻게 대응할까?
제857호 생글생글은 인구 위기 문제를 커버스토리 주제로 다뤘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19일 ‘인구 국가비상사태’를 선언하는 등 저출산이 촉발한 인구 위기를 경고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노동력 부족과 지방 소멸 등 인구 감소가 몰고 올 변화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미래 세대의 관점에서 살펴봤다. 시사 이슈 찬반 토론에선 정부의 전기·가스요금 인상 억제에 대한 찬반 의견을 정리했다. 대입 전략에선 6월 모의평가를 바탕으로 전국 의과대학과 서울권 대학 예상 합격선을 분석했다.
-
중앙은행 무용론 왜 나오나
제856호 생글생글 커버스토리 주제는 ‘중앙은행 무용론’이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금리 인하와 관련해 오락가락하는 행보를 보여 혼란을 주고 있다. Fed가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혼란만 초래하면서 중앙은행 무용론까지 나오고 있다. 중앙은행의 역할은 무엇이며 중앙은행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할 때 경제에 어떤 악영향을 미치는지 정리했다. 시사 이슈 찬반 토론에선 서울 광화문광장 국기 게양대 설치에 대한 찬반 주장을 살펴봤다. 대입 전략 코너에선 6월 모의고사를 분석했다.
-
디지털 단두대와 캔슬 컬처
제853호 생글생글은 ‘디지털 단두대와 캔슬 컬처’를 커버스토리 주제로 다뤘다. 소셜미디어에서 자기 의견에 반대되는 사람의 계정을 차단하거나 팔로우를 취소하는 ‘디지털 단두대’와 ‘캔슬 컬처’가 확산하고 있다. 이런 움직임이 토론을 위축시키고 표현의 자유를 가로막을 위험은 없는지 살펴봤다. 대입 전략에선 6월 모의평가 이후 대응 전략을 정리했다. 올해 6월 모평은 예년보다 까다롭게 출제된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따라 영역별 등급 커트라인이 어떻게 달라질 것으로 예상되는지 분석했다.
-
최저임금제의 민낯
제851호 생글생글 커버스토리 주제는 최저임금이다. 최저임금제는 근로자의 최저 소득을 보장하기 위한 취지로 헌법에 규정돼 있다. 그러나 지난 몇 년간 최저임금이 급격히 올라 경제에 갖가지 부작용을 일으켰다. 최저임금 결정 방식 등 제도 자체를 손봐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최저임금은 어떻게 결정되며 최저임금 인상은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다각도로 따져봤다. 대입 전략 코너에선 반도체공학과 등 취업 연계 계약학과의 모집 규모와 선발 방식을 분석했다.
-
질주하는 인도 경제
제849호 생글생글 커버스토리 주제는 인도 경제의 현재와 미래다. 세계 최대 인구 대국 인도가 내년 국내총생산(GDP)에서 일본을 제치고 4위에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2027년엔 독일까지 추월해 세계 3위 경제 대국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는 배경은 무엇인지, 경제 성장을 가로막을 위험 요소는 없는지 살펴봤다. 대입 전략에서는 주요 대학의 정시모집 수능 영역별 반영 비중을 분석했다. 시사 이슈 찬반 토론에서는 실업급여 반복 수급 문제를 다뤘다.
-
대세가 된 구독경제
제847호 생글생글 커버스토리 주제는 구독 경제다. 구독 경제는 소비자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정기적으로 일정한 요금을 내고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구독 경제의 범위는 e커머스, 음악·동영상, 가전제품, 자동차에 이르기까지 넓고 다양하다. 최근 시장 지배력이 큰 사업자가 구독료를 큰 폭으로 올리는 ‘구독플레이션’이 논란을 낳고 있다. 대입 전략에선 육군·해군·공군·국군간호사관학교와 경찰대 입시 전형을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