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松茂柏悅 (송무백열)
▶한자풀이松: 소나무 송 茂: 무성할 무 柏: 측백나무·잣나무 백 悅: 기쁠 열소나무의 무성함을 측백나무가 기뻐함벗이 잘되는 것을 즐거워함을 이르는 말- <탄서부(歎逝賦)>“소나무가 무성하면 잣나무가 기뻐하고 혜초가 불에 타면 난초가 슬퍼한다(松茂柏悅 蕙焚蘭悲).”삼국을 통일한 진나라의 육기(陸機)가 지은 <탄서부(歎逝賦)>에 나오는 구절이다. 백(柏)을 잣나무로 번역하기도 하는데, 원래는 측백나무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뒤에 잣나무와 혼동되면서 측백나무보다 잣나무로 쓰는 경우가 많다. 혜(蕙)는 난초의 한 종류다.소나무와 잣나무는 겨울이 되어도 푸른 빛을 잃지 않아 예부터 선비의 꼿꼿한 지조와 기상의 상징으로 함께 어울러 쓰였다. 송백지조(松柏之操, 송백의 푸른 빛처럼 변하지 않는 지조), 송백지무(松柏之茂, 언제나 푸른 송백처럼 오래도록 영화를 누림) 등이 그 예다. 조선 후기 서화가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歲寒圖)는 날씨가 추워진 후에도 푸름을 잃지 않는 소나무의 지조와 기상을 그린 것이다. 또한 소나무와 잣나무는 사시사철 푸르면서도 모습 또한 비슷하게 생겨 흔히 가까운 벗을 일컫는 데도 사용한다.송무백열(松茂柏悅)은 ‘소나무가 무성하면 잣나무가 기뻐한다’는 뜻으로, 벗이 잘되는 것을 함께 즐거워함을 이르는 말이다. ‘혜초가 불에 타면 난초가 슬퍼한다(蕙焚蘭悲)’는 구절과 자주 함께 쓰인다.“울 때는 함께 울고 웃을 때는 혼자 웃는다”는 말이 있다. 남의 기쁨을 나의 즐거움으로 받아들이는 게 무척 어렵다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타인의 잘됨을 기뻐하는 것은 사람됨의 근본이자 바람직한 인간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異路同歸 (이로동귀)
▶ 한자풀이 異: 다를 이 路: 길 로 同: 같을 동 歸: 돌아갈 귀길은 다르지만 돌아가는 곳은 같다방법과 과정은 달라도 지향점은 같음 - <회남자(淮南子)><회남자>는 전한 시대 유안(劉安)이 전국의 빈객과 방술가를 모아서 편찬한 일종의 백과사전으로, <여씨춘추>와 함께 제자백가 중 잡가(雜家)의 대표작이다. 잡가는 춘추전국시대 제가(諸家)의 설(說)을 종합해 만든 학설이나 그 학설을 따르던 학파를 이른다. <회남자> 본경훈 편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세상이 어지러우니 도(道)를 품고 덕(德)을 지니고 무궁한 지혜를 가지고도 입을 닫고 말을 참다 죽는 이들이 많다. 그런데 세상 사람들은 말을 함부로 하지 않으려는 그들을 이해하지 못한다. 말로 표현할 수 있는 도는 도가 아니며 문자로 설명할 수 있는 명(名)은 명이 아니다. 죽간과 비단에 쓰이고 금석(金石)에 새겨져 후대인에게 전해지는 것들은 모두 완전한 것이 아니다. 오제삼왕(五帝三王)의 일화는 모두 다르나 중요한 뜻은 같고, 길은 서로 다르나 귀결점은 모두 한 곳이다(異路同歸). 근세에 학문을 배우는 사람들은 혼연일체의 도와 집약적이고 정묘한 덕을 모르고서 지나간 자취만 가지고 한자리에 모여 앉아 이야기하고 북을 두드리고 노래하며 찬양한다. 스스로 박학다식하다고 칭하지만 어리석음을 면할 수 없다. <시경>에 이르기를 ‘감히 맨손으로 범을 잡지 못하고 감히 도보로 황하(黃河)를 건너지 못하네. 세상 사람들은 하나만 알고 그 다른 일은 알지 못하네’라고 하였으니, 바로 이 박학하다 자칭하는 무리를 이르는 말이다.‘삼황오제(三皇五帝)’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先甲後甲 (선갑후갑)
▶ 한자풀이先: 먼저 선 甲: 갑옷 갑 後: 뒤 후 甲: 갑옷 갑법 제정을 신중히 검토한다는 뜻으로일 처리에 사려가 깊고 추구함이 넓음 -<주역>갑(甲)은 법령을 새로 만드는 것을 뜻한다. 그러니 선갑후갑(先甲後甲)은 법 제정의 전후를 이른다. 이는 선갑삼일(先甲三一) 후갑삼일(後甲三一)을 줄인 것으로, 새로운 법령을 제정하기에 앞서 3일 동안 신중하게 생각하고 만든 후에도 3일 동안 다시 검토한다는 뜻이다. 일을 처리하는 데 사려가 깊고 추구함이 넓음을 이르는 말이다. ’선경후경(先庚後庚)‘으로도 쓰며, 원전은 <주역>이다.<성종실록>에도 사헌부 대사헌 이세좌 등이 왕에게 상소하는 내용이 전해온다.“<주역>의 고괘에 이르기를 ‘선갑삼일 후갑삼일’이라 하였고 손괘의 구오에 이르기를 ‘선경삼일(先庚三日) 후경삼일(後庚三日)’이라고 하였으니, 성인이 정교를 제작할 적에 그 선후를 잘 생각하여 폐단을 구제하고 행할 만한 도가 되면 명령을 발하여 시행하고, 그 변경하는 것을 잘 헤아려서 뒤에 이롭고 오래 행할 만한 방법으로 삼았으니 지극하다고 하겠습니다. 만약 한 사람의 말로써 오늘에 한 가지 법을 세웠다가 한 사람의 말로써 내일 한 가지 법을 허물어뜨리면 성인이 말씀하신 ‘선갑후갑 선경후경’의 뜻이 아닙니다.”법은 나라를 세우는 기둥이다. 기둥이 곧고 단단해야 나라가 바로 선다. 법을 만드는 것은 생선을 굽는 것과 같다고 했다. 지나치게 뒤집으면 살점이 모두 떨어져나가고 가시만 남는다. 신중하게 제정하고 제정된 법은 쉬이 바꿔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이에 비해 조령모개(朝令暮改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免而無恥 (면이무치)
▶한자풀이免: 면할 면 而: 어조사 이 無: 없을 무 恥: 부끄러울 치법을 어기거나 잘못을 저지르고도부끄러워하거나 반성하지 않음 -<논어><논어> 위정편(爲政篇)은 주로 통치자의 덕목을 적고 있는데, 여기에 공자의 이런 말이 나온다.“법제로 다스리고 형벌로 질서를 유지하려 한다면 백성들이 형벌을 면하는 것을 수치라고 생각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덕으로 다스리고 예로 질서를 유지한다면 잘못을 수치로 알고 바르게 될 것이다(道之以政 齊之以刑 民免而無恥 道之以德 齊之以禮 有恥且格).”이는 법치(法治)보다 덕치(德治)와 예교(禮敎)를 내세우는 유가(儒家)의 통치 원리를 그대로 보여주는 말이다. 한비자의 주장처럼 법을 엄하게 시행하면 나라의 질서는 유지될 수 있다. 하지만 법이나 형벌이 지나치게 엄하면 백성들은 자신의 잘못을 수치로 여기기보다 형벌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자신의 잘못을 숨기려 들 것이다. 중국 천하를 통일한 진시황이 가혹한 형벌로 질서를 잡은 것이 대표적 예다. 그러나 법보다 덕으로 인도하고 윗사람 스스로가 모범을 보인다면 백성들이 자신의 잘못을 깨닫는 즉시 부끄러움을 느껴 고치려 할 것이라는 뜻이다. 참고로 정나라 재상 자산은 몸소 모범을 보이며 상하간 간극을 줄이고 백성의 생활을 안정시키는 정책으로 5년 만에 나라 질서를 잡았고, 공자는 노나라에 봉직할 때 덕으로 다스려 3개월 만에 질서를 되찾았다고 한다. 도불습유(道不拾遺)는 길에 물건이 떨어져 있어도 주워 가지 않을 정도로 나라를 잘 다스리고 있음을 비유하는 말이다.면이무치(免而無恥)는 법을 어기거나 잘못을 저지르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以暴易暴 (이포역포)
▶ 한자풀이以: 써 이 暴: 사나울 포 易: 바꿀 역 暴: 사나울 포폭력을 폭력으로 다스리다힘에 의지하는 정치를 이름 -<사기(史記)>이포역포(以暴易暴)는 ‘폭력으로 폭력을 다스린다’는 뜻으로, 나라를 힘에 의지해 통치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이와 관련한 고사가 <사기> 백이숙제열전 편에 나온다.백이와 숙제는 고죽국(孤竹國)의 왕자였는데, 왕은 아우 숙제로 하여금 자신의 뒤를 잇게 했다. 그러나 왕이 죽자 숙제는 형 백이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백이는 아버지의 명을 따라야 한다고 나라를 떠났고, 숙제 또한 그 뒤를 따라갔다. 이때 백이와 숙제는 서백(西伯) 창(昌)이 노인을 잘 봉양한다는 소문을 듣고 그를 찾아가 의지하고자 했지만 그는 이미 죽어 문왕(文王)에 추존되었고, 그의 아들 무왕(武王)이 아버지의 위패를 수레에 싣고 은(殷)나라의 주왕(紂王)을 정벌하고자 했다. 백이와 숙제가 무왕의 말고삐를 잡고 간(諫)했다.“부친의 장례도 치르지 않고 바로 전쟁을 일으키는 것을 효(孝)라 할 수 있는가. 신하된 자로서 군주를 시해하려는 것을 인(仁)이라고 할 수 있는가.”무왕의 호위 무사들이 백이와 숙제를 죽이려 했으나 왕은 이들을 의인이라고 하며 돌려보내게 했다.무왕이 은을 평정해 천하가 주(周) 왕실을 종주로 섬겼으나, 백이와 숙제는 그 백성이 되는 것을 치욕으로 여겼다. 지조를 지켜 주나라의 양식을 먹으려 하지 않고, 수양산에 들어가 고사리로 배를 채웠다. 그들은 굶주려 죽기 전에 이런 노래를 지었다.“저 서산에 올라 산중의 고비나 꺾자구나. 포악한 것으로 포악한 것을 다스렸으니(以暴易暴), 그 잘못을 알지 못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自勝者强 (자승자강)
▶ 한자풀이 自: 스스로 자 勝: 이길 승 者: 사람 자 强: 굳셀 강자신을 이기는 사람이 진정 강하다스스로와의 싸움이 가장 어렵다는 뜻- <도덕경>자신을 알고 만족할 줄 알라는 경구로 채워진 <도덕경> 제33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남을 아는 자는 지혜롭다고 하지만 자기를 아는 자야말로 진정으로 밝은 것이다(知人者智, 自知者明). 남을 이기는 자는 힘이 있다고 하지만 자신을 이기는 자야말로 진정으로 강한 자다(勝人者有力, 自勝者强). 만족할 줄 아는 자는 부유하고 행함을 관철하는 자는 뜻이 있다(知足者富, 强行者有志). 그 자리를 잃지 않는 자라야 오래가고 죽어도 잊혀지지 않는 자라야 오래 산다고 할 것이다(不失其所者久, 死而不亡者壽).”여기서 나오는 자승자강((自勝者强)은 ‘자신을 이기는 사람이 진정으로 강한 사람’이란 뜻으로 자승가강((自勝家强)으로도 쓴다.<도덕경> 제33장은 남을 아는 것보다 자기를 아는 것, 남을 이기는 것보다 자신을 이기는 것이 더 중요하고 어렵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또 사람은 만족하고 실천할 줄 알아야 하고, 죽은 뒤에도 좋은 기억으로 잊혀지지 않는 자가 진정으로 장수하는 자라고 일러준다.공자의 극기복례(克己復禮)는 자신을 이기고(克己) 예로 돌아간다(復禮)는 뜻으로, 유가 사상의 골자를 압축한 말이다. 자신을 이기려면 먼저 자신을 알아야 한다. 손자는 병법에서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고 했고, 소크라테스도 “너 자신을 알라”고 했다. 모두 자기를 아는 것(自知)이 그만큼 어렵다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자신을 극복하는 것(克己)과 자
-
越俎代庖 (월조대포)
▶한자풀이越: 넘을 월 俎: 제기 조 代: 대신할 대 庖: 부엌 포제사를 담당하는 사람이 음식을 만들다직분을 벗어난 주제넘은 참견을 이르는 말 -<장자>태평성대를 누린 요(堯)나라에 허유(許由)라는 덕이 높은 은자가 있었다. 요임금이 허유의 소문을 듣고 그에게 왕위를 물려주고자 했다.“태양이 떴으니 등불은 이제 필요없게 됐소. 부디 나를 대신하여 이 나라를 다스려주시오.”하지만 허유는 임금의 청을 정중히 거절했다.“임금께서 잘 다스리고 계시는데 제가 대신할 필요는 없습니다. 할미새가 제 아무리 양껏 배부르게 먹는다 하더라도 기껏해야 그 작은 배만 채우면 됩니다. 제겐 천하가 아무 쓸모도 없고 흥미도 없습니다. 요리가 서툴다고 제사를 주재하는 사람이 그 직분을 넘어서 부엌일에 뛰어들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폐하의 직무를 제가 대신할 수는 없습니다. 설사 대신하더라도 나라가 잘 다스려질 리가 없습니다.”허유는 이렇게 말하고 곧바로 깊은 산속으로 들어가버린 후에 다시는 나오려고 하지 않았다. <장자> 소요유 편에 나오는 이야기다.여기서 유래한 월조대포(越俎代)는 ‘제사를 담당하는 사람이 음식을 만드는 일을 맡다’는 뜻으로, 자신의 직분을 벗어난 주제넘은 참견을 이르는 말이다.요임금과 허유의 이야기는 노자의 사상을 철학으로 완성한 장자 사상의 일면을 잘 나타낸다. 최고 권력은 세상의 모든 것을 가질 수 있는 수단이니 권력을 탐하는 자들이 이를 단박에 거절하기란 쉽지 않다. 허유는 세상에는 다 걸맞은 직분이 있음을 깨우쳐준다.<논어>에도 비슷한 얘기가 나온다. 공자가 종묘에서 제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爲淵驅魚 (위연구어)
▶한자풀이爲: 할 위 淵: 못 연 驅: 몰 구 魚: 고기 어물고기를 깊은 못으로 몰아주다자신을 위해 한 일이 되레 해가 됨 - <맹자>위연구어(爲淵驅魚)는 ‘물고기를 깊은 못으로 몰아준다’는 뜻으로, 자기 편으로 만들 수 있는 것을 되레 다른 사람 쪽으로 몰아줌을 이르는 말이다. 자신을 위해 한 일이 오히려 자신에게 손해가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의미로 쓰이며, <맹자> 이루상 ‘위연구어장‘에 나오는 말에서 유래한다.맹자가 말했다.“천하를 얻는 데는 방법이 있으니, 백성들을 얻으면 곧 천하를 얻게 된다. 백성들을 얻는 데는 방법이 있으니, 백성들의 마음을 얻으면 곧 백성들을 얻게 된다. 백성들의 마음을 얻는 데는 방법이 있으니, 백성들이 원하는 것은 모아 주고 싫어하는 것은 베풀지 않으면 그뿐이다. 백성들이 어진 데로 향하는 것은 물이 아래로 흘러가고, 짐승이 들판으로 달려가는 것과 같다. 그런 까닭에 물고기를 못으로 몰아넣는 것은 수달이요(故爲淵驅魚者 獺也), 참새를 울창한 숲으로 몰아넣는 것은 송골매이며, 은나라 탕(湯)왕과 주나라 무왕(武王)에게 백성을 몰아준 것은 걸왕(桀王)과 주(紂)이다.”위연구어(爲淵驅魚)는 위의 글 ‘고위연구어자 달야’에서 따온 것이다. 참새를 숲으로 몰아준다는 위총구작(爲叢驅雀)도 위연구어와 뜻이 같다. 걸왕과 주는 주지육림에 빠져 결국 백성들을 다른 나라에 넘겨준 인물이다. 자신을 위해 한 일이 남을 위해 한 일이 되었다는 뜻의 속담인 “남의 다리 긁는다”와 “남의 다리에 행전 친다”도 의미가 서로 맞닿는다. 기껏 한 일이 결국 남 좋은 일이 됨을 이르는 말이다.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