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기후변화 위기, 청소년에겐 현실이다

    “머지않은 장래에 지구 공동체는 거대한 유기체처럼 움직이는 사회가 될 것 같다. 그렇지 않으면 조화롭지 않아 깨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전하진 SDX재단 이사장과 한승수 유엔총회 의장협의회 의장 등 14명이 함께 출판한 <ESGG 이제 지구와 공감할 때>란 책에 나오는 구절이다. 지구가 하나의 유기체라는 얘기는 들어본 적 있지만, 지구촌 각국이 이를 현실로 받아들이고 노력해야 할 때가 됐다는 점에서 신선한 느낌을 받았다.이 책은 기후위기에 대한 접근법에서 새로운 프레임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지구적 윤리관(ethical)과 지속 가능한(sustainable) 발전을 통해 지구적 선(global good)을 추구하는 프레임워크인 ESGG(Ethical Sustainable Global Good)가 그것이다. 이 프레임 속에서 지속 가능한 인류의 발전과 삶의 터전인 지구 보존에 힘쓰자는 것이다. 또한 이 책에서는 일관성 있는 주장과 더불어 기후위기 대응 방안을 제시한다. 단순히 기후위기에 대한 문제 해결에 그치지 않고, 이런 위기에 대응하는 인간의 마음가짐과 인류 전체의 방향성에 대해서도 주목한다. 기후변화에 대한 위기의식과 책임감을 우리 모두 한 사람 한 사람이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그렇다. 과거 많이 언급되던 지구 평균기온 ‘1.5℃ 상승 데드라인’은 이미 물 건너간 지 오래다. 인류의 보전과 발전에 가장 중요한 터전인 지구는 심각하게 병들고 있다. 그 원인을 제공한 당사자도 결국 우리 자신이고, 해결해야 할 주체도 바로 우리다. 특히 미래 주역인 청소년들이 중요하다. 한 번쯤 읽어보고 토론해볼 만한 책을 만나서 기쁘다.이도윤 생글기자(세인트폴대치아카데미 11학년)

  • 과학과 놀자

    2050년 인천 해수면 4cm↑…폭풍해일 등 위험

    빙하가 빠르게 녹아내리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20년 전 연평균 5~6m씩 녹던 빙하가 현재는 25m씩 녹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빙하의 용융 가속화 여파에 북극 생태계와 그린란드의 원주민들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북극해에 서식하는 동물의 개체 수는 줄어들어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그린란드에 살며 4000년 넘게 고수해 온 이누이트족의 생활방식은 뒤흔들리고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20년 안에는 한국 해안도 빙하 용융의 피해를 볼 것으로 예측된다.북극과 남극 같은 극지방에는 얼음이 녹지 않고 거대한 덩어리로 존재한다. 이 얼음덩어리는 크게 바닷물이 언 해빙과, 민물이 언 빙하로 나뉜다. 기온이 낮은 극지방에서는 녹지 않고 쌓인 눈이 융해와 동결 과정을 반복하며 공기, 수분과 함께 눈층을 만든다. 계속해서 쌓이는 눈의 무게로 눈 결정이 압축되면서 단단한 얼음층이 형성되는데, 이것이 바로 빙하다.이때 빙하가 깨져 물에 떠다니는 얼음덩어리를 ‘빙산’이라 하고, 영토를 5만㎢ 이상 덮은 빙하를 ‘빙상(대륙빙하)’이라고 한다. 대륙빙하는 남극대륙과 북극에 위치한 그린란드에만 존재하며, 그린란드 대륙의 약 80%는 빙상으로 덮여 있다.그런데 기후변화로 단단한 빙하가 녹아내리고 있다. 동시에 북극 생태계는 처절하게 무너지고 있다. 얼음이 줄어들자 좁은 얼음 위에 바다코끼리 여러 마리가 몰리며 압사당하는 일이 발생했다. 얼음 사이의 거리가 멀어 헤엄치다 지쳐 익사한 북극곰도 있다. 심지어 기후변화로 북극해 남쪽에 서식하던 갈색곰이 영역을 확장하면서 북극곰과 먹이경쟁까지 벌이고 있다.비극은 인간에게도 찾아왔다. 가장 큰 피해자는 그린란드 거주자

  • 생글기자

    Time to take actions for climate change

    Climate change is a serious issue that everyone knows well. However, South Korea ranks last among 60 countries in climate goals at the 27th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limate Change Convention. While national responses and policies are crucial, individual efforts are vital.There are several ways individuals can contribute: Firstly, conserve energy and use sustainable transportation. A 2020 report by the International Energy Agency revealed that public electricity and heat production contribute 32%, and transportation contributes 14% to greenhouse gas emissions. By reducing these greenhouse gas emissions, we can protect and preserve our Earth.Next, pursue an eco-friendly lifestyle. Recycling and minimizing plastic usage is essential. This not only protects the ocean environment but also ensures no adverse effects on human life.Then, keep an eye on the government’s environmental policies and speak out your opinions. It’s about ensuring that local communities and governments are implementing apt policies for the environment.Christine Lagarde, director of the European Central Bank, said, “Climate change is everybody’s responsibility.” It is time for us to take actions for the environment.지서영 생글기자(가평중 3학년)

  • 과학과 놀자

    기후변화로 불에 잘타는 초목 번성한데다 강풍까지

    지난 8월 8일 하와이주 마우이섬에서 초대형 산불이 발생했다. 마우이 산불로 하와이에서 총 8.78㎢의 면적이 소실된 것으로 추정되며, 마우이섬 도시의 80%가 파괴됐다. 인명 피해도 커서 사망자는 100명 이상, 실종자는 1000명 이상으로 집계됐다. ‘지상낙원’으로 꼽히던 하와이 섬에 왜 이런 대형 산불이 일어난 걸까. 과학자들은 어떤 근거로, 어떤 원인들을 주목하고 있을까. 가장 먼저 꼽히는 원인은 ‘기후변화’다. 기후변화로 인해 하와이 지역에 건조한 상태가 이어졌고, 산불의 규모가 커졌다는 지적이다. 2015년 하와이대와 콜로라도대 공동연구팀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1990년 이후 하와이의 강우량은 우기에는 31%, 건기에는 6% 줄어들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산불이 나기 직전 2주 사이에 하와이 지역은 비정상적으로 건조한 상태가 빠르게 전파됐다. 게다가 허리케인 ‘도라’로 인해 강풍까지 불었다. 보통 여름 하와이에 부는 바람의 최고 시속은 64km 정도인데, 당시에는 최고 시속 108km의 바람이 불었다. 강한 바람과 건조한 기후, 작은 불씨만 있다면 불이 금세 번지기 쉬운 최적의 환경이 만들어졌던 것이다. 달라진 생태계도 산불을 키운 원인으로 꼽힌다. 과거 마우이섬 주민들이 들여온 당밀풀, 키쿠유풀, 수크령 등의 외래종은 사탕수수 농장이 있던 땅을 장악했다. 이전에는 대규모 농장이었지만 사탕수수 산업이 쇠퇴하면서 빈 땅이 되었고, 오랫동안 방치되면서 외래종이 점점 영역을 넓혀갔다. 미국 애리조나주립대의 분석에 따르면 외래종 초목이 하와이 섬의 4분의 1을 덮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이 외래종들이 마우이 토착 식물보다 가연성이 강한 특징을 지녔다는 점

  • 테샛 공부합시다

    세계적 물부족 위기…물관리 산업 키워야

    사진 속 건물을 보시죠. 멕시코는 지난 3월부터 폭염에 따른 가뭄으로 저수지와 강물이 말라가고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16세기 지어진 사진 속 건물도 저수지가 만들어진 이후 60년 만에 처음으로 완전한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전문가들은 폭염의 원인 중 하나로 기후변화를 언급하고 있죠. 엘니뇨와 애그플레이션지난 6월은 때 이른 폭염이 세계를 뒤엎었다고 할 만큼 뜨거웠습니다. 멕시코는 최고 기온이 45도, 미국 텍사스 지역은 48도를 기록했다고 하니 폭염의 정도를 가늠할 수 있죠. 열사병, 가뭄, 어류 폐사 등의 피해도 발생했습니다. 게다가 이를 더 자극할 ‘엘니뇨’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엘니뇨란 적도 지역 태평양 동쪽의 해수면 온도가 장기 평균보다 0.5도 이상 높아지는 현상으로, 폭염과 가뭄, 집중호우 등의 기후변화를 동반합니다. 이는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줄까요? 엘니뇨가 발생하면 브라질에는 강수량이 줄어들고 가뭄이 심해집니다. 커피 최대 생산국인 브라질의 원두 생산량은 감소하고 원두 가격이 상승합니다. 2016년에도 엘니뇨가 발생하자 원두 가격이 치솟았습니다. 원두만이 아닙니다. 설탕의 재료인 원당과 쌀, 밀, 옥수수, 콩 등의 다양한 작물도 폭염과 가뭄으로 생산량이 줄고 가격이 오르죠. 이에 따라 기업의 생산비용은 늘어나고 각종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는 ‘애그플레이션’이 발생하지요. 우리가 사 먹는 각종 먹거리의 가격이 오른다는 말입니다. 21세기는 물의 시대물에 잠겨 있던 건물이 60년 만에 모습을 드러낸 사진을 보면 항상 풍성할 것 같은 물이 부족해질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합니다. 지구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물이지만, 대부분이 바닷물입니

  • 과학과 놀자

    100년만의 급변 현상…해수면 60m 높아질수도

    최근 몇 년 동안 우리는 TV 뉴스나 인터넷 기사, SNS 등의 다양한 경로를 통해 지구상 곳곳에서 일어나는 기상이변을 접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 발생한 홍수와 가뭄, 폭우와 폭설, 폭염과 한파 등의 기상이변에는 '관측 사상 최초' '역대급' '최악의' '기록 갱신'과 같은 표현이 붙으면서, 안타깝게도 이들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으로 기후변화를 지목한다.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1988년 설립된 이후 5~7년을 주기로 기후변화의 과학적 근거와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IPCC 평가보고서(AR)를 발간해왔다. 현재는 제6차 평가보고서(AR6) 작성 주기(2015~2022년)로, 그중에서 기후변화의 과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하는 제1실무그룹의 보고서에 의하면 최근 변화의 규모와 다양한 측면으로 본 현재 상태는 수백 년에서 수천 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전례 없는 수준이다.이 같은 기후 시스템의 변화는 지구온난화에 의한 것으로, 이것을 일으킨 원인이 인간의 영향 때문이라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산업혁명기 이후 인간 활동에 의해 배출된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등의 온실가스(GHG)는 지구 온도를 꾸준히 증가시켜왔고, 현재 추정되는 지구 평균 온도의 증가량은 산업화 이전 대비 1.07도에 달한다.지구 평균 온도가 약 1도 올라갔다는 사실은 단순히 ‘지구가 조금 더워졌다’를 의미하지 않는다. 기상이변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기 전과 비교할 때 더 극단적이고 파괴적인 양상을 드러내고 있다. 해수면도 최대 60m나 높아질 수 있다. 지금처럼 화석연료를 남용하는 상태가 계속되고, 전문가들이 티핑포인트(돌이킬 수 없는 순간을 의미)로 단언

  • 생글기자

    때아닌 봄꽃 개화…따뜻한 겨울의 원인은?

    겨울의 초입인 11월 하순에 봄꽃인 개나리와 장미가 피었다고 한다. 얼마 전 학교 화단에서도 철쭉이 핀 것을 볼 수 있었다. 개나리는 3월, 철쭉은 4월, 장미는 5월부터 개화하는 봄꽃이다. 예년과 다른 11월 이상고온 현상이 나타나면서 봄에 피어야 할 꽃들이 늦가을에 꽃망울을 틔운 것이다.11월 서울의 평균 최고기온은 15.4도로 기상 관측 이래 가장 높았다. 낮 최고기온이 20도를 넘긴 지역도 많았다. 북극의 차가운 공기가 남하하지 못하고 머물러 있는 ‘양의 북극 진동’ 현상이 11월 이상고온의 원인으로 꼽힌다.이상고온 현상은 여러 가지 연쇄 작용을 불러온다. 11월 개화한 꽃은 이내 추위가 찾아오면서 얼어붙거나 시들어 제때 수분을 할 수 없다. 또 월동 중이던 벌들이 이상고온에 활동을 시작했다가 급격한 기온 변화로 집단 폐사할 수도 있다.양의 북극 진동과 반대되는 음의 북극 진동 현상도 급작스러운 기온 변화를 일으킨다. 음의 북극 진동은 한파를 몰고 온다. 11월 말부터 12월 초까지 기온이 10도가량 급격히 내려간 현상이 음의 북극 진동으로 발생했다.이상고온과 급격한 한파가 반복되는 현상의 근저에는 기후변화가 있다. 지난달 이집트에서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가 열렸지만, 석유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 사용 감축에 대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 실효성 있는 방안을 내놓지 않으면 기후변화는 더욱 심각한 문제로 다가올 것이다.여채원 생글기자(용인외대부고 1학년)

  • 과학과 놀자

    기후변화가 보내는 경고, 6차 대멸종 오나?

    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선생님들의 과학 이야기 (14) 지구상에 있는 여러 생물종이 한꺼번에 사라지는 것을 대멸종이라고 한다. 46억 년에 이르는 지구 역사에서 모두 다섯 번의 대멸종이 있었다. 다섯 차례 대멸종 중에서도 규모가 가장 컸던 것은 고생대 말에 일어난 3차 대멸종이다. 가장 유력한 원인은 화산 폭발인데, 당시 지구 생물종의 95% 이상이 사라졌다.중생대 백악기 말의 공룡 멸종은 5차 대멸종과 함께 발생했다. 과거 다섯 번의 대멸종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현상은 산소 농도 감소, 화산 폭발이나 지각 변동으로 인한 이산화탄소와 수증기 대량 발생, 육지 식물 또는 바닷속 식물성 플랑크톤의 멸종, 지구 온난화 또는 냉각화 등이다.과학자들은 6차 대멸종이 이미 시작됐다고 보고 있다. 최근 지구촌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는 급작스러운 폭설과 폭우, 한파와 폭염, 산불과 화산 폭발 등이 앞선 다섯 차례 대멸종 때 공통적으로 나타났던 현상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더욱 걱정되는 점은 인간이 사용한 화석연료로 인해 발생하는 온실가스가 지구 온도를 급격히 상승시켜 앞선 대멸종보다 더 빠른 속도로 생물종의 위기를 불러오고 있다는 점이다. 인간은 화석연료를 엄청난 속도로 태워 없앨 뿐만 아니라 고기를 얻기 위해 산과 숲을 밀어내고 가축 사육지를 늘리고 있다.이 때문에 많은 생물종이 서식지를 잃고 있다. 1만 년 전 지구상 척추동물 중에는 야생 동물이 99.9%, 인간과 가축이 0.1%였지만 지금 야생 동물은 3%에 불과하고, 인간이 32%, 가축이 65%라고 한다.80억 명에 이르는 세계 인구가 다른 생물의 서식지를 빼앗고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어 생물 멸종 속도가 5차 대멸종 때보다 114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