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논술답안 작성의 핵심 원리는 '의사소통'이다

    수리논술을 처음 시작하는 학생들이 처음으로 논술 답안을 작성하면서 부딪히는 난관은 ‘답안을 어떻게 써야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일 것이다. 여기에는 답안을 어느 정도의 분량으로 써내야 할지, 또 풀이 과정에서 무엇을 쓰고 무엇을 생략할지에 대한 고민이 모두 들어 있을 것이다. 결론부터 얘기하면 수리논술 답안 작성에 어떤 원칙이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답안을 어떻게 써야 할 것인지에 대한 모든 판단 기준은 학생과 ...

  • 생글기자

    개발도상국 근로자·생산자 돕는 공정무역

    한국인은 하루평균 한 잔의 커피를 마신다. 우리가 마시는 커피의 원산지는 아프리카와 중남미다. 그런데 정작 커피를 재배하는 농민들은 많은 돈을 벌지 못한다고 한다. 커피값이 비싸다고 하지만 커피 농민에게 돌아가는 몫은 커피 한 잔 가격의 0.5%에 불과하다. 초콜릿도 커피와 사정이 비슷하다. 초콜릿 원료인 카카오 농장에서 일하는 아프리카 아이들의 3분의 2는 학교도 다니지 못하고 일을 한다. 겨우 12~13세 아이들이다. 커피와 초콜릿뿐만 아...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그림자금융

    [문제] 이것은 은행과 비슷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은행과 달리 엄격한 규제를 받지 않는 금융권을 통칭한다. 중국에서 이것의 규모가 커지며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이 위협받을 수 있다는 전문가의 진단도 있었다. 이것을 뜻하는 용어는? ① 브리지론 ② 그림자금융 ③ 디레버리지 ④ 메자닌금융 ⑤ 프로젝트 파이낸싱 [해설] 그림자금융이란 투자은행, 헤지펀드, 사모펀드, 구조화 투자회사(SIV) 등과 같이 은행과 비슷한 역할을 하면서도 이와 관련...

  • 경제 기타

    스마트폰으로 본 분업·무역의 원리

    초·중생용 경제·논술신문인 ‘주니어 생글생글’은 이번 주 커버 스토리로 스마트폰 생산 과정을 통해 본 분업과 무역의 원리를 다뤘습니다. 스마트폰의 각 부품이 어떻게 모여 우리가 매일 쓰는 스마트폰으로 탄생하는지 알아봅니다. 이 밖에 치과 의사 가운을 벗고 스타트업계 신화를 쓴 이승건 비바리퍼블리카(토스) 대표의 스토리도 다룹니다.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식물과 대화하는 외계인, 신기한 상상 펼쳐진다

    소설은 ‘작가의 상상력 또는 사실에 바탕을 두고 주로 허구로 이야기를 꾸며나간 산문체의 문학 양식’을 뜻한다. 소설을 딱 한 단어로 축약하라면 ‘허구’보다는 ‘상상력’ 쪽일 것이다. 《나인》은 상상력의 ‘끝판왕’이라고 할 만한 소설이다. 주인공 나인은 외계인의 후손이지만 한국의 고등학생으로 현재와 미래라는 독특한 이름의 친구들과 진한 우정을 나누며 지낸다. ...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영수증도 없는 비공개 예산, 특수활동비 존치할 이유 있나

    정부가 지출하는 예산에 특수활동비라는 게 있다. 공정하고 투명하게 쓰여야 할 나랏돈 가운데 영수증 없이 현금으로 쓸 수 있는 비공개 예산이다. ‘대통령 부인 옷 비용 의혹’이 적지 않은 논란거리가 된 가운데 특활비 예산이 관심사로 부각됐다. 청와대의 특활비가 옷 구입비로 쓰였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관련 지출 내역을 공개하라는 여론의 압박도 가중되고 있다. 청와대는 특활비에서 지출이 없었다고 해명하는 한편, 다른 쪽에서는 &...

  • 키워드 시사경제

    기업이 재무제표를 제대로 작성했는지 회계사가 검증

    국내 증시에 상장된 기업 가운데 42곳이 상장폐지 위기에 놓였다. 한국거래소가 12월 결산 상장사의 지난해 사업보고서 제출을 마감한 결과 유가증권시장에서 4개, 코스닥시장에서 38개 업체가 비적정 감사의견을 받아 상장폐지 대상에 올랐다. 이들 기업이 이의를 제기하고 개선할 기회를 얻으면 퇴출을 면할 수도 있지만, 상장폐지가 확정되는 경우도 적지 않을 전망이다. ‘적정’ 의견 못 받으면 증시에서 퇴출될 수도 감사의견(au...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큰일, [크닐]과 [큰닐]에 담긴 발음의 세계

    지난 3월 대통령선거를 치러 올해 큰일 하나를 마쳤다. 하지만 그게 다가 아니다. 곧이어 지방선거라는 또 다른 큰일을 앞두고 있다. ㉠“그는 큰일을 맡길 만큼 믿음직하다.” ㉡“아드님 장가보냈으니 큰일 하나 치르셨습니다.” ‘큰일’은 일상에서 흔히 쓰는 말이지만, 어법적으로는 간단치 않다. 형태는 같지만 두 예문에서 쓰인 ‘큰일’은 서로 의미가 다르다. 발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