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수리논술을 처음 시작하는 학생들이 처음으로 논술 답안을 작성하면서 부딪히는 난관은 ‘답안을 어떻게 써야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일 것이다. 여기에는 답안을 어느 정도의 분량으로 써내야 할지, 또 풀이 과정에서 무엇을 쓰고 무엇을 생략할지에 대한 고민이 모두 들어 있을 것이다. 결론부터 얘기하면 수리논술 답안 작성에 어떤 원칙이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답안을 어떻게 써야 할 것인지에 대한 모든 판단 기준은 학생과 출제자 또는 학생과 채점자 간 ‘의사소통이 얼마나 원활하게 이루어졌는가’에 대한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본문 문항의 답안 작성 사례를 통해 이 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자.
![[2026학년도 논술길잡이] 히스토그램 등 중등 통계 연계과정 미리 점검을](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069729.3.jpg)
![[2026학년도 논술길잡이] '만능도구' 평균값정리 등 교과서 기본정리 숙지를](https://img.hankyung.com/photo/202509/AA.41853149.3.jpg)
![[2026학년도 논술길잡이] 귀납 추론, 주요 공식 적용…다양한 접근법 찾아야](https://img.hankyung.com/photo/202509/AA.41692022.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