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꾸준함의 심리학…끝까지 하면 길이 보인다

    미지의 세계를 잘 헤쳐나가고 싶은데 누군가가 현명하게 안내해주면 좋겠다. 그런 바람을 가진 사람에게 《지치지 않는 힘》은 멋진 길을 안내하는 책이다. 독서를 즐기는 사람이라면 20여 권의 책을 낸 밀리언셀러 작가 이민규 교수를 모를 리 없다. 100만 권 넘게 팔린 《끌리는 사람은 1%가 다르다》 외에 여러 권이 베스트셀러에 올랐는데, 《지치지 않는 힘》을 선택한 이유는 저자의 마음을 듬뿍 담은 인생 이정표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저자는 201...

  • 생글기자

    동해안 산불 피해 키운 고온건조한 바람 '양간지풍'

    지난달 경북 울진과 강원 삼척 일대에서 큰 산불이 발생해 막대한 피해를 남겼다. 당시 산불은 무려 열흘 가까이 지속돼 2만5000㏊에 달하는 산림을 태웠다. 서울시 면적의 40%가 넘는 큰 규모다. 직간접적인 재산상 피해도 수천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주민 7000여 명이 대피하는 소동이 일었다. 동해안 산불이 여느 산불보다 더욱 빠르게 번지면서 큰 피해를 준 원인은 무엇일까. 크게 두 가지를 들 ...

  • 대학 생글이 통신

    전공적합성에 매달리기보다 학교생활을 충실하게

    수시를 준비하는 학생이라면 “학생부 종합전형에서는 전공 적합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자신의 진로를 확실히 정하고 그에 맞는 활동으로 생활기록부를 채워나가야 한다”는 말은 한 번쯤 들어봤을 것입니다. 저는 이 부분에 대해 고민이 많았습니다. 꿈이 확실하고, 생활기록부만 읽어봐도 자신이 희망하는 전공에 대한 사랑이 느껴지는 친구들을 보면서 열등감을 느끼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대학교 입시를 마친 지금 시점에서 생각해보면 불필요한 고...

  • 시사 이슈 찬반토론

    佛 국민배우가 선택한 안락사, 국내서도 허용될 수 있나

    유명한 프랑스 국민 배우 알랭 들롱이 최근 국내에서도 다시 뉴스메이커가 됐다. 이번엔 영화나 문화 얘기가 아니다. 인간 최후의 단계, 죽음에 대한 그의 선택이 그를 기억하는 옛 팬들에게 전해진 메시지였다. ‘세기의 미남’이라는 들롱이 안락사를 결심했다는 것이다. 프랑스와 스위스 이중 국적자인 그는 현재 스위스에서 노년을 보내고 있다. 1935년생인 그는 자신이 세상을 떠날 순간을 결정하면 임종을 지켜봐달라고 아들에게 부탁했...

  • 대입전략

    15곳 5098명 선발…고려대·서강대 등 수능최저 요구…학생부 100%로 뽑는 학교, 내신 합격선은 1등급대

    올해 주요 15개 대학에서 수시 학생부교과전형 선발 인원은 총 5098명에 이른다. 서울대를 제외하고 14개 대학에서 학생부교과전형을 운영한다. 내신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이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 하지만 상당수 대학이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요구하고 있어 수능 성적도 중요하다. 사실상 ‘내신+수능’전형으로 불린다. 올해 주요 15개 대학의 학생부교과전형에 대해 정리해본다. 학생부교과전형은 내신 성적 반영 비중이 대학에 따라 ...

  • 커버스토리

    커피 수입 연 1조 시대, 한국인의 '커피 칸타타'

    우리나라는 김밥 천국? 아닙니다. 커피 천국? 맞습니다. 대한민국은 커피 공화국입니다. 커피 전문점이 없는 길을 찾기 어려울 정도로 많습니다. 편의점, 패스트푸드점, PC방보다 커피 전문점이 더 많다고 합니다. 여러분이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커피 향에 빠지기 시작하면, ‘커피 공화국’은 지금보다 더 커질지도 모릅니다. 아침을 깨우기 위해 에스프레소 한 잔, 친구와 만나서 카페라테 한 잔, 책을 읽으면서 카푸치노 한 잔, 폭...

  • 대학 생글이 통신

    어둡고 조용한 곳에서 꿀잠…공부 효율 높이는 법

    수면은 수험생활 중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휴식입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수면의 질과 시간은 일의 능률부터 신체 리듬, 건강까지 우리가 생활을 이어나가는 데 지대한 영향을 끼칩니다. 공부를 잘하기 위해서도 수면 시간을 잘 활용해야 하죠. 우리는 어떻게 잘 자고 잘 일어날 수 있을까요. 인간은 빛에 반응하도록 진화해왔습니다. 수렵과 채집으로 생존해나가던 아주 먼 옛날의 생활 방식이 아직도 유전자에 새겨져 있는 것이죠. 해가 떠야만 맹수가 ...

  • 생글기자

    SNS 사진 보정유무 표기, 외모지상주의 해결책일까

    최근 영국 의회에서 SNS에 신체 사진을 올릴 때 보정 유무를 의무적으로 표기해야 한다는 내용의 법안이 발의됐다. 신체 사진을 앱 등을 이용해 보정했다면 그 사실을 알려야 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SNS에 올라오는 신체 사진이 미(美)에 대한 고정관념을 형성해 여러 가지 부작용을 일으키고 있다는 게 이런 법안이 나온 배경이다. 그중에서도 광고 모델 등의 몸매가 더 예뻐 보이도록 하기 위해 보정한 사진이 많아진 게 문제라는 것이다. 법안을 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