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피식민지'가 말이 안되는 이유
“피식민지인 팔레스타인 사람들에게도 왜곡된 다양한 정서가 스며 있다.”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전쟁에 세계인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다양한 진단과 전망이 쏟아져 나온다. 예문도 그중 한 대목이다. 평범한 문장 같지만 주목해야 할 표현이 있다. ‘피식민지’가 그것이다. 주권 잃은 나라는 ‘식민지’가 바른말 이 말이 자꾸 걸린다. 학교에서 ‘식민지’라는 단어를 배...
-
대입전략
지난해 정시 정원보다 3만7081명(49%) 더 뽑아
지난해 전국 대학이 수시에서 뽑지 못해 정시로 넘긴 인원은 총 3만7081명에 달했다. 정시에서 처음 뽑기로 한 인원보다 3만7000여 명을 더 뽑았다는 것이다. 대학별 수시이월은 많게는 1000명 규모까지 발생한다. 최종 정시 지원전략 점검 과정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소 중 하나다. 정시 원서 접수 직전 발표할 올해 수시이월과 함께 지난해 수시이월 규모도 함께 참고하기를 권한다. 2023학년도 전국 대학의 수시이월 규모를 분석해본다. 수...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인간은 생각하는 갈대"…'사유의 힘' 강조한 사색집
1662년 3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블레즈 파스칼에게 가장 어울리는 단어는 단연 ‘천재’다. 12세에 유클리드기하학의 32번 명제를 증명했으며, 몇 년 뒤 파스칼 정리를 담은 수학 논문 ‘원추곡선론’을 발표했으니 당연한 찬사다. 근대 확률이론의 기초를 세운 천재 수학자, 자동차나 비행기 기술에 꼭 필요한 ‘파스칼의 원리’를 발견한 물리학자, 후대에 큰 영향을 미친 철학자 파스...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2월 25일 (827)
1. 소비자들이 넷플릭스 같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를 선택하면서 케이블TV, IPTV 등 기존 유료 방송을 해지하는 현상은? ① 체리피킹 ② 빈지워칭 ③ 코드커팅 ④ 쇼트커버링 2. 다음 중 기업이 자금 조달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① CP ② CB ③ ABS ④ IFRS 3. 과도한 고금리 대출로 폭리를 취하지 못하도록 법으로 정한 대출금리 상한선을 뜻하는 말은? ① 기준금리 ② 법정최고금리 ③ 콜금...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博而不精 (박이부정)
▶한자풀이 博: 넓을 박 而: 말이을 이 不: 아닐 부 精: 정교할 정 널리 알지만 자세하지는 못하다 여러 방면으로 알지만 정통하지는 못함 - <후한서> 마융(馬融)은 후한(後漢) 때의 학자로 <시(詩)> <서(書)> <역(易)> <논어(論語)> <효경(孝經)> <노자(老子)> <회남자(淮南子)> 등의 경전을 쉽게 풀이한 글을 남겼다. <후...
-
생글기자
연구개발 강화해 과학기술인 '꿈' 키워줘야
경기과학고 등 전국 8개 영재학교 학생들이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정부의 연구개발(R&D) 예산 삭감과 관련한 공동성명문을 발표했다. 학생들은 R&D 예산 감소가 연구개발 활력 저하, 이공계 기피 현상 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며 관련 예산안 수정과 정부의 소통 노력을 촉구했다. 지난 20일 여야가 정부 R&D 예산안을 6000억원 증액키로 합의했지만, 그래도 올해보다 15% 적은 금액이다. 학생들의 이공계...
-
생글기자
인공지능 만능주의를 경계할 때다
인공지능(AI)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고 있다. 활용 범위도 공장의 생산 라인 관리부터 의료 분야의 복잡한 데이터 분석과 질병 진단까지 무궁무진하다. 하지만 이에 대한 환호가 인간의 모든 역할을 AI가 대신할 수 있다는 ‘인공지능 만능주의’로 흐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AI 만능주의는 크게 세 가지 문제를 일으킨다. 첫째, 사람들이 AI의 한계를 인지하지 못하게 만든다. AI는 학습 데이터를 기초로 정형화된 패턴을 인...
-
역사 기타
합스부르크 유일한 여왕…'전쟁 천재'를 이기다
한국전쟁 때 머리 위로 굉음을 내면서 날아가는 ‘쌕쌕이’ 전투기를 보며 어른들은 한마디씩 했다. “아따, 그래도 사위 나라라고 신경 좀 썼구먼.” 민도(民度)가 다소 저조하다 보니 당시 전투기를 보낸 나라인 오스트레일리아와 영부인 프란체스카의 나라 오스트리아를 혼동해 벌어진 에피소드다. 지금도 오스트리아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여전히 낮다. 한때 유럽의 5대 강국이었다고 하면 놀라는 사람까지 있을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