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비교는 대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규명하는 과정

    이번에 다룰 유형은 비교입니다. 비교는 사전에서 정의하듯, 둘 이상의 대상을 견주어 공통점과 차이점 등을 규명하는 사고-작업입니다. 비교를 공부할 때는 이 개념을 잘 이해해야 합니다. 비교에 대해 소위 ‘기준’이라는 것을 기계적으로 잡아 수행하는 일이라고 배우게 되면, 첫발부터 잘못 들어서서 교정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정석적으로 생각해보겠습니다. 비교는 상대와의 대립적 성격을 범주화하는 사유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습니다....

  • 테샛 공부합시다

    드러난 '그림자 금융'…중국 경기침체 심화하나

    ○그림자금융(Shadow Banking System)= 은행과 비슷한 역할을 하면서도 중앙은행의 규제와 감독을 받지 않는 금융회사로, 고수익-고위험 채권을 사고파는 과정에서 새로운 유동성을 창출한다. 하지만 은행 대출을 통해 돈이 도는 일반적인 금융시장과 달리 투자 대상의 구조가 복잡해 손익이 투명하게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림자라는 별칭이 붙었다. 최근 중국의 경제 위기 요인에도 그림자금융이 존재한다. 공식 통계에 잡히지 않아 감독 사각...

  • 생글기자

    문해력 낮은 청소년…콘텐츠 강국 멀어진다

    코로나19 사태로 장기간 비대면 수업이 진행되면서 청소년의 문해력이 급격히 나빠졌다고 한다. 글자보다는 영상, 기성세대보다는 또래와의 인터넷 소통에 익숙한 청소년들이 “수업 내용이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라며 머리를 절레절레 흔드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영어 시간에 한글 단어의 뜻을 이해하지 못해 수업 진도를 나가지 못한다거나, 뜻을 오인해 과제 제출 기한을 맞추지 못하는 등의 문제도 학교에서 쏟아진다. 교육부 등의 국...

  • 과학과 놀자

    온난화로 얼음층 녹아 수만 년 전 바이러스 퍼질 수도

    "지구온난화 시대는 끝났다. 끓는 지구(global boiling)의 시대가 도래했다." 지난 7월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이 이 같은 경고의 메시지를 던졌다. 세계기상기구(WMO)가 "올해 7월이 역사상 가장 더운 달이었다"는 분석을 발표한 뒤였다. 실제로 세계 곳곳에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가 나타나고, 생태계 또한 바뀌고 있다. 최근 그 변화가 가장 눈에 띄는 곳이 ‘영구동토층&r...

  • 생글기자

    중국 내 이민족 인권침해, 우리도 관심 가져야

    중국 정부가 티베트 아동 100만 명 이상을 강제로 동화교육을 시켰다며 중국 당국자의 미국 입국을 제한하겠다고 미국 국무장관이 최근 밝혔다. 티베트의 젊은 세대로부터 고유의 언어·문화·종교 전통을 말살하려는 중국의 억압정책에 제동을 걸겠다는 얘기다. 이는 중국 신장 위구르족의 강제 노동과 인권탄압을 문제 삼은 미국이 초기 제재 조치를 발동할 때를 연상시킨다. 중국은 위구르인들이 테러리즘과 극단주의에 빠졌다며 이들에 대...

  • 생글기자

    국제중학교에 대한 오해와 진실, 바로 봐주길

    내가 다니는 대원국제중학교의 2023학년도 입시 경쟁률이 20 대 1을 넘었다. 선발형 고교 입시에 유리한 국제중학교에 진학하고 싶어 하는 학생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자연스러운 선택을 인정하지 않고 국제중학교의 존재가 많은 부작용을 낳는다며 폐지를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다. 과연 그럴까. 이런 사람들은 국제중이 사교육을 부추긴다고 주장한다. 국제중학교 정기 시험의 70~80%가 영어로 출제되고, 영어와 수학은 성적순으로 분반해 수업...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화재보험

    [문제] 화재보험에 가입하면 화재 예방을 소홀히 하는 도덕적 해이가 나타나기 쉽다. 이런 현상의 원인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① 피구세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② 생산자원의 분배가 불공평한 탓이다. ③ 화재보험이 독과점 시장이기 때문이다. ④ 거래 참여자 간 정보가 비대칭인 까닭이다. ⑤ 상품 공급에서 공급 충격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해설] 도덕적 해이는 감추어진 행동의 상황에서 어떤 계약이나 거래가 이루어진 이후 정보를 가진 ...

  • 경제 기타

    중앙은행은 왜 2% 물가 목표에 집착할까

    세계 주요 중앙은행이 2%인 인플레이션 목표치를 현행대로 유지하기로 했다. 과도한 긴축으로 성장 잠재력을 해칠 수 있으니 인플레이션 목표치를 상향 조정해야 한다는 요구를 일축한 것이다. 인플레이션 목표치를 올리면 고(高)물가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판단이 반영됐다. - 2023년 8월 28일 자 한국경제신문 - 이는 미국 중앙은행(Fed), 유럽중앙은행(ECB) 등 세계 주요 중앙은행들이 물가상승률 2%를 넘는 선에서는 금리인상 등 긴축 기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