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부정적 징후

    [문제] 국가 신인도가 하락하는 부정적 징후를 <보기>에서 모두 고른다면? < 보 기 > ㄱ. 외국환평형기금채권의 가산금리가 상승했다. ㄴ.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이 상승했다. ㄷ. 국제신용평가사가 평가한 국가신용등급이 상승했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해설]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은 국내 통화의 대외 가치 안정을 위해 정부가 조성한 외국환평형기금의 재원을...

  • 테샛 공부합시다

    착한 의도 정부개입이 오히려 부작용 일으켜

    17세기 프랑스의 중상주의 정책을 이끈 재무장관 장 바티스트 콜베르는 상인들을 모아놓고 질문을 했습니다. “국가가 상인들의 사업을 더 잘 도와주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있는지요?” 그러자 상인들은 “레세페르(laissez faire)!”라고 한마디만 했다고 합니다. 미국도 시행했던 극단적인 정부개입 레세페르는 ‘그냥 내버려두면 된다’는 의미입니다. 당시 프랑스는 부국강병을 위해 ...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같은 생각은 '='로, 다른 생각은 '⇔'로 표시하며 읽자

    시블리에 따르면 미적 속성은 감상자가 미적 감수성을 발휘해야 지각할 수 있는 속성이고, 비미적 속성은 시각과 청각 등의 지각 능력을 발휘하면 충분히 지각할 수 있는 속성이다. 미적 수반이란 한 작품의 미적 속성이 그 작품의 비미적 속성에 의존하는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즉 미적 수반론은 비미적 속성의 차이 없이는 미적 속성의 차이도 없다고 본다. 미적 수반론은 미적 판단의 정당화 문제에 대해 미적 실재론자들에게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 교양 기타

    생업(生業)이 직업(職業)보다 숭고한 이유 [고두현의 아침 시편]

    생업 윤효 종로6가 횡단보도 원단두루마리를 가득 실은 오토바이들이 숨을 고르고 있었다. 신호총이 울렸다. 장애물을 요리조리 헤치며 동대문시장 안 저마다의 결승선을 향해 순식간에 사라졌다. 좀처럼 등위를 매길 수 없었다. 모두 1등이었다. * 윤효: 1956년 충남 논산 출생. 1984년 '현대문학'으로 등단. 시집 <물결> <얼음새꽃> <햇살방석> <참말> <배꼽...

  • 숫자로 읽는 세상

    인천서 출생한 아이에게 18세까지 1억…인천시 인구대책 파격, 출산율 높일까

    인천시가 인천에서 태어나는 모든 아이에게 18세까지 총 1억 원을 지원한다. 성인이 될 때까지 각종 수당과 함께 교육비, 보육료, 급식비, 의료비, 교통비 등 필수적인 비용을 대부분 인천시가 감당하겠다는 것이다. 지방자치단체마다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각종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1억 원’을 내건 곳은 인천시가 전국 최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18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1억 플...

  • 시사 이슈 찬반토론

    고위험 성범죄자 거주제한 '한국형 제시카법' 타당한가

    고위험 성폭력 범죄자의 거주지를 제한하는 법 제정이 추진 중이다. 이른바 ‘한국형 제시카법’이다. 미국의 제시카법은 2005년 플로리다주에서 성범죄자에게 강간 살해된 피해자 제시카 런스퍼드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이 법은 12세 미만 아동을 상대로 성범죄를 저지를 경우 최저 징역 25년에 처하고, 출소 후에도 평생 위치추적장치를 부착하도록 해 학교나 공원에서 일정 거리 안에 거주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최악의 범죄자에 대한...

  • 대학 생글이 통신

    수시 노린다면 일반고도 비교과 포기 말아야

    안녕하세요. 저는 이번 2024학년도 대입 수시에서 고려대학교 경영학과에 합격했습니다. 원하던 학교였고, 전형적인 학교장추천으로 합격했기 때문에 관련 내용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우선, 고려대 학교장추천전형에서 내신 성적은 전체 점수의 80%를 차지하는 아주 중요한 부분입니다. 저의 내신 성적으로는 고려대에 들어갈 수 없는 것이란 압박을 많이 받으며, 1학년 2학기와 3학년 1학기에 성적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제 경우처럼 원하는 대학에 합격할...

  • 대학 생글이 통신

    경제학·경영학 차이 알고 상경계 지원하자

    상경계열에 진학하고 싶어 하는 학생들이 많이 하는 질문이 있습니다. 경제학과 경영학의 차이입니다. 저는 이 두 분야가 굉장히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먼저, 누구의 시선에서 바라보는가입니다. 경제 주체는 크게 가계, 기업, 정부입니다. 경제학은 이 세 주체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반면, 경영학은 기업인의 관점에서 기업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법을 찾습니다. 사람과 사회가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파악하더라도 경제학은 학술적인 성격이, 경영학은 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