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博而不精 (박이부정)
▶한자풀이
博: 넓을 박
而: 말이을 이
不: 아닐 부
精: 정교할 정


널리 알지만 자세하지는 못하다
여러 방면으로 알지만 정통하지는 못함
- <후한서>

마융(馬融)은 후한(後漢) 때의 학자로 <시(詩)> <서(書)> <역(易)> <논어(論語)> <효경(孝經)> <노자(老子)> <회남자(淮南子)> 등의 경전을 쉽게 풀이한 글을 남겼다. <후한서> ‘마융전’에는 마융이 공자가 편찬한 역사서로 전해지는 <춘추>의 대표적 주석서 중 하나인 <춘추좌씨전>에 주석을 붙이려다가 전대 경학자였던 가규(賈逵)와 정중(鄭衆)의 글을 평한 글이 나온다. 그 내용은 이렇다.

“가 선생은 정밀하나 두루 알지 못하고, 정 선생은 두루 아나 정밀하지 못하니, 정밀하면서 박식한 것으로는 누가 나보다 낫겠는가(賈君精而不博 鄭君博而不精精博 吾何加焉).”

자못 자신의 학식을 드러내는 말인데, 마융은 후에 <좌씨전>뿐만 아니라 <곡량전(穀梁傳)> <공양전(公羊傳)>을 포함한 삼전(三傳) 모두를 비교 분석한 <춘추삼전이동설(春秋三傳異同說)>을 지었다고 한다.

박이부정(博而不精)은 여기저기 두루 관심이 있고 아는 게 많지만 앎에 깊이가 없는 것을 말한다. 두루 아는 사람은 한 가지를 제대로 알지 못한다는 박자부지(博者不知)도 뜻이 비슷하다. 깊이 알지만 두루 알지는 못한다는 정이불박(精而不博)은 뜻이 반대다. 박대정심(博大精深)은 아는 것이 크고 자세하고 깊은, 완벽한 학식을 가리킨다. 현재의 교육제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학위를 이르는 박사(博士)는 ‘넓게 아는 선비’라는 의미다. 천학비재(淺學菲才)는 학문이 얕고 재주가 보잘것없음을 뜻하며, 흔히 자신의 학문을 낮추어 이르는 말로 쓰인다.

작가/시인
'인문 고사성어' 저자
작가/시인 '인문 고사성어' 저자
앎은 세상을 보는 망원경이자 현미경이다. 널리 보고 자세히 보려면 앎이 넓고 깊어야 한다. 배우고 익힌다는 것은 광대한 세상으로 가는 앎의 디딤돌을 하나둘씩 놓아가는 일이다. 앎과 생각이 깊으면 좋은 글도 절로 써진다. 게으름에 피우지 말고 앎을 크고 깊게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