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키워드 시사경제

    美 기업들 '다양성 정책' 지우기 나섰다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운영하는 세계 최대 소셜미디어 기업 메타가 다양성을 장려하는 정책을 폐기하기로 했다. 메타는 지난달 10일 직원들에게 보낸 메시지에서 고용, 훈련, 공급 업체 선정 등에 적용해온 DEI 정책을 종료한다고 밝혔다. 최근 미국에서는 메타 외에도 아마존, 맥도날드, 월마트, 타깃 등이 줄줄이 ‘DEI와의 결별’을 선언하고 있다.다양성의 D, 형평성의 E, 포용성의 I 합친 말DEI란 다양성(diversity), 형평성(equity), 포용성(inclusion)의 약자다. 정부와 기업을 비롯한 다양한 조직에서 인종, 성별, 성 정체성 등에 따른 차별을 금지하고 다양성을 추구한다는 원칙을 뜻한다.미국 기업들은 2020년 흑인 남성 조지 플로이드가 경찰의 강경 진압으로 사망한 사건 이후 인종차별 철폐 운동이 확산하자 DEI 정책을 잇달아 도입했다. 예를 들어 커피 체인점 스타벅스는 직원의 30%를 유색인종으로 채운다는 계획을 내놨다. 백화점 업체 노드스트롬은 흑인·라틴계 임원이 디자인한 브랜드 매출을 5억 달러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하지만 DEI가 오히려 ‘역차별’이라는 반발도 만만치 않았다. 미국 보수 진영은 2023년 연방 대법원이 소수인종 우대 입학 정책을 위헌이라고 결정한 이후 기업들을 상대로 DEI 철폐를 요구해왔다. 소수자 배려가 지나치게 강조되는 데 피로감을 느끼는 여론도 생겨났다.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진보 세력이 주도하는 DEI 정책을 강하게 비판해온 인물이다. 그는 대통령 취임 첫날 ‘남성’과 ‘여성’이라는 2개 성별만 공식 인정하고 주관적 성정체성은 인정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연방정부가 운영하던 DEI 프로그램은 폐지

  • 역사 기타

    17세기 대기근 때 240만명 '아사'…노비제도 몰락

    기근(飢饉)의 사전적 정의는 절대적으로 식량이 부족한 상황이다. 유명한 대기근으로 아일랜드 기근, 벵골 기근, 우크라이나 기근이 있고 최소 100만 명 이상의 아사자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찰리 채플린 주연의 영화 ‘황금광 시대’에는 산속 외진 오두막에서 식량이 떨어진 남자 둘의 이야기가 나온다. 남자 1은 자기 구두를 삶아 먹는다. 시간이 지나자 이번에는 남자 2의 눈에 남자 1이 칠면조로 보이기 시작한다. 폭소를 터뜨리게 만드는 장면이지만 이게 현실이 된다고 가정해보라. 그곳이 바로 지옥이다. 대기근 2년 동안 지옥 같은 일들이 무수히 벌어졌다. 대기근은 전쟁보다 더 큰 재앙우리에게도 비슷한 사례가 있다. 조선 후기 대표적 기근인 경신대기근(1670~1671, 현종 11~12년)과 을병대기근(1695~1696, 숙종 21~22년)이다. 소(小)빙하기가 주요 원인으로 전 세계가 다 같이 고통받았지만 한반도만큼 끔찍한 곳은 없었다. 경신대기근 때는 최소 100만 명, 을병대기근 때는 141만 명이 굶어 죽었다. 보통 조선 국가 체제 몰락의 단초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양란을 꼽지만, 재앙의 강도로 치면 이 두 기근을 따라가지 못한다. 아사(餓死)라고 하면 흔히 중산층 이하를 떠올린다. 그러나 이 두 기근 때는 고위 관료까지 굶어 죽었다. 임금을 지키는 호위무사도 쓰러졌고 왕실 피붙이도 죽었다. 기근은 사회를 완전히 바꿔놓았다. 기근 전까지 조선 사대부는 부를 축적하려는 이기심과 싸워 이겼다. 그러나 두 번에 걸친 굶주림의 시대가 끝나자 지배계급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재산을 축적하기 시작했다. 경신대기근은 1인당 국내총생산(GDP·쌀 생산량 기준) 2달러를 1달러로 떨어뜨린 임진왜란보다

  • 경제·금융 상식 퀴즈

    2월 10일 (879)

    1. 중국 정부가 경기부양을 위해 자동차, 가전, 가구 등을 새로 살 때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는 정책의 이름은?① 이구환신  ② 환구시보③ 일대일로  ④ 호자위지2. 차세대 원전 기술로 주목받는 ‘소형 모듈 원자로’로, 증기발생기·냉각재 펌프·가압기 등 주요 기기를 하나의 용기에 일체화한 이것은?① SMR ② TEU ③ NFT ④ IPO3.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하했을 때 사용하는 용어는?① 베이비 스텝  ② 자이언트 스텝③ 포워드 가이던스  ④ 빅컷4. ‘V3’ ‘R1’ 등의 인공지능(AI) 모델을 공개한 중국 스타트업이다. 낮은 개발비와 뛰어난 성능으로 주목받고 있는 이곳은?① 쉬인  ② 딥시크③ 바이트댄스  ④ 테무5. 위험을 줄이고 수익률을 극대화하기 위해 여러 종목에 분산 투자하는 것을 가리키는 말은?① 포트폴리오  ② 레버리지③ 워크아웃  ④ 패스트트랙6. 넷플릭스, 유튜브 등을 보는 소비자가 케이블TV·IPTV 등 기존 유료 방송을 해지하는 현상은?① 체리피킹  ② 빈지워칭③ 코드커팅  ④ 쇼트커버링7. 상장사가 주가에 영향을 미칠 만한 사안을 정기적으로 또는 수시로 투자자에게 알리도록 한 제도는?① 공모  ② 공시③ 공매도  ④ 증자8. 물가지수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다.‘생산자물가지수’를 가리키는 영어 약어는?① CPI  ② CSI③ PCE  ④ PPI▶정답 : 1 ① 2 ① 3 ④ 4 ② 5 ① 6 ③ 7 ② 8 ④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882)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법 목적·내용도 정당해야…실질적 법치주의 대두

    정치와 법 교과서의 1단원 주제들은 논술고사의 빈출 주제입니다. 법의 역할과 발전 단계에 대해서는 여러분이 다양한 방식으로 생각해봐야 합니다. 우선 법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민주국가에서 다양한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해결할 때 법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기본적으로 법은 정의, 합목적성, 법적 안정성이라는 이념을 갖고 있습니다.----------------------------정의 법이 실현하고자 하는 최고 이념으로, 평등을 바탕으로 한다. 평등을 바탕으로 한 정의는 다시 평균적 정의와 배분적 정의로 나뉜다. 평균적 정의는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누구에게나 똑같이 대우해주는 형식적 평등을 통해 실현된다. 반면 배분적 정의는 상대적·비례적·실질적 평등을 추구하는 것으로, ‘같은 것은 같게, 다른 것은 다르게’ 대우하는 것을 말한다.합목적성 법은 시대나 국가가 지향하는 목적에 부합해야 한다는 이념이다.법적 안정성 개인의 사회생활을 안정적으로 보호해야 한다는 이념이다.------------------------이러한 법의 기본 요소들이 법치주의의 첫 시작부터 완비되었던 것은 아닙니다. 법치주의가 발달하면서 초기에는 법 자체의 내용과 목적보다 의회 제정이라는 형식적 합법성이 강조되었습니다. 왕정이나 독재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목적에서였지요. 그러나 오늘날에는 법의 목적과 내용도 정당해야 한다는 실질적 법치주의가 대두되고 있습니다.법의 형식적 요소를 중시하는 것은 법적 안정성을 위해 상당히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아래의 사건을 생각해봅시다.[사건1] 영국에는 무분별한 동물 남용과 학대에 반대해 조직적인 저항운동을 벌이는 동물해방론자들의 단체가 있다. ‘동물해

  • 테샛 공부합시다

    한국 초고령사회 진입, 우리 사회는 준비됐나

    ○초고령사회(Super-aged Society)=총인구 가운데 만 65세 이상 인구가 20% 이상인 사회다. 유엔(UN)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기준으로 7% 이상은 고령화사회, 14% 이상은 고령사회, 20% 이상은 초고령사회 등으로 구분한다. 행정안전부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23일 기준 65세 이상 주민등록 인구는 1024만4550명(그래픽)으로, 전체 주민등록 인구(5122만1286명)의 20%를 차지했다. 한국은 2017년 고령사회에 접어든 이후 7년 만에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선진국과 달리 한국의 고령화 속도는 이례적으로 가장 빠른 수준이므로 이에 따른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라스트 마일(Last Mile)=라스트 마일은 유통산업에서 주문한 물품이 고객에게 배송되는 마지막 단계를 의미하는 용어다. 이는 고객과의 마지막 접점으로, 상품을 받으면서 만족도가 결정되는 중요한 단계다. 라스트 마일 딜리버리는 이러한 고객 만족도를 높이려고 유통업체들이 서비스 차별화를 위해 배송 품질에 주안점을 두면서 생겨난 신조어다.○오버슈팅(Overshooting)=시장에 외부 충격이 발생했을 때, 환율이나 주식 같은 금융자산의 가격이 단기적으로 급등해 장기균형 수준에서 크게 이탈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장기균형 수준으로 수렴하는 현상이다.○포워드 가이던스(Forward Guidance)=중앙은행이 경제 상황을 평가하고 선제적 통화정책 방향을 제시할 때 사용하는 용어다. 보통 정책금리 또는 기준금리의 향방 등 통화정책 방향을 예고하기 위한 중앙은행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다.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 제롬 파월이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직후 기자회견 등을 열어 향후 통화정책의 방향성을 밝

  • 생글기자

    목표에 한 걸음 다가서도록 돕는 시간 관리

    수험생에게 중요한 일 중 하나가 시간 관리다. 수행평가와 시험 기간이 겹칠 때도 있고, 공부하면서 동아리나 학생회 활동에도 참여해야 하기 때문이다. 동시에 해야 할 일이 많아지면 뇌가 처리해야 하는 정보가 많아져 스트레스와 불안감을 느끼게 된다. 해야 할 일을 미루거나 대충 해서 좋지 않은 결과를 얻을 때도 많다. 스트레스와 불안을 줄이고 주어진 일을 효율적으로 하려면 시간을 잘 관리해야 한다.우선 그날 할 일의 목록을 작성하고 급한 일, 중요한 일, 중요하지 않은 일로 나눠야 한다. 급한 일은 미룰수록 스트레스가 커지기 때문에 바로 하는 것이 좋다. 일을 미루는 습관이 있다면 작은 목표로 나누고, 그 목표들을 이룰 때마다 나 자신에게 보상을 주는 것이 효과적이다.중요하지만 급하지 않은 일은 SMART 원칙에 따라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이고(specific), 측정할 수 있고(measurable), 달성할 수 있으며(attainable), 가치와 관련되어 있고(relevant), 기한을 정하는(time-bound) 것을 뜻한다. 목표와 큰 관련이 없고 중요하지 않은 일에는 신경을 최대한 안 쓰는 것이 목표 달성과 시간 관리에 도움이 된다. 하루 일정을 짤 때는 중간중간 산책이나 운동, 취미 활동을 하며 스트레스를 풀 수 있도록 해야 한다.시간 관리는 단순히 하루 일정을 조정하는 차원을 넘어 인생에서 중요한 일에 한정된 자원과 에너지를 쓰도록 하는 것이다.청소년 시기부터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습관을 길러 꿈과 목표를 이뤄보자.조승민 생글기자 (세종국제고 1학년)

  • 경제 기타

    경기 살리자니 물가 걱정…스태그플레이션 '딜레마'

    바닥 경기가 한겨울 추위만큼이나 차갑다. 1450원을 훌쩍 넘은 원·달러 환율은 물가에도 조금씩 영향을 미치는 분위기다. 경기가 안 좋은데 물가까지 오르는 스태그플레이션 공포가 스멀스멀 올라오고 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침체를 뜻하는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전반적·지속적 물가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다. 한마디로 최악의 조합이다.상식을 깨는 경제 현상경제학자 대다수가 동의하는 경제 기본 원리 중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과 실업은 상충관계’라는 것이 있다. 경기가 나빠지면 실업이 증가하고 유효 수요가 감소해 물가가 하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경기가 좋아지면 취업자가 늘고 유효 수요가 증가해 물가가 상승한다. 즉 경기와 물가 중 한 가지가 좋으면 한 가지는 안 좋다. 이런 상식을 거스르는 현상이 스태그플레이션이다. 경기가 안 좋은 상황에서 물가는 오른다. 일자리는 늘지 않고 소득은 줄어드는 반면, 물가는 계속 올라 생활이 더욱 어려워진다.스태그플레이션은 공급 충격이 발생했을 때 일어난다. 공급 충격이란 기업의 생산 비용에 급격한 변화가 생기는 일을 말한다. 기상 이변으로 농산물 수확량이 급감해 식료품 생산 비용이 급격히 오른다거나 중동에서 전쟁이 발발해 석유 제품 가격이 급등하는 것이 공급 충격의 사례다. 공급 충격이 오면 나라 경제의 총공급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한다. 그렇게 되면 경제 전체 생산량이 감소하는 동시에 물가가 오른다.생산 비용이 높아져 기업이 투자를 줄이면 총수요가 감소해 경기는 더 가라앉는다. 물가가 높아진 만큼 근로자들이 임금 인상을 요구해 인건비가 상승하면 기업의 생산 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