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무 여건을 개선하고 지방 근무 의사를 양성하기 위한 장학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수도권 대형 병원과 지방 병원 간 협력 체계도 필요하다.
[생글기자 코너] 밀양서 유일한 응급실 운영 중단…무너지는 지방 의료
지난 8월 경남 밀양에서 유일하게 응급실을 운영하던 병원이 응급실 운영을 중단했다. 병원 측은 응급실을 운영하려면 전문의가 최소 5명 필요한데, 그동안 3명으로 버텨오다가 남은 인력마저 그만둬 더 이상 응급실을 운영할 수 없다고 밝혔다. 또한 응급실 운영으로 올해 20억 원에 달하는 적자가 예상된다고 했다.

밀양시는 다른 병원을 지역 응급 의료기관으로 지정하겠다고 했지만, 유일한 응급실이 사라졌다는 소식에 시민들의 불안은 커지고 있다. 뇌출혈, 심정지, 교통사고 같은 위급한 상황에서 최소 한 시간이 걸리는 다른 지역으로 가야 하기에 골든아워를 지키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대한응급의학회에 따르면 심정지 환자는 4분마다 생존 확률이 급격히 낮아지고, 뇌졸중 환자는 치료가 1분 지연될 때마다 뇌세포 190만 개가 손상된다고 한다.

밀양만의 일이 아니다. 경남 통영에서도 유일한 응급실이 폐쇄될 위기에 처했고, 강원도 강릉 역시 응급실에서 근무하던 의사 2명이 사직해 비상이 걸렸다. 지방 의료 붕괴는 국민 안전과 생명을 위협한다. 고령층과 취약계층은 특히 더 열악한 의료 환경에 놓이게 된다.

근무 여건을 개선하고 지방 근무 의사를 양성하기 위한 장학제도를 마련하는 등 의료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 또 국립대 병원과 지방 의료원의 기능을 강화하고, 민간 병원에도 공공성이 강한 필수 의료 분야에 대해서는 재정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수도권 대형 병원과 지방 병원 간 협력체계도 필요하다. 지방 의료 붕괴를 더 이상 특정 지역의 문제로 방치해서는 안 된다.

류세빈 생글기자(밀성제일고 2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