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밀양서 유일한 응급실 운영 중단…무너지는 지방 의료

    지난 8월 경남 밀양에서 유일하게 응급실을 운영하던 병원이 응급실 운영을 중단했다. 병원 측은 응급실을 운영하려면 전문의가 최소 5명 필요한데, 그동안 3명으로 버텨오다가 남은 인력마저 그만둬 더 이상 응급실을 운영할 수 없다고 밝혔다. 또한 응급실 운영으로 올해 20억 원에 달하는 적자가 예상된다고 했다.밀양시는 다른 병원을 지역 응급 의료기관으로 지정하겠다고 했지만, 유일한 응급실이 사라졌다는 소식에 시민들의 불안은 커지고 있다. 뇌출혈, 심정지, 교통사고 같은 위급한 상황에서 최소 한 시간이 걸리는 다른 지역으로 가야 하기에 골든아워를 지키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대한응급의학회에 따르면 심정지 환자는 4분마다 생존 확률이 급격히 낮아지고, 뇌졸중 환자는 치료가 1분 지연될 때마다 뇌세포 190만 개가 손상된다고 한다.밀양만의 일이 아니다. 경남 통영에서도 유일한 응급실이 폐쇄될 위기에 처했고, 강원도 강릉 역시 응급실에서 근무하던 의사 2명이 사직해 비상이 걸렸다. 지방 의료 붕괴는 국민 안전과 생명을 위협한다. 고령층과 취약계층은 특히 더 열악한 의료 환경에 놓이게 된다.근무 여건을 개선하고 지방 근무 의사를 양성하기 위한 장학제도를 마련하는 등 의료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 또 국립대 병원과 지방 의료원의 기능을 강화하고, 민간 병원에도 공공성이 강한 필수 의료 분야에 대해서는 재정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수도권 대형 병원과 지방 병원 간 협력체계도 필요하다. 지방 의료 붕괴를 더 이상 특정 지역의 문제로 방치해서는 안 된다.류세빈 생글기자(밀성제일고 2학년)

  • 생글기자

    소아과 붕괴…아이들이 아플 때 갈 곳이 없다

    소아청소년과 의사 부족 문제가 심각하다. 올해 소아청소년과를 지원한 전공의(레지던트)는 전국적으로 33명에 불과하다. 정원 199명의 6분의 1밖에 안 된다. 그러다 보니 소아청소년과 진료를 줄이는 종합병원이 많아지고 있다.가천대 길병원은 2월 말까지 소아청소년과 입원 진료를 중단하기로 했다. 야간 시간대 응급실에서 소아 환자를 받지 않는 종합병원도 있다. 당직 근무를 할 소아과 의사가 모자라기 때문이다.소아청소년과 붕괴는 저출산과 불합리한 건강보험 제도가 겹친 결과다.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2021년 0.81명으로 세계 최저 수준이다. 초저출산으로 환자는 줄어드는데 의사가 받는 비용인 의료수가는 묶여 있다. 다른 진료과들은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 진료를 통해 수익을 늘리지만, 소아청소년과는 비급여 진료 수익도 많지 않다. 의료진을 압박하는 요인은 또 있다. 2017년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사망 사건에 관련된 의사와 간호사들은 5년간 소송에 시달리다 지난달에야 대법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 소아청소년과를 비롯해 생명 유지와 직결되는 과는 법적 리스크도 크다. 그 때문에 더더욱 기피 과가 돼버렸다.인력 부족은 의료진 과로로 이어진다. 2019년 2월 한 대학병원 소아청소년과의 2년차 전공의가 주당 110시간을 일하다가 과로사한 일이 있었다. 경영난에 문을 닫는 소아청소년과도 늘고 있다. 아이들이 아플 때 갈 수 있는 병원이 사라지고 있다는 얘기다. 소아청소년과 붕괴를 막을 대책이 필요하다.우연정 생글기자(원주금융회계고 2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