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 기타
교류 않는 문명은 반드시 도태된다
FTA협상 단기적 유ㆍ불리로 성패 판단해선 안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합의문을 공개한 뒤 사회 일각에서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한·미 양국이 동시에 공개한 협정문에 독소 조항들이 여럿 들어있다는 것이다. 농산물 세이프가드(긴급 수입제한조치) 발동요건이 지나치게 제한돼 있고,자동차 세제를 배기량 기준으로 되돌리지 못하게 하는 것 등이 대표적인 사례로 거론되고 있다. 협정문의 일부 조항들이 우리에게 불리해 보일 수 있다. 하지만 불...
-
커버스토리
정부 브리핑실 통합해 버리면 기자는 '받아쓰기'만 해야하나
'시민과 함께하는 변호사들' 단체 헌법소원 제기키로 정부가 지난달 22일 기자실 통·폐합을 골자로 한 '취재지원시스템 선진화 방안'을 발표했다. 그러나 이 방안은 새로운 언론통제로 언론의 자유와 국민의 알 권리를 침해한다는 거센 역풍을 맞고 있다. 당사자인 언론사와 기자들은 물론 국민의 대표기관인 국회,시민단체와 학계·법조계가 한 목소리로 정부의 '방안'을 비난하고 나섰다. 법조 일각에서는 위헌소송까지 제기키로 했다. 국회에서는 언론 ...
-
커버스토리
"신문 없는 정부보다는 차라리 정부 없는 신문 택하겠다"
권력 끊임없이 비판ㆍ감시하는게 언론의 의무 민주주의는 완전하다고 우길 때 독선 생겨나 "국민이 통제하지 않으면 어떤 정부도 계속 좋은 일을 할 수 없다.""신문 없는 정부보다는 차라리 정부 없는 신문을 택하겠다." 미국 헌법을 기초한 토머스 제퍼슨이 남긴 명언이다. 국민이 위임한 정부 권력의 남용을 경계했고 정부의 감시자로서 언론의 자유를 강조한 것이다. 제퍼슨은 나중에 제3대 대통령이 됐다. 하지만 대통령이 되고 나선 친구에게 보낸...
-
경제 기타
거래소들도 몸집 불리기 경쟁
증권ㆍ상품거래소 M&A 활발 글로벌시장 주도권 다툼 치열 세계 각국의 증권·상품거래소들이 인수·합병(M&A) 등을 통해 몸집을 불리며 글로벌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한 치열한 싸움을 벌이고 있다. 특히 세계 자본시장의 넘치는 유동성(돈)은 각국의 증시와 상품시장에서 투자 붐을 일으키며 이들 거래소의 몸집 불리기를 더욱 부추기고 있다. 각국의 거래소들은 또 좀 더 많은 고객을 끌어들이기 위해 거래 비용 줄이기 및 각종 신상...
-
과학 기타
애벌레처럼 로봇들이 살금살금 꿈틀꿈틀 기어가네
실험실 테이블의 검은색 널빤지 위에 실리콘 고무 재질로 만들어진 애벌레 모양의 로봇이 뱀 껍질처럼 해체된 채 펼쳐져 있다. 머리카락 굵기의 얇은 전선들이 인공 피부를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달려 있다. 배리 트리머 교수가 스위치를 눌러 전선에 전류가 통하자 창백한 인공 피부가 수축하면서 위로 솟아올라 기어다닌다. 뉴욕타임스는 최근 '살금살금 움직이고 꿈틀대는 로봇들'(Robots That Slink and Squirm)이라는 기사를 통해 트...
-
경제 기타
주식이 뭐지?
회사의 주인임을 표시하는 증권 배당ㆍ의결권 등 권한 행사 가능 주식시장이 올 들어 스무 번 넘게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우는 초강세를 보이고 있다. TV나 신문을 통해 뜨거운 국내 증시 분위기가 전해지면서 여기저기서 '주식' 얘기가 끊이질 않는다. 지난 3회에 걸쳐 우리는 국내외 주식시장에 대해 알아봤다. 이번에는 최근 주식시장에서 투자자들이 거래하는 대상인 주식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자.주식은 도대체 무엇이고 어떤 것이 있을까. ◆주식회...
-
경제 기타
학교에 배포 안하는 경제 교과서 왜 만들었나?
교육당국, 전교조ㆍ민노총 의식해 학교배포 포기 "주문 요청 쇄도"…지금이라도 보급확대 나서야 ☞한국경제신문 5월25일 A1면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4일 교육인적자원부와 공동으로 개발한 '차세대 경제 교과서'를 일선 교사와 학생들에게 직접 배포하기로 결정했다. 교과서가 만들어진 후 교육부가 첨부한 노동계 입장을 담은 부록은 아예 빼기로 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지난 3월 신학기 시작 때 책자를 배포하려다 교육부가 일부 수정 작업을 요청해 배포...
-
(52) 환경관련 직업
미래 무공해 에너지개발, 나도 한번 도전을 \(ㆍ▽ㆍ)/ 6월5일은 환경의 날이다. 국민의 환경보전 의식을 높이고 환경보호를 생활화하기 위해 제정한 법정기념일이다. 환경의 날은 1972년 6월5일 스웨덴의 수도 스톡홀름에서 '하나뿐인 지구(only, one earth)'를 주제로 인류 최초의 전 세계적인 환경회의가 열린 것을 기념해 만들어졌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96년부터 기념일로 지정했다. 우리가 환경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쏟아야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