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 기타
경제 공부하는 전국경제동아리연합 UHEC
창립 2년째 15개 고교 150명…신문도 발간 지난 1일 건국대 법과대학 건물에서 전국고등학교경제연합(United Highschool Economy Community·이하 UHEC)에 속한 15개 학교의 경제동아리 간부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UHEC은 2006년 10월에 창립됐으며 이번에 2기를 맞이한다.청소년의 시각에서 보는 경제라는 주제로 한 학기에 한번 경제기사를 작성, 8500부에 이르는 'ECOTEEN'이라는 경제신문을 만들어 청소...
-
경제 기타
청소년들의 또다른 놀이문화공간 '디쿠 페스티벌'
제8회 '디쿠(DICU Daejeon Interchange Costume&Comic Unity) 페스티벌'이 지난달 25,26일 대전국립중앙과학관에서 열렸다. 디쿠는 중부권 만화 코스튬플레이 연합으로 2003년에 결성돼 2007년 현재 150여개 동아리를 아우르고 있다. 만화를 좋아하는 사람들의 교류를 위해 연 2회 '디쿠 페스티벌'을 개최하고 있는데, 이번 행사에는 130여개의 동아리가 참가하고 1만3000여명의 인원이 방문하여 만화...
-
(64) 철도 관련 직업
통일되면 우리 기차로 유라시아 대륙을 달려볼 거야! 일주일 뒤면 민족의 대이동이 이루어지는 우리나라 최대의 명절 추석이다. 지난해에는 추석 연휴 기간 중 연인원 3900만명이 이동,전체 인구의 3분의 2 이상이 명절 기간 동안 움직였다. 올 추석에도 근 4000만명이 고향을 찾거나 친척·친지를 방문하기 위해 이동할 전망이다. 추석이나 설 명절에 주목을 받는 것이 철도다. 철도를 이용하면 교통 체증 없이 편안하게 고향에 다녀올 수 있기 때문이...
-
학습 길잡이 기타
9. 시장에 나오는 중고차를 왜 레몬이라고 부를까?
정보비대칭과 역(逆)선택 고장이 잦고 허접한 중고자동차를 영어 속어로 레몬(lemon)이라고 한다. 간혹 상태가 양호한 중고차도 있는데,이는 복숭아(peach)라고 부른다. 왜 중고차를 과일에 비유했을까? 레몬은 향도 좋고 맛 있어 보이는 색깔이지만 먹기엔 너무 시다. 반면 복숭아는 겉모양에 비해 맛이 좋다. 겉만 그럴싸 한 중고차와 속이 알찬 중고차의 차이를 레몬과 복숭아의 차이에 대비한 것이다. 중고차시장에서 중고차를 파는 사람은 자신의...
-
학습 길잡이 기타
(22) 오해의 기원
◆이상한 능력 그림의 주인공은 누구인가? 30명의 학생들에게 아래 그림을 보여주면 20여명의 학생들이 링컨이라고 답한다. 나머지 학생도 링컨이라는 설명을 듣고 나면 어려움 없이 알아본다. 그래도 끝까지 링컨이 아니라고 우기는 학생들도 있다. 우기는 학생이 맞다. 못 알아보는 게 당연하다. 링컨을 알아보는 것이 이상한 일이다. 학생들이 어디선가 봤다고 기억하는 링컨의 사진은 사실 이 그림과 비슷하지 않다. 수학적으로 따지면 관계가 별로 없다. ...
-
4. 대상에 의문을 품고 의미를 재해석해 보자
'개구리가 뱀을 잡아먹는다.''일기예보도 안 맞는다.''사막에 스키장이 있다.' 오늘날 상식이 깨어지고 있다. 절대적 가치로 신봉했던 상식이 허상을 드러내는 것이다. 급변하는 시대에 상식은 상식으로서 추앙받아야 할까? 그렇지 않다. 상식은 깨어지기 위해서 존재한다고 믿어야 한다. 상식이 깨어진 시초는 끊임없는 의문이다. 특히 정보화 사회는 상식이 깨어짐으로 많은 부가가치가 창출된다. 의문은 창의성을 일으키는 바람잡이다. 창의성이 인간 삶의 ...
-
학습 길잡이 기타
'뜨거운 감자'
"북방한계선(NLL)은 근본 문제 중의 근본 문제로 2차 정상회담의 '뜨거운 감자'다." "…해당 상자 쇠고기에서 다시 갈비뼈가 발견됨에 따라 미국산 쇠고기의 수입 재개가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최근 언론 보도에서 '뜨거운 감자'란 말을 자주 볼 수 있다. 여기서 '뜨거운 감자'는 사회적으로 큰 이슈뿐만 아니라 특정 단체나 집단, 개인 차원에서도 쓰이는 용어다. 즉 '나에게는 (무엇이) 뜨거운 감자다'라는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사...
-
학습 길잡이 기타
한국외대 2008학년도 예시 논술 문제
※다음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제시문] 18세기의 수학자 오일러는 잘 알려진 '쾨니히스베르크의 다리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그래프 이론'이라는 수학의 한 분야를 열었다.(중략) 쾨니히스베르크에는 프레겔 강이 흐르고 있고, 이 강에는 두 개의 큰 섬이 있다. 그리고 이 섬들과 도시의 나머지 부분을 연결하는 7개의 다리가 있다. 이때 7개의 다리들을 한 번만 건너면서 처음 시작한 위치로 돌아오는 길이 있는가 하는 것이 문제이다. 이 문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