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日本이 강한 것은 부품소재 산업…장인정신 배워야

    부품은 자동차나 TV 컴퓨터 등 완제품 생산에 필요한 물품을 일컫는다. 컴퓨터에 포함돼 있는 반도체 전자기판은 물론 컴퓨터 케이스와 전원장치는 부품이다. 이에 반해 컴퓨터 마우스나 모니터는 부품이 아니라 주변 기기다. 소재는 이런 부품을 만드는 데 바탕이 되는 재료다. 식물이나 광물질 등의 천연 소재와 플라스틱 유리 등 천연 물질을 가공하는 인공 소재로 나뉜다. 부품 소재는 완제품의 가격과 품질, 성능을 좌우하기 때문에 국가 제조업 경...

  • 커버스토리

    "미친 소 수입하나" vs "과장하지 말라"

    한·미 쇠고기 협상이 타결됐지만 시비가 끊이지 않고 있다. '아무것도 얻지 못한 굴욕적 협상이었다'는 주장과 '국익을 위해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는 반박이 맞부딪치면서 파열음을 내고 있다. 농민·시민단체를 중심으로 대규모 반대 시위가 벌어지고 있고, 야당 등 정치권도 연일 난타전을 벌이고 있다. 한·미 쇠고기 협상은 우리나라와 국민에게 과연 어떤 이익과 손해를 안겨다 주었을까. 국익과 소비자 편익, 축산농가에 미치는 영향 등을 중심으로 살...

  • 커버스토리

    생글기자 지상 토론…쇠고기 수입 찬반

    찬 FTA 반대 명분 없앤 것 자체로 의미 한·미 간의 쇠고기 협상이 타결됨에 따라 '과연 우리 정부가 쇠고기 수입의 문을 넓힌 것이 잘한 일인가'에 대한 논의가 불거지고 있다. 단순히 고기가 유통된다는 사실 뿐 아니라 국민의 건강,FTA 등 민감한 부분들이 이번 협상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전반적으로 국민들은 이번 협상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취하고 있는 듯하다. 하지만 무조건 '미국 쇠고기는 위험해'라는 생각을 가지는 것은...

  • 경제 기타

    바이오연료의 허와 실…글로벌 식량 파동 주범?

    차세대 에너지로 각광받아온 바이오연료가 논쟁에 휩싸였다. 곡물로 만드는 바이오연료는 비싼 석유를 대신할 수 있고 온실가스 배출도 적어 대표적인 대체에너지로 주목받아 왔다. 하지만 최근 세계 식량 위기의 주범으로 몰리면서 오히려 천덕꾸러기로 전락하는 모습이다. 바이오연료는 옥수수와 사탕수수 등 곡물에서 추출한 에탄올로 만든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환경단체들은 온실가스가 거의 배출되지 않는 청정 연료라며 지지를 보...

  • 과학 기타

    1인1대 로봇시대 언제 올까

    로봇기술은 날이 갈수록 발전하고 있다. 최근 일본에서는 만화영화에서나 볼 수 있던 인간형 전투로봇인 '건담(Gundam)'을 개발한다고 발표되기도 했다. 산업현장에서 인간의 노동을 덜어주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로봇.이미 로봇은 인간의 삶 깊숙이 들어와 있다. 전문가들은 머지 않은 시기에는 로봇이 우리의 일상생활의 모든 불편한 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로봇의 역사 '로봇'은 고된 일 또는 노예노동이란 뜻의 체코어 '...

  • 경제 기타

    먹느냐 먹히느냐…적대적 M&A 전쟁

    최근 기업들 간에 먹고 먹히는 전쟁이 잇달아 벌어지고 있어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국내 기업 사이에서 적대적 인수·합병(M&A) 시도가 두 건 연달아 발생한 것이다. 우리투자증권 계열인 마르스1호가 샘표식품 인수에 적극적으로 나선 데 이어 메리츠금융그룹이 돌연 제일화재에 대한 적대적 M&A를 선언했다. 경영권을 두고 이들의 공격과 방어가 치열하게 전개되면서 투자자들의 시선을 사로잡고 있다. 특히 M&A 표적에 ...

  • 경제 기타

    경기부양 위한 추경편성 논란

    찬 "경기악화 대비 하려면 추경 불가피" 반 "재정 건전성 훼손하고 인플레 초래"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해 내수를 진작하겠다고 나서면서 경기부양을 위한 추경편성문제가 논란을 빚고 있다.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은 "올해 경제성장률이 저하될 것이 우려되고 내수 부진과 고용 부진도 심화되는 등 경제지표가 좋지 않다"면서 추가경정예산 편성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정부 측은 현재 추경예산 편성 요건이 전쟁과 대규모 자연재해,경기 침...

  • 학습 길잡이 기타

    (다산칼럼) 한·일 FTA 집착에서 벗어나라

    후카가와 유키코 와세다대 정치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신문 4월24일자 A38면 큰 병을 앓았던 환자가 짓는 안도의 미소는 어딘가 약하다. 지난 21일 회담을 끝낸 한·일 두나라 정상의 미소에도 그런 약함이 엿보였다. 일본은 과거사 문제를 들먹이지 않고 '실리'를 강조한 이명박 대통령에 대해 분명한 호의를 나타냈다. 그러나 일본은행 총재 인사 하나 정부 맘대로 못하는 정국에서 책임있는 정치적 결단을 내리긴 어렵다. 호의를 행동으로 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