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학습 길잡이 기타
(22) 집단 지성
▧ 개념 집단지성 혹은 집합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이란 개인의 능력과 다수의 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종종 논의되는 개념이다. 각종 사회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집단지성이 제시되는 경우가 최근 들어 부쩍 늘고 있는데 이것은 인터넷이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같은 새로운 미디어의 확산과 무관하지 않다. 기출문제의 제시문을 통해 집단지성이라는 말의 뜻을 자세히 알아보자. 2012 서울여대 문제 중 나온 것이다. <...
-
경제 기타
투자 일임업 놓고 은행-증권사 밥그릇 싸움?
은행 투자일임업 허용 논란 370조원대 투자일임업 시장을 놓고 은행과 증권사들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은행 측에선 국내 자산관리시장 발전을 위해 은행에 투자일임업을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증권사들은 은행의 투자일임업 허용은 금융산업과 금융소비자의 관점에서 타당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 10월8일 한국경제신문 ☞ 은행과 증권사 간에 투자일임업을 둘러싼 한판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현재 증권사와 자산운용사 등만 할 수 있는 투자...
-
경제 기타
국가의 담배 판매 허용은 타당한가요
국가가 담배를 제조 판매하도록 허가한 것은 타당한 일인가 아니면 국민의 보건권과 생명권을 침해하는 일일까. 지난 10일 헌법재판소는 담배를 제조 판매 수입하도록 허가한 담배사업법이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는지를 놓고 공개변론을 열었다. 담배의 유해성이나 담배제조사를 상대로 한 소송은 여러 차례 있었지만 헌법소원 심판청구는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거의 없는 사건이어서 헌재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주목된다. 이번 심판 청구는 박재갑 한국담배제조 매매금지 ...
-
커버스토리
밴드왜건·스놉·베블런·디드로 효과…사고 싶은 원리들
광고는 기업의 이미지 제고나 제품 홍보를 통해 결국 소비심리를 부추기는 수단이다. 따라서 광고주들은 때로는 차별화된 제품의 성능을 부각해 소비심리를 자극하고, 때로는 기업 이미지 홍보로 자사 제품의 구매욕구를 부추긴다. 소비자들이 갈수록 현명해지면서 왜곡된 광고나 이미지 부각은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도 있다. 과장광고로 벌금을 무는 등 제재를 받는 경우도 흔히 볼 수 있다. 경제적 원리 측면에선 최소의 광고비로 최대의 효과를 내는 것이 최고의 ...
-
커버스토리
'광고 천재' 오길비…"소비자 마음을 빼앗아라"
영화배우 멜 깁슨과 헬렌 헌트가 주연한 영화 '왓 위민 원트(What women want)'는 광고기획자인 남자주인공에게 일어난 기적과 사랑을 그린다. 어느 날 주인공 닉 마셜은 전기충격으로 여자의 마음을 읽는 능력을 갖게 된다. 광고기획자라면 억만금을 주고서라도 갖고 싶은 초능력을 앞세워 그는 승승장구한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광고문구(카피) 하나를 만들어내기 위해 밤을 새우는 노력이 있을 뿐이다. # 광고업계의 '전설' 광고산업...
-
경제 기타
올해 노벨경제학상에 파마·핸슨·실러 교수, 주식·부동산 등 자산가격 예측 모델 제시
예측은 언제나 솔깃한 단어다. 하루 뒤, 아니 5분 뒤에 일어날 일을 예측할 수 있다면 세상이 어떻게 변할까. 주식시장에선 벼락부자가 생기고, 교통사고는 피할 수 있을 것이다. 올해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들은 평생 예측분야를 연구한 학자들이어서 관심을 끈다. 노벨위원회는 주식 채권 부동산 등 자산 가격의 예측연구에 정통한 3명의 재무(파이낸스) 전공 경제학자를 선정했다. 미국 시카고대의 유진 파마 교수(74)와 라스 피터 핸슨 교수(61), 로버...
-
경제 기타
400호 축하해주신 선생님들 감사합니다^^
생글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깊어가는 가을에 어떻게 지내고 계신지요. 설악산 단풍이 아래로 내려오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전국이 오색 단풍으로 물들 때도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단풍을 배경으로 사진 한 컷, 찍어 보는 여유를 꼭 가져보시길 기원합니다. 먼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3주 전 생글생글 400호 발행 이후 많은 선생님께서 축하와 격려의 말씀을 주셨습니다. 학생들을 위해 많은 비용을 감수하면서까지 생글을 발행해주는 데 대해 늘 고마...
-
커버스토리
스포츠·스타·스폰서…'3S의 경제학'
프로야구는 대한민국의 '국민 스포츠'다. 살림이 팍팍하다해도 주말 야구장은 거의 만원이다. 700만 관중시대의 프로야구는 경제적 가치도 엄청나다. 입장료, 먹거리, 광고비 등을 포함한 프로야구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1조원을 넘는다는 분석이 나온 지는 수년 전이다. 2012년에 8개 구단이 표만 팔아서 번 돈은 600억원 정도다. 야구 경기가 있는 주말 서울 잠실구장에서 하루에 팔려나가는 먹거리는 1억2000만원, 기업들이 잠실야구장에 광고비로 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