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배제성과 경합성

    [문제] 배제성과 경합성과 관련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일반적으로 재산권이 있는 재화는 배제성이 있다. ② 공유지의 비극은 재화가 배제성과 비경합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발생한다. ③ 누군가 재화를 소비할 때 다른 사람이 해당 재화를 소비할 수 없다면 경합성이 있다. ④ 재화 사용에 대가를 지불하지 않은 사람에 대해 소비를 막을 수 있다면 배제성이 있다. ⑤ 지식재산권은 배제성이 없는 새로운 지식, 기술 등에 인위적으로 배제...

  • 교양 기타

    될성부른 나무는 '부름켜'부터 다르다 [고두현의 아침 시편]

    나무 나무보다 아름다운 시를 내 다시 보지 못하리. 허기진 입을 대지의 달콤한 젖가슴 깊숙이 묻고 있는 나무 온종일 앞에 덮인 두 팔을 들어 올린 채 하늘을 바라보며 서 있는 나무 그 가슴에 눈이 내리면 쉬었다 가게 하고 비가 오면 다정히 말을 건네주는 나무 시는 나 같은 바보들이 만들지만 나무는 하나님만이 만들 수 있다네 * 조이스 킬머(1886~1918): 미국 시인 나뭇가지는 하늘을 향한 고성능 안테나다. 두 팔을 힘...

  • 숫자로 읽는 세상

    충청권 전학 간 초등생, 비수도권 중 가장 많아

    지난해 초등학생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서울 강남구였다. 대구 수성구, 대전 유성구 등 ‘교육특구’로 불리는 지역도 초등학생 유입이 많았다. 수도권을 제외하면 충청권에서만 유일하게 초등학생이 늘어났다. 앞으로 의대 지역인재전형이 확대되면 지역으로의 이동이 더 많아질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23일 종로학원이 학교알리미에 공시된 전국 6299개 초등학교 전·출입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초등학생이 가장 많이 ...

  • 숫자로 읽는 세상

    다시 '달러의 독주'…엔화 구매력 사상 최저

    미국이 고금리 기조를 지속하는 와중에 다른 주요 국가들이 먼저 금리 인하에 나서면서 달러가 더욱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Fed)은 일러야 오는 9월에나 금리를 내릴 것으로 전망돼 ‘달러화 독주’가 이어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20일(현지 시간) 블룸버그달러현물지수는 이날 0.2% 오른 1267.71에 마감했다. 이 지수는 5주 연속 상승세가 이어져 지난해 1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블룸버그달...

  • 시사 이슈 찬반토론

    툭하면 '헬조선', 한국은 양극화 심화 사회인가

    한국 사회를 비하하는 말 가운데 ‘헬조선’이 있다. 선거철이 되면 이런 구호를 외치는 정치꾼이 많다. 경제적 성장과 정치적 민주화를 단기간에 함께 이룬 사실은 애써 외면하면서 격차 문제만 부각하는 자조적 주장이다. 헬조선, 양극화 논리 등으로 한국을 깎아내리는 선동은 학계에서도 적지 않다. 일부 언론도 이런 주장에 가세하면서 비슷한 논리를 펴고, 그런 주장을 뒷받침하는 기획물을 쏟아낸다. 사회단체 중에서도 객관적 통계나 과...

  • 테샛 공부합시다

    '죄수의 딜레마' '치킨게임' 벌어지는 국제원유시장

    동해안에 상당한 규모의 원유와 천연가스가 매장되어 있다는 정부 발표 이후 한국도 산유국 대열에 들어서는 것 아니냐는 기대가 커졌습니다. 한국은 반도체·조선 등 잘하는 산업의 제품을 열심히 수출해서 얻은 외화로 원유 등을 수입하고 있지요. 당연히 국제 원유 가격의 변동에 민감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다면 원유 가격은 어떻게 결정될까요? OPEC이 감산을 지속하지 못하는 이유 국제 원유 시장을 주도하는 국제기구로 1960년 9월 사...

  • 커버스토리

    AI시대에 각광받을 직업과 업무능력은?

    인간처럼 생각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인공일반지능(AGI)이 가까운 미래에 실현될 것이란 전망이 많습니다. 그때가 되면 인간만이 할 수 있다고 여기던 지적 활동을 AI가 수행하고 많은 일자리도 뺏아갈 것이란 우려가 큽니다. 청소년 여러분과 부모님들까지 AI가 대체하기 어려운, AI와의 경쟁이 그나마 덜할 직업에 관심이 쏠리는 건 당연한 일이겠죠. 여기서 한국은행이 두 차례에 걸쳐 발간한 AI 발전과 노동시장의 변화에 관한 보고서가 눈길을 ...

  • 숫자로 읽는 세상

    한국 국가경쟁력 20위 '역대 최고'…기업의 기여도 가장 높았다

    한국이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의 ‘2024년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지난해보다 8계단 상승하며 사상 최고 순위인 20위를 기록했다. ‘30·50클럽’(국민소득 3만달러·인구 5000만 명) 중에선 미국에 이어 2위에 올랐다. 18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D는 이날 67개국을 대상으로 한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한국은 2020~2021년 23위를 유지하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