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디지털 이코노미

    기술발전·환경변화 불구 대면활동 여전히 계속될 것

    여러모로 앨빈 토플러의 미래 예측은 탁월했다. 1970년 출간한 <미래 쇼크>는 그의 이름을 세상에 알리는 계기가 됐다. 책에서 토플러는 미래 충격을 ‘덜 성숙한 미래가 다가오면서 생기는 어지러운 방향감각’이라고 정의하면서 미래의 가장 중요한 질병이 될지 모른다고 예상했다. 동시에 그는 미래 충격의 유일한 치료법은 미래에 나타날 것들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라고 의견을 밝히며 미래학자로서의 자신을 정당화했다. 정보...

  • 숫자로 읽는 세상

    사우디, 네옴시티 자금 급했나 '나홀로 감산' 택했다

    사우디아라비아가 원유 생산량을 하루 100만 배럴 추가 감산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했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비(非)OPEC 주요 산유국의 협의체인 OPEC+도 기존 감산 규모를 내년 말까지 연장하기로 하면서 국제 유가가 급등했다. 4일(현지시간) OPEC+는 오스트리아 빈에서 정례 장관급 회의 후 낸 성명에서 사우디가 7월부터 한 달간 추가로 하루 100만 배럴의 원유 생산을 줄일 것이라고 밝혔다. OPEC+ 주요 산유국도 지난 4월 결...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주주가치 제고 vs 경영권 위협'…기업 자사주 소각, 강제할 일인가

    정부가 기업이 보유한 자기 회사 주식(자사주)을 강제로 소각하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어서 기업들이 긴장하고 있다. 금융위원회가 연초 ‘2023년 업무보고’를 통해 ‘자사주 취득·처분 공시 강화 등 제도 개선’에 포함한 것이 발단이었다. 취지는 소액주주 이익 지키기, 주주 이익 환원, 기업 지배력을 키우기 위한 대주주나 경영진의 악용 방지 등이다. 반면 법으로 기업의 자사주 매각을 강제하...

  • 키워드 시사경제

    애플 '비전 프로' 출시…MR<혼합현실> 시장 열리나

    애플이 혼합현실(MR·mixed reality) 헤드셋 ‘비전 프로’를 공개했다. 애플이 2014년 애플워치 이후 9년 만에 야심차게 내놓은 신제품이다. 1000명 넘는 개발자가 7년 넘게 공들여온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은 이 제품을 ‘착용형 공간 컴퓨터’로 지칭하며 아이폰 이후 완전히 새로운 플랫폼이라고 강조했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오늘은 컴퓨팅 방식에서 새로...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OO를 출범합니다"는 우리말일까?

    글쓰기에 앞서 ‘무엇을 담을까’를 궁리한다면 그것은 글의 ‘내용’을 생각하는 것이다. ‘어떻게 표현할까’를 고민한다면 이는 글의 ‘형식’을 헤아리는 것이다. 글의 내용과 형식은 동전의 앞뒤와 같다. 어느 하나라도 부실하면 좋은 글이 될 수 없다. 그 가운데 우리가 다루는 것은 주로 ‘형식’에 관한 얘기다. 형식이란 곧 어법을 뜻한다. 어느...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이론의 차이점을 정확히 파악하는게 중요

    심리 철학에서 동일론은 의식이 뇌의 물질적 상태와 동일하다고 본다. 이와 달리 기능주의는 의식은 기능이며, 서로 다른 물질에서 같은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때 기능이란 어떤 입력이 주어졌을 때 특정한 출력을 내놓는 함수적 역할로 정의되며, 함수적 역할의 일치는 입력과 출력의 쌍이 일치함을 의미한다. … 기능주의는 의식을 구현하는 물질이 무엇인지는 중요하지 않다고 본다. 설(Searle)은 기능주의를 반박하는 사고 실...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騎虎之勢 (기호지세)

    ▶ 한자풀이 騎: 말 탈 기 虎: 범 호 之: 갈 지 勢: 형세 형 호랑이를 타고 달리는 기세 중도에서 그만둘 수 없는 형세 - <수서(隨書)> 독고(獨孤) 씨는 수나라 문제(文帝) 양견의 황후다. 독고 씨 아버지인 신(信)은 북주의 대사마였는데, 양견이 앞으로 크게 될 사람임을 알아보고 열네 살짜리 딸을 양견에게 줘 사위를 삼았다. 독고 씨는 결혼 당초 남편에게 첩의 자식을 낳지 않겠다는 맹세를 받았다고 하는데, 어...

  • 사진으로 보는 세상

    한국,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 이사국 선출

    한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비상임 이사국으로 11년 만에 다시 선출됐다. 한국은 지난 6일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총회 비상임이사국 선거에서 투표에 참여한 192개 회원국 중 3분의 2 이상인 180개국의 찬성표를 얻었다. 이에 따라 한국은 2024∼2025년 임기의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이 됐다. 황준국 주유엔대사가 투표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