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키워드 시사경제
비행기 많이 타는 승무원들, 방사선 피폭이 두렵다
항공기 승무원이 우주방사선에 기준치 이상 노출되지 않도록 안전 조치를 강화한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 개정안이 지난 11일 시행됐다. 항공사는 승무원이 연간 6밀리시버트(m㏜) 이상 피폭될 우려가 있으면 비행 노선을 바꾸거나 운항 횟수를 조정해야 한다. 항공사에는 승무원의 백혈구 수, 혈소판 수, 혈색소 양 등에 대해 매년 건강진단을 실시할 의무 등도 추가됐다. 승무원은 높은 고도에 오르는 비행기에 자주 탑승하는 탓에 ...
-
편의점 속 '마케팅 비밀'을 찾아서
주니어 생글생글 67호 커버 스토리는 편의점을 주제로 다뤘다.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편의점의 모습을 지면에 펼쳐 놓고 진열대와 냉장고 곳곳에 숨은 마케팅 요소를 분석했다. 작은 편의점에도 경제 원리가 담겨 있다는 사실을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도록 했다. 내 꿈은 기업가에선 이양구 오리온 창업자의 삶을 소개했다. 주니어 생글생글 기자들은 ‘나의 베프’를 소개하는 글과 사진을 보내왔다.
-
한국, 이젠 우주산업도 'G7'
805호 생글생글은 누리호 3차 발사 성공을 커버스토리에 실었다. 이번 성공으로 한국은 자력으로 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일곱 번째 나라(우주 강국 G7)가 됐다. 우주를 놓고 그동안 주요 국가가 벌인 경쟁을 정리했고, 우주 활용과 관련한 주요 쟁점을 살펴봤다. 우주산업 발전을 위해 필요한 내용을 소개했다. 시사 이슈 찬반토론에서는 기업 자사주 강제 소각 법제화 문제를 다뤘다. 소액주주 이익 지키기, 대주주나 경영진의 악용 방지 등을 위해 필요하...
-
조세
[문제1] 조세와 관련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상속세는 국세이며 직접세다. (2) 간접세는 납세의무자와 담세자가 같다. (3) 한국은 지방세가 국세보다 비중이 더 크다. (4) 세율을 계속 높이면, 정부의 조세 수입이 계속 증가한다. (5) 조세를 부과할 때 수요와 공급이 탄력적일수록 경제적 순손실이 작아진다. [해설] 상속세는 사망 때문에 무상으로 이전되는 재산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과세의 주체가 국가인 국세다. 상속세는 ...
-
커버스토리
누리호 3차 발사 성공…우주산업도 G7
온 국민이 가슴 졸이며 응원한 누리호 발사가 성공했습니다. 누리호는 우리나라가 독자 기술로 개발한 발사체입니다. 각종 위성을 목표 궤도에 올려놓기 위해 쓰이는 로켓을 발사체라고 합니다. 위성 발사체 누리호는 작년 6월 2차 발사 때는 성능검증 위성을 탑재했습니다. 이번 3차 발사에서는 실용위성(차세대 소형위성 2호)을 목표 궤도인 고도 550㎞에 성공적으로 올려놨습니다. 이 위성은 초속 7.58㎞ 속도로 지구를 하루 약 15바퀴 돌면서 밤낮과...
-
생글기자
남과 비교·자책 말고 '나만의 브랜드' 가꾸자
우리나라 10~30대 여성의 자살률이 2018년을 기점으로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2018년 10만 명당 13.5명이던 이 수치가 2020년엔 16명으로 뛰었다. 여러 분석 중에서도 인스타그램의 보편화가 한 원인이라는 지적이 주목된다. 인스타그램은 2018년 유행하기 시작했다. 잘 나온 사진, 고급 음식을 먹는 사진, 비싼 여행지에 간 사진이 많이 올라오는데, ‘인스타 허세샷’이란 비판도 적지 않다. 다른 사람들의 게시물...
-
대학 생글이 통신
지문 읽기 전 문제부터 읽으면 시간 아낄 수 있어
3월 모의고사 후 국어 영역이 생각보다 어려웠던 탓에 많은 학생이 힘들어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국어가 더 어려워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제가 고등학생 때 사용한 공부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첫 번째로, 문제는 순서대로 풀어나가세요. 학생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화법과 작문 혹은 언어와 매체 부분을 먼저 푼 뒤 문학, 비문학 순으로 풀이를 진행한다고 하는데, 시간 조절이 중요한 국어에서는 이렇게 문제를 찾고 페이지를 넘기는 것도 하나의 ...
-
경제 기타
빈곤을 결정하는 기준소득을 빈곤선이라고 해요
소득분배의 불평등이 야기하는 가장 큰 문제는 생계를 유지하기 힘든 빈곤층이 생겨나는 것이다. 빈곤은 소득이 균등하게 분배된 상태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 보편적인 현상이지만, 소득분배가 불평등한 경우 하위계층에서 나타나는 빈곤은 훨씬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최근 들어 빈곤의 개념을 상대적 빈곤과 절대적 빈곤으로 나누면서 많은 나라에서 상대적 빈곤에 대해 더 큰 관심을 보인다. 그럼에도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절대적 빈곤은 대다수 국가에 여전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