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사진으로 보는 세상

    국제과학올림피아드 한국대표단 발대식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은 지난 14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2023년 국제과학올림피아드 한국대표단 발대식을 열었다. 국제과학올림피아드는 대학 교육을 받지 않은 20세 미만의 과학영재들이 과학적 창의력과 탐구력을 겨루는 세계 두뇌 올림픽이자 축제의 장이다. 올해 한국대표단은 국제수학올림피아드(7월2일~7월13일, 일본)를 시작으로, 물리ㆍ화학ㆍ정보ㆍ생물ㆍ천문ㆍ지구과학ㆍ중등과학 8개 분야 국제과학올림피아드와 국제청소년물리토너...

  • 생글기자

    눈앞 효과만 보는 국내 영화제, 적극 보존이 필요하다

    지난 4월 열린 전주영화제를 시작으로 올해 대한민국 영화제가 본격 개막됐다. 전주영화제는 작년에 비해 관객이 30% 늘었으며, 상영작 중 68.8%가 매진되는 성황을 이뤘다. 이달 무주산골영화제, 부천판타스틱영화제에 이어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부산국제영화제 등에도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작년 영화제들이 겪어야 했던 어려움을 생각해보면 국내 영화제의 활성화까지 갈 길이 멀다. 영화제 이름을 지역명으로 짓는 국내 영화제는 정부나 지방...

  • 돈이 많은데 가난하다고?

    제68호 주니어 생글생글은 커버 스토리에서 통화량과 인플레이션의 관계를 다뤘습니다. 아이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상황을 가정해 통화량과 화폐 가치, 물가의 관계를 설명하고 역사 속 하이퍼 인플레이션 사례도 살펴봤습니다. 내 꿈은 기업가에선 반도체 시장의 변화를 내다본 엔비디아 공동 창업자 젠슨 황의 삶을 소개했습니다. 주니어 생글 기자들은 햇반을 생산하는 충북 진천의 스마트공장 CJ블로썸캠퍼스에 다녀왔습니다.

  • 숫자로 읽는 세상

    현대차에 삼성칩·SK배터리·LG패널…4대 그룹이 이끄는 'K-전차연합' 뜬다

    삼성이 제조한 자율주행 반도체와 SK의 배터리가 장착된 현대자동차의 전기차. 이 차량에 올라탄 운전자는 LG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계기판을 보며 도로 위를 달린다. 5년 전만 해도 ‘꿈 같은 일’로 여겨지던 상황이 현실이 됐다. ‘글로벌 전기차 리더’로 성장한 현대차가 전장(電裝·전자장치) 사업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삼성, SK, LG 등과 긴밀한 협업 관계를 구축하면서다. 첨단...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사랑할 수 있는 나'를 발견하는 것이 기적

    파울루 코엘류에게는 ‘우리 시대 가장 사랑받는 작가’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닌다. 83개 언어로 번역된 그의 소설 3억2000만 부가 묵직한 울림을 줘 ‘영혼의 연금술사’로도 불린다. 2009년 <연금술사>로 기네스북 ‘한 권의 책이 가장 많은 언어로 번역된 작가’ 부문에 올랐다. 요즘 ‘SNS에 가장 많은 팔로어를 보유한 작가’라는 수식어도 생겼다. ...

  • 경제 기타

    인구 고령화로 연금 고갈…제도 바꿔야 지속가능해요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국민연금의 보험료 수준이 낮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지난 9일 서울 장충동 반얀트리호텔에서 현대경제연구원과 한국경제신문사 주최로 열린 제200회 밀레니엄포럼에서 “국민연금 보험료는 1998년 6%에서 9%로 인상한 뒤 한 번도 높이지 않았고 2007년 이후에는 개혁 시도 자체가 이뤄지지 않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조 장관은 특히 “그간의 연금개혁은 대부분 &lsq...

  • 역사 기타

    세계제국 영국 만든 건 세금혁명과 해적질

    벌거벗은 야만인들이 사슴 사냥을 한다고 꺅꺅대며 들판을 뛰어다니는 땅. 얼굴에 괴상한 페인트칠을 한 노인들이 질퍽한 땅에 주저앉아 진흙처럼 보이는 걸쭉한 액체를 들이켜는 풍경. 기원전 55년,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로마인으로는 최초로 브리타니아에 상륙했을 때 그는 충격을 넘어 절망감을 느꼈다. 신이여, 이런 곳이 정말 당신이 창조한 땅이고 저들이 우리와 같은 인간이란 말입니까. 그로부터 1800년이 흐른 뒤 이 야만인들이 영국이라는 이름으로 세계...

  • 대학 생글이 통신

    중상위권 학생, 인문논술로 지방 주요 대학 노릴만

    저는 한국외국어대 융합일본지역학부에 논술전형으로 합격했습니다. 이번 글에서 중상위권 정도의 성적이 나오는 문과 학생들을 위해 인문논술 지원 전략을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우선 본인이 수시를 목표로 하건, 정시를 목표로 하건 재수를 할 생각이 없고, 지방에서 대학을 다닐 의향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꼭 수시 카드 한 장을 부산대나 경북대 논술에 쓸 것을 추천합니다. 지난 1일 6월 모의고사에서 생각만큼 성적이 나오지 않아 실제 수능에서 인서울 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