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tesat.or.kr
[문제] 아래 대화 내용과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영 : 나는 은행에서 정기 예금에 가입했어.
나영 : 그렇구나. 난 00기업의 주식을 샀어.
① 가영이 선택한 금융 상품은 저축성 예금에 해당한다.
② 가영이 선택한 금융 상품은 예금자보호제도의 적용을 받는다.
③ 나영이 선택한 금융 상품은 만기가 있다.
④ 나영이 선택한 금융 상품은 배당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⑤ 가영이 해당 금융 상품을 선택한 이유는 일반적으로 나영이 선택한 금융 상품보다 안정성이 높기 때문이다.

[해설] 가영은 정기예금, 나영은 주식을 선택했다. 정기예금은 저축성 예금에 해당한다. 주식은 정기예금과 달리 만기가 없고 투자자가 원하는 시기에 거래할 수 있다. 주식 소유자는 주식회사의 경영 성과에 따른 배당금을 받을 수 있다. 정기예금은 예금자보호제도의 적용을 받지만, 주식은 예금자보호제도의 대상이 아니다. 그래서 예금이 주식보다 안정성이 높다. 정답 ③

[문제] 인플레이션의 비용과 관련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미래 소득을 측정하기 어렵게 한다.
② 기업의 가격 조정 비용이 발생한다.
③ 예상된 인플레이션은 채무자와 채권자 사이에 부를 재분배한다.
④ 재화와 서비스의 상대가격 변화로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저해한다.
⑤ 현금 보유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관련 비용이 발생한다.

[해설] 인플레이션이란 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오르는 현상이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때 이와 관련한 비용을 살펴보면, 미래 소득의 측정을 어렵게 해 경제주체들이 장기 계약을 꺼리게 만든다. 기업은 오르는 물가 수준에 맞춰 가격을 조정하는 메뉴 비용이 발생한다. 인플레이션은 화폐가치의 하락을 의미하므로 경제주체는 현금 보유를 줄이고 다른 자산을 보유하는 과정에서 비용이 발생한다. 예상된 인플레이션에서 채권자는 실질이자율의 하락을 막기 위해 채무자에게 더 높은 명목이자율을 요구한다. 따라서 채무자와 채권자 사이에 부의 재분배가 일어나지 않는다. 정답 ③

[문제] 총공급(AS) 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하는 충격이 발생했을 때와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생산요소 비용이 상승했기 때문이다.
② 디스인플레이션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
③ 재정지출을 늘리면 인플레이션은 더욱 심화한다.
④ 물가 안정을 위해 통화량을 줄이면 경기 침체는 더욱 심화한다.
⑤ 경기 부양을 위해 중앙은행이 통화량을 늘리면 물가가 더 상승한다.

[해설] 원자재 가격 급등, 자연재해, 노동 생산성을 초과한 과도한 임금 상승 등으로 총공급 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하면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이 발생한다. 그러면 물가가 상승하고 경기 침체가 동시에 발생하는 스태그플레이션의 발생 가능성이 커진다. 총공급 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물가 안정을 위해 긴축 재정·통화정책을 시행하면 경기 침체는 더욱 깊어진다. 반면, 경기 부양을 위해 정부가 지출을 늘리거나 중앙은행이 확장적 통화정책을 시행하면 인플레이션은 더 심화한다. 디스인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기 위해 통화 증발을 억제하고 재정·금융긴축을 주축으로 하는 경제 조정 정책이다. 정답 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