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생글+ 기타
<8> 통신해양기상위성을 기다리며
기상 악화나 적조로 인한 자연재해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예보를 정확하고 빨리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일본이나 미국의 기상위성 자료를 받아 예보에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예보의 신속함과 정확성 면에서 많은 손해를 보고 있다. 우리나라가 2008년 발사를 목표로 개발 중인 통신해양기상위성은 정지궤도 복합위성으로 집중호우와 태풍,황사,적조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해양 관측용 고해상도 카메라를 탑재한 정지궤도 ...
-
경제 기타
대학가요제 대상 수상 Ex 일약 스타로‥ 외모 강조 글 쏟아져
지난 10월15일 대전 KAIST 잔디광장에서 2005 대학가요제가 열렸다. 대학가요제는 대학생으로 구성된 팀들이 스스로 노래를 작사 작곡해 수많은 관중들 앞에서 노래를 펼쳐보이는 대회다. 대학생들의 뜨거운 열정과 끼를 볼 수 있기에 많은 사람들의 호응을 얻으며 29년 동안 그 자리를 지켜왔다. 이번 2005 대학가요제에서도 어김없이 강적,Coreasori,Wonder Woman 등 쟁쟁한 팀들이 나와 기량을 겨뤘다. 그 속에서도 돋보이...
-
경제 기타
'즐기다'가 목표되선 곤란.. 열정적인 삶이 아름답다
요즘 젊은층 사이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광고가 있다. "아버지는 말하셨지,인생을 즐겨라.재미 나게 사는 인생,자 시작이다"라는 CM송의 가사가 인상적인 모 카드회사의 TV광고다. 고지식하고 어렵게만 보이던 아버지가 전통적인 가치관과는 상반된 안빈낙도의 삶을 조언한다는 내용이 젊은이들의 가려웠던 속마음을 시원하게 긁어준다는 평을 받고 있다. 청년실업 대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똑똑한 백수와 백조가 넘쳐나고,대학생이나 직장인들의 여가생활이 늘어나...
-
경제 기타
냄비근성 언제까지
"울릉도 동남쪽 뱃길 따라 이백리 외로운 섬 하나 새들의 고향,그 누가 아무리 자기네 땅이라고 우겨도 독도는 우리 땅." 지난 3월 전국에 울려 퍼졌던 박인호 선생의 '독도는 우리 땅'이라는 노래가사의 일부다. 일본의 한 작은 현이 '독도의 날'조례안을 가결시키면서 부각된 독도 영유권 분쟁은 1945년 광복 이후 잊혀질 만하면 한번씩 터져 나와 이제 한·일 양국 관계를 악화시키는 아킬레스건 같은 존재가 되어버렸다. 한·일 우정의 해에 불거...
-
21. 사람보고 평균에 맞추라고‥
"사람사람이 본시 모두 제가끔 저 생겨먹고 싶은 대로 생겨먹어 그 쌍통 생김새가 하나도 똑같은 놈 없고." 김지하 시인의 '대설(大說)남(南),첫째 판 산수(水山)' 첫머리에 나오는 말이다. 이처럼 우리는 어릴 때부터 사람들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며 성장한다. 인종 나이 성별 몸무게 키가 모두 같더라도 취향이나 행동은 전혀 다른 경우가 대부분이다. 나와 거의 모든 면에서(성격이나 식성까지도) 거의 흡사한 내 친구 중의 ...
-
21. 문장 올바르게 쓰기 (1)
문장이란 무엇인가. 국어사전을 찾아보면 '어떤 생각이나 느낌을 줄거리를 세워 글자로써 적어 나타낸 것'이라고 돼 있다. 또 '문장은 낱말들이 질서 있게 모여서(문법적인 규칙에 맞게 배열돼서) 의사를 전달하는 하나의 單位'라고도 한다. 논술이 주어진 논제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 글로 나타내는 것이라면 논술도 결국은 문장으로 자신의 견해나 주장을 밝히게 된다. 따라서 논술을 쓴다는 것은 문장을 쓴다는 것이고,문장을 제대로 構成하지 못하...
-
학습 길잡이 기타
21. 단락의 전개방식 - 원인과 결과형
이번 호에서 다룰 문장은 Newsweek International의 온라인 기사에서 발췌한 것이다. 우리나라 여성의 지위에 관한 글이다.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오늘날에 이르기까지의 원인을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는 글로서,'원인과 결과형(Cause and effect)'의 전개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전형적인 원인과 결과형(Cause and effect)의 글에서는 둘 이상의 사건이 원인 또는 결과의 관계를 갖는다. 그런데 원인과 결과가...
-
교양 기타
작은 것이 아름답다
E.F 슈마허(이상호 옮김, 문예출판사, 2001) '작은 것이 아름답다'는 성장을 외면하지 않으면서 생태계의 파괴를 지양할 수 있는 반성과 전망을 담고 있다. 생태계의 파괴는 인류 문명 전체에 대한 하나의 명백한 위협으로 대두되고 있다. '파생된 사유체계로서의 경제학',즉 메타경제학적 관점으로 현실을 보아야 한다고 말하는 것도 이러한 성장과 생산에 대한 근대인의 일방주의를 돌아보기 위해서다. "지난 100년 동안 과학기술의 발전은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