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 논술특강] 21. 문장 올바르게 쓰기 (1)

문장이란 무엇인가.


국어사전을 찾아보면 '어떤 생각이나 느낌을 줄거리를 세워 글자로써 적어 나타낸 것'이라고 돼 있다.


또 '문장은 낱말들이 질서 있게 모여서(문법적인 규칙에 맞게 배열돼서) 의사를 전달하는 하나의 單位'라고도 한다.


논술이 주어진 논제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 글로 나타내는 것이라면 논술도 결국은 문장으로 자신의 견해나 주장을 밝히게 된다.


따라서 논술을 쓴다는 것은 문장을 쓴다는 것이고,문장을 제대로 構成하지 못하면 올바른 논술문이 나올 수 없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렇다면 좋은 논술문을 쓰기 위한 올바른 문장 쓰기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注意해야 할 문장 쓰기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문장을 구성하는 것은 문장성분이다.


문장성분에는 문장을 이루는 데 반드시 필요한 주성분(주어,목적어,보어,서술어)과 꾸밈 역할을 하는 附屬 성분(관형어와 부사어)이 있다.


문장은 주성분만으로 이뤄질 수 있으나,부속성분만으로는 이뤄질 수 없다.


그러나 문장의 주성분만으로 이뤄진 문장은 문법적으로는 완전할지 몰라도 의사를 충분히 傳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부속성분의 수식 기능을 활용해 주성분의 의미와 문장 전체의 의미가 분명하고 풍부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하지만 문장에서 부속성분을 너무 많이 사용해 문장이 길어지게 되면 오히려 의미 전달이 模糊해지거나 아예 문장 자체가 비문이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1)문법적으로 정확하게 表現해 잘못된 문장을 만들지 말자.




"어마 나 마마 까까 주."


문법이 전혀 갖춰지지 않은 어린 아이의 비문이다.


이렇게 의미 전달에만 급급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문장을 쓴다면 그것은 사람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학생들이 添削지도를 받기 위해 써 온 글에는 많은 비문이 있다.


학생들은 그러한 비문이 잘못된 문장인지조차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문법적으로 문장 성립이 되지 않는 데도 올바른 문장에 대한 문법적 지식이 부족해 올바른 문장과 잘못된 문장에 대한 판단이 부족하다.


문법적으로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해 만들어진 잘못된 문장은 본인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과 다르게 전달되거나 아예 무슨 말인지 모르게 만드는 경우가 있으므로 各別히 주의해야 한다.


①주어와 서술어의 呼應관계 불일치로 인한 불완전한 문장


"태풍으로 인해 가족을 다 잃고 극적으로 살아나 逃亡쳐 오는 그 남자의 얼굴은 뉴올리언스의 고통스런 현실과 그곳에서 뛰쳐 나오려는 남자의 의지가 그것을 상징한다."


위 문장의 주요 성분을 추려 보면 '얼굴은(주어)'~'그것을(목적어)'~'상징한다(서술어)'의 구조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전체 문장의 기본 구조는 별 문제가 없다.


그러나 문장을 읽어 보면 뭔가 흐름이 이상하고 불완전하게 느껴진다.


그 이유는 밑줄 친 부분의 불필요한 서술 때문이다.


밑줄 친 '의지가'를 '의지를'로 고치고 '그것을' 빼버리면 완전한 문장이 된다.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정보화 水準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위 문장의 경우 주어에 해당하는 '정보화 수준'과 서술어인 '증가하다'는 서로 어울리지 않는다.


우리말에서 '수준이 증가하다'라고 표현하지는 않기 때문에 '수준이 높아지다'라고 써야 어울린다.


②시제의 호응관계 불일치로 인한 불완전한 문장


"은석이는 집에서 공부하는 것을 좋아하고,동희는 백화점에서 쇼핑하는 것을 좋아했다."


이 경우는 '좋아하고'와 '좋아했다'의 시제 호응관계가 불일치한다.


이럴 때는 두 부분의 시제 중 하나를 바꿔 시제를 통일해줘야 한다.


"어제 은석이는 동희와 함께 놀이공원에 갔었다."


'가다'의 과거형은 '갔다'다.


그런데 사람들은 '갔다'보다 앞선 사실을 말할 때 '갔었다'라고 쓰기도 한다.


영어의 大過去,또는 完了型식의 문법을 우리말에 적용해 쓰고 있는 것이다.


'했었다,왔었다,먹었었다' 따위의 말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우리말에는 원래 대과거,또는 과거 완료형의 표현이 없다.


그래서 과거 어느 시점에서 완료된 상황이나 그보다 앞선 과거 사실을 나타낼 때는,동사의 형태를 바꾸는 것이 아니라 과거 시점을 나타내는 부사를 써주어야 한다.


위 문장은 事件時 기준으로 '어제'라는 말이 있으므로 '갔었다'와 같은 대과거를 쓸 필요가 없다.


그냥 '갔다'라고 표현해야 한다.


이석록 원장 stonelee@megastudy.net



[ 약력 ]


△(전)서울 화곡고 국어교사


△(전)서울시교육청 전국연합학력평가 언어영역 출제팀장


△(전)EBS 언어영역&논술 강사


△(현)대치 메가스터디 원장


<저서> '2008 대학입시 이렇게 준비하라' '언어영역 학습법' 7차교육과정 교과서 '국어생활' '작문'


-----------------------------------------------------------------------

■ 한자읽기


ㆍ單位(단위)

ㆍ構成(구성)

ㆍ注意(주의)

ㆍ附屬(부속)

ㆍ傳達(전달)

ㆍ模糊(모호)

ㆍ表現(표현)

ㆍ添削(첨삭)

ㆍ各別(각별)

ㆍ呼應(호응)

ㆍ逃亡(도망)

ㆍ水準(수준)

ㆍ大過去(대과거)

ㆍ完了型(완료형)

ㆍ事件時(사건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