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학습 길잡이 기타
46. 한가닥과 한가락
"나도 왕년엔 한가닥 했지" "면 한가닥으로 일인분 만드는 중국 국수." 예전에 '○○○투데이'란 한 TV 프로그램에서 중국의 먹거리를 소개하면서 자막에 쓴 말이다. "야,노래라면 나도 한가닥 해." 우리가 일상생활 속에서 주위 사람들에게 흔히 해 봤음 직한 말이다. 모두 '한가닥'이란 말이 쓰였지만 아쉽게도 제대로 한 말이 아니다. '한가닥'과 비슷한 것 같으면서도 다른 말이 '한가락'이다. '가락'은 몇 가지로 달리 쓰이는데,우...
-
학습 길잡이 기타
유경호의 자·수·전 ⑬
지수와 로그-「수와 연산」편 ⊙ 바쁠수록 돌아가라! 수학을 공부하는 이유는 대학을 잘 들어가기 위해서가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사회와 자연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수학적으로 이해하고 수학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터득하기 위해서다. 비록 지금은 어려운 입시의 현실에서 이런 말들이 고3 학생들의 귀에는 들어오지 않겠지만 "바쁠수록 돌아가라"는 속담처럼 수학을 제대로 이해하고 정리하는 것이 수능 수학에서 실수하지 않고 고득점을 할 수 있는 비결임을 명심...
-
진학 길잡이 기타
2009학년도 수시 전형별 대입전략 - 일반·면접 전형(1)
학생부 성적 비슷…2단계 구술면접이 당락 결정 지망대학 면접유형 및 방법 기출문제 반드시 확인해야 수시 모집에서 가장 많은 인원을 모집하는 전형은 논술 전형이지만 면접을 실시하는 대학들도 적지 않다. 특히 면접 전형은 1단계에서 학생부 성적으로만 모집 인원의 3~5배수를 선발한 후 2단계 면접 성적을 반영,최종 합격자를 뽑는 단계별 전형이 많다. 다시 말해 1단계를 통과한 면접 대상자들은 학생부 성적이 거의 비슷하여 2단계에서 실시되는 ...
-
교양 기타
(88) 르네 데카르트 '성찰'
개인 중심 세계관 선언…중세 神중심 세계관에 중지부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 (Cogito ergo sum) 데카르트가 '방법서설'과 '철학의 원리'에서 언급한 유명한 이 구절은 중세의 종말과 근대의 도래를 포고하는 철학적 선언으로 받아들여진다. 사유의 주체로서의 '나'를 전면에 부각시켰다는 점에서 신 중심적인 중세적 세계관에서 개인 중심적인 근대적 세계관으로의 이행을 보여주며,'사유'로 대표되는 합리적 이성을 통해 세계를 ...
-
학습 길잡이 기타
34. 신화&전설에서 유래된 영어 표현 ③ Janus-faced, Son of Bacchus, Nectar 등
1월달인 January도 야누스(Janus)에서 유래 오늘은 서양의 신화와 전설에서 유래된 영어 표현에 관한 마지막 내용이다. 분별력 있는 독자들은 느꼈겠지만 사실상 신화나 전설에서 유래된 영어표현들은 결국 그 배경지식에 대한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거듭 강조하거니와 언어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지식을 담기 위한 그릇이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정도 이상의 영어 수준에 도달한 사람들에게 있어서 영어의 발전이란 곧 지식의 발전...
-
경제·금융 상식 퀴즈
5월 26일자
1. 교통혼잡 완화를 위해 혼잡을 유발하는 시설물에 매년 1회씩 부과하는 경제적 부담으로 도시교통정비촉진법에 근거해 1990년 처음 시행된 이 제도의 이름은? ① 교통유발금 ② 교통혼잡금 ③ 교통혼잡유발금 ④ 교통유발부담금 2. 해저에서의 지진,해저 화산 폭발,단층 운동 같은 급격한 지각변동이나 빙하의 붕괴,핵실험 등으로 발생하는 파장이 긴 파도를 일컫는 말은? ① 폭풍해일 ② 쓰나미 ③ 저기압해일 ④ 천발지진 3. 현재의 원...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50)
18세기 스위스의 천재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고안한 스도쿠(Sudoku)는 가로와 세로 9×9의 상자 안에 1부터 9까지 숫자를 수직·수평은 물론, 작은 3×3 상자 안에서도 서로 겹치지 않게 써 넣는 퍼즐게임입니다. 어느 한 곳의 숫자가 틀리면 스도쿠는 실패하게 됩니다. 스도쿠는 푸는 재미는 물론, 자신도 모르게 논리적·수학적 지능을 높이는 효과도 있어 세계적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습니다. 생글생글 독자들의 높은 수준을 감안해 다소 ...
-
커버스토리
석유시대 끝나나
석유가 없으면 사람들은 어떻게 살아갈까? 주변을 둘러보면 석유가 사라지면 사용할 수 없거나 더 이상 보기 힘들어지는 것들이 너무나 많다. 자동차 항공기 선박은 가동을 멈출 것이고 가방 볼펜 운동화 같은 석유화학 제품들도 찾아보기 힘들어질 것이다. 공상과학 소설에서나 나올 것 같은 이야기이지만 이제 석유시대가 끝나가는 게 아니냐는 경고가 곳곳에 나타나고 있다. 물론 당연히 새로운 에너지가 등장할 것이다. 수소도 있고 원자력도 대안 에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