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커버스토리
올 대입 수시는 논술이 당락 가른다
서울대, 특기자 전형 합격 키워드는 논·구술 연·고대, 정시 논술없앴지만 수시 대폭 강화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등 주요 대학들은 수시 모집에서 논술을 대폭 강화했다. 서울대는 특기자 선발 전형 2단계에서 논술이 당락을 좌우할 정도이며 정시 일반 전형에서도 논술 비중을 20%에서 30%로 확대했다. 고려대와 연세대는 정시모집에서는 수능 우선선발을 50%에서 70%로 높이고 논술을 폐지했지만 수시모집에서는 논술을 크게 강화했다. ⊙ 서울대...
-
커버스토리
논술 비중이 줄어든다고? “천만의 말씀, 되레 늘어나요”
수시서 논술 치르는 대학 크게 늘어 논술 시험 봐야하는 학생수도 급증 2010년 입시에서 가장 두드러진 점은 '정시 수능, 수시는 논술'이다. 특히 수시에서 논술을 치르는 대학이 많이 늘어 결과적으로 논술 비중이 강화됐다. 일부에서 논술 비중이 줄었다고 보도하고 있으나 자세히 들여다보면 논술 비중이 오히려 크게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논술 시험을 쳐야 하는 학생의 수부터 크게 늘어났다. ⊙ 다른 대학들의 입학전형은 일부 대학의 경...
-
경제 기타
세계 경제, '돼지 인플루엔자'에 감염되나
여행·항공업계 직격탄… “최악의 경우 세계GDP 5% 잠식” 멕시코발 신종 돼지 인플루엔자(SI)가 이제 막 금융위기의 파고를 넘으려는 글로벌 경제에 걸림돌로 등장했다. SI는 지금까지 159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멕시코를 비롯 미국 캐나다뉴질랜드 이스라엘 프랑스 영국 브라질 등 거의 전 대륙으로 퍼지며 세계인을 공포에 떨게 만들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27일 SI에 대한 전염병 경보 수준을 3단계에서 4단계로 높였다. 20...
-
과학 기타
돼지 인플루엔자 겁나네! … 사람끼리도 전염된데요
변종 거듭하는 SI 바이러스 전세계 강타…150명 이상 사망 이번에 발생한 SI는 인간,돼지,AI 유전자가 결합된 새로운 바이러스로 알려졌다. 돼지는 바이러스가 가장 잘 섞이는 숙주다. 일반적으로 AI나 SI는 감염된 동물과 직접 접촉한 사람에게만 간혹 전염되고 사람끼리는 감염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돼지는 SI 외에도 AI,사람 인플루엔자에 다 걸린다. 세 가지 인플루엔자에 모두 감염될 경우 애시당초 유전자 변이가 잦은 바이러스들...
-
경제 기타
의약품판매 수퍼마켓에 허용해야 하나요?
찬 “안전성 검증된 약품, 약국 독점판매는 부당” 반 “일반약이라도 안전성 보장못하고 오·남용 우려” 전재희 보건복지가족부 장관이 일반의약품(OTC)의 약국 외 판매가 실익이 없기 때문에 이를 허용하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일반의약품의 약국 외 판매 허용 문제가 논란을 빚고 있다. 보건복지부 쪽에서는 "한국에는 약국이 슈퍼마켓보다 많아 국민 불편이 크지 않다"며 약국이 아닌 곳에서 일반 의약품의 판매를 허용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다. 국민 ...
-
경제 기타
사교육에 뒤질게 없는 방과 후 학교,'일석삼조' 효과
2006년 사교육을 경감하고 학생개인의 소질과 적성을 살려주자는 취지에서 도입된 방과 후 학교가 올해로 4년째를 맞아 사교육과 본격 경쟁 중이다. 경기침체로 돈이 많이 드는 학원을 그만두고 방과 후 학교를 찾는 학생이 증가하여 서울지역 중고교의 참가학생이 지난해 전체의 40%에서 올해는 50%를 웃돈다고 한다. 방과 후 학교 수강료는 보통 과목당 6만~10만원 정도지만 일반 단과학원의 강의료는 월 30만~40만원이어서 비교적 저렴하며 교사와...
-
경제 기타
청소년 참여위원회 워크숍, 청소년 정책 토론 '열기'
2009년 4월25일에서 26일까지 아동 · 청소년 참여위원회 워크숍이 열렸다. 청소년 참여위원회는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청소년 정책을 만들고 추진해 나가는 과정에 청소년이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도적 기구다. 청소년에 관련된 정책에 정작 청소년의 의견을 수렴할 방법이 없다는 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진 이 기구는 청소년 참여위원회와 청소년 특별회의로 나뉘어 운영되다가 올해 '참여위원회'로 통합됐다. 전라권(광주 · 전북 ...
-
학습 길잡이 기타
TV 광고가 살려낸 '개고생' ②
"자네도 기억하지? 우리 동창,거시기 말이야,키가 제일 크고 늘 웃던 친구." "아따,이 사람아,뭘 그리 꾸물거리나." "아들이 다쳤다는 말을 듣고 얼마나 식겁했는지 몰라." 한글학회에서 선정한 우리말 지킴이이자 재야의 우리말 연구가인 김선덕씨는 몇 해 전 한 기고문을 통해 "거시기,시방,아따 등의 단어가 표준어임에도 불구하고 호남 사투리로 잘못 알려져 일상생활에서 교양 없는 말로 외면당하고 있다"라고 꼬집은 적이 있다. 실제로 우리 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