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커버스토리
지식으로 포장된 엉터리 정보들… 진실을 비틀다
인터넷 사이버공간에서 잘못된 정보가 무분별하게 유포되고 있다. 인터넷 지식검색엔 거짓·엉터리 정보가 버젓이 '지식'으로 포장해 이용자들을 현혹시킨다. 이런 엉터리 정보는 의도적으로 왜곡된 경우가 많아 지식검색을 주로 활용하는 청소년들, 특히 독자적 판단능력이 약한 초·중·고생들에게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크다. 잘못된 정보는 사회의 혼란과 갈등을 증폭시키고, 궁극적으론 사회를 병들게 만든다. # 정답과 오답이 뒤죽박죽 인터넷 포털이 ...
-
커버스토리
인터넷 집단 지성, 괴담에 휘둘리면 '집단 저능'으로
집단지성의 두 얼굴 “우리는 나보다 똑똑하다(We are smarter than me).” 개방과 참여의 웹 2.0 시대에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이라는 말은 그리 낯선 개념은 아니다. 집단지성이란 다수의 사람들이 서로 협력해 얻게 된 집단의 지적 능력을 말한다. 1910년 윌리엄 모턴 휠러 미국 하버드대 교수가 개미의 사회적 행동을 관찰해 얻은 개념이다. 인터넷의 발달은 집단지성에 날개를 달아줬다. 전 세계를 ...
-
경제 기타
31년만에 무역 적자 … '수출 왕국' 일본의 굴욕
일본의 작년 무역수지가 31년 만에 적자로 돌아서며 '수출왕국'의 자존심이 구겨졌다. 일본 재무성이 최근 발표한 2011년 무역통계에 따르면 일본은 총 2조4927억엔의 적자를 냈다. 동시에 발표된 작년 12월 일본의 월간 무역수지는 -2051억엔으로 3개월 연속 적자였다. 일본의 부진은 수출 감소가 원인으로 지목된다. 작년 일본의 수출은 2010년보다 2.7% 감소한 65조5547억엔이었다. 2년 만에 마이너스 성장을 한 것이다. 반면 수...
-
경제 기타
(49) 디에고 리베라의 벽화와 제도경제학
2002년 미국에서는 셀마 헤이엑 주연의 <프리다>라는 영화가 개봉했다. <프리다>는 18살 때 끔직한 교통사고를 당해 평생을 후유증에 시달렸음에도 불구하고 예술을 포기하지 않았던 멕시코의 초현실주의 여류화가 프리다 칼로(Frida Kahloㆍ1907~1954)의 생애를 그린 전기영화로, 2003년 아카데미 영화제에서 작곡상과 분장상을 수상했다. 프리다는 천재적인 재능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녀를 유명하게 만든 것은 그녀의 재...
-
경제 기타
엔초 페라리 vs 페루치오 람보르기니
슈퍼카의 양대산맥… 탄생 순간부터 '자존심 대결' '슈퍼카(super car)'는 고급 스포츠카를 압도하는 고성능을 갖추고 독특한 디자인으로 희소가치를 자랑하는 차를 뜻한다. 한정 생산하기 때문에 가격도 럭셔리 브랜드 스포츠카의 2~3배에 달하기 일쑤다.이탈리아 페라리와 람보르기니는 일반 스포츠카를 압도하는 성능과 강렬한 원색, 독특한 디자인으로 슈퍼카의 양대 산맥이자 전 세계 자동차 마니아들의 로망이다. 엔초 페라리와 페루치오 람보르기니가 ...
-
경제 기타
야생동물 먹이주기 바람직한가요
찬 "멸종위기 동물 보호하고 관광객도 늘어"... 반 "장기적으로 야생본능 없애 毒이 될 수도" 겨울철은 사람뿐 아니라 야생동물에게도 지내기 어려운 계절이다. 특히 초식 야생동물들은 겨울이 되면 풀이나 나무 등 먹이가 되는 식물이 거의 사라지기 때문에 굶주림에 노출되기 아주 쉽다. 육식동물 역시 먹이가 되는 초식동물들이 추위 때문에 땅속이나 덜 추운 굴 등에 숨어 지내면서 먹이 구하기가 어려워지는 것은 마찬가지다. 이런 이유로 겨울이 되...
-
학습 길잡이 기타
"요약의 핵심 기술은 논리적 연결어 선택하기"
논술을 처음 배울 때 가장 유의깊게 배워야 하는 기술은 '문장 합치기' 기술이라고 지난 연재에 말씀을 드렸지요. 그렇다면, 그 문장을 합칠 때 가장 필요한 능력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바로 '정확한 논리적 연결어 고르기' 능력입니다. 논술을 처음 배우는 초창기 단계 2~3개월 동안은 이 능력 자체만을 키우는 기간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입니다. 이게 뭐 그렇게 어렵냐고 생각할지도 모르겠지만, 요약을 한다는 것이 'A가 B하다. C는 D하다. E는 ...
-
경제 기타
고교 내신 절대평가제
찬 "과열 경쟁 줄여 진정한 배움의 장으로…" 고교 내신 절대평가제도는 기존의 9등급 상대평가 방식으로 인해 초래되었던 학생들 간의 과열된 경쟁의식을 식혀줄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의 상대평가제도는 학생들을 한 줄로 세워 객관적인 평가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 방식은 학생들에게 남보다 잘해야 한다는 압박감을 심어주었다. 따라서 학생들은 자신이 학습 목표에 충분히 도달하였는지보다는 단지 시험 성적에 대해서만 관심을 갖게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