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김희연의 자연계 논술 노트 <144>

    S·논술 자연계 논술팀장 ximpson@hanmail.net [ 2011학년도 대비 인하대학교 자연계열 모의논술고사 中 생물 및 화학 문항 ]

  • 경제·금융 상식 퀴즈

    2월 27일자

    1. 은행과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중앙은행 규제를 받지 않고 예금보험 대상도 아닌 금융사와 그 회사가 제공하는 서비스로 머니마켓펀드, 사모펀드, 헤지펀드, 구조화투자회사 등을 포함하는 이것은? ①프라이빗 뱅킹 ②섀도 뱅킹 ③방카슈랑스 ④골드 뱅킹 2. 기업 인수·합병(M&A)만을 목적으로 세운 명목상의 회사로, 설립 후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대규모 자금을 조달한 뒤 증시에 상장, 일정 기간 내 비상장 우량기업을 합병하는 것이 일반적인 ...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209)

    (209) 문제에 표시된 ⓐ~ⓘ에 들어갈 숫자를 생글생글i 홈페이지( www.sgsgi.com )에 올려주세요. 정답을 올려준 분들 중 추첨해 상품을 드립니다. ★ 207회 당첨자: 구지안 박순주 임낙현 정상수 정봉백 ▶ 208회 스도쿠여행 정답: ⓐ-8 ⓑ-7 ⓒ-4 ⓓ-5 ⓔ-8 ⓕ-7 ⓖ-7 ⓗ-4 ⓘ-2

  • 경제 기타

    주식 양도차익 과세와 조세정의 & 리니언시 제도

    주식 양도차익 과세는 자본시장 위축 초래할 수도 주식 양도차익 과세와 조세정의 '주식 매매 과정에서 발생하는 양도차익'에 세금을 부과하자는 여야 정치권의 주장은 '소득 있는 곳에 세금 있다'는 원칙에 따른 것이다. 문제는 정책의 실효성이다. 주식 양도차익에 세금을 부과한다면 증권거래세는 폐지해야 하는 것인지, 양도차익 과세 대상을 어느 선으로 결정해야 할 것인지 등이 관심사다. -2월22일 한국경제신문 ☞세금(조세)이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 커버스토리

    학생 인권조례, 이상과 현실의 딜레마

    서울시교육청 소속 학교와 학생들에게 적용하는 학생인권조례가 지난달 26일 공포됐다. 이로써 서울은 16개 시·도교육청 중 경기도교육청, 광주광역시교육청에 이어 세 번째로 학생인권조례를 선포한 지역이다. 51개 조항으로 이뤄진 조례는 공포한 날부터 효력이 발생하는 만큼 128만명의 서울시내 초·중·고교 학생들은 이미 적용 대상이 됐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학생인권조례를 둘러싼 논란은 조례 공포를 계기로 잦아들기는커녕 더욱 거세지고 있는 형국이다....

  • 경제 기타

    생전의 꿈 이룬 '한국의 슈바이처' 故 이태석 신부

    남수단에 '이태석 의대병원' … "울지마! 톤즈" '한국의 슈바이처' 고(故) 이태석 신부의 사랑과 헌신을 정부가 이어간다. 기획재정부는 “남수단의 수도 주바에 이태석기념 의과대학병원을 건설하기로 남수단 정부와 합의했다”고 밝혔다. 가톨릭 사제이자 의사로 남수단 오지인 톤즈에서 봉사하다 2010년 48세로 선종한 이 신부의 이름을 넣었다. 남수단 최초이자 유일한 현대식 종합병원 겸 의과대학이다. 병원은 올해 10월 착공하며 2015년 완공된...

  • 경제 기타

    흔들리는 시장경제… 머리는 '자율' 현실은 '개입'

    KDI·시장경제硏 조사 시장경제에 대한 믿음이 흔들리고 있다. 시장경제를 보는 시각도 이중적이다. 이론적으론 경제를 시장자율에 맡겨야 한다고 믿지만 실제 상황에선 정부의 개입을 지지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자유로운 경쟁이 경제에 도움이 된다는 데에는 대다수가 동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최근 한국경제신문이 한국개발연구원(KDI)·시장경제연구원과 공동 기획해 전국 150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 방식으로 실시한 시장경제 인식조사...

  • 커버스토리

    학생인권 존중 동의하지만 자유 따른 책임은?

    2월 어느 날 서울의 한 고등학교. 교내에서 집회가 열린다. 집회는 첨예한 찬반 대립을 보이고 있는 학생인권조례와 관련된 것이다. 집회가 가능한 것은 서울시교육청이 지난달 26일 공포한 학생인권조례 17조 덕분이다. 이 조항은 16개 시·도교육청 중 처음으로 학생들의 교내 집회 자유를 허용하고 있다. 교정 한쪽에선 찬성집회가, 다른 한쪽에선 반대집회가 열린다. 이런 집회를 보는 시각 역시 둘로 나뉠 수 있다. 학생들도 이런 집회를 열 수 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