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생글기자
MOOC, 대학교육의 평등을 이루다
과거 대학교육은 엘리트나 대학생들에게만 주어지는 일종의 특권이었다. 대학생들은 대학교를 다니며 고등교육을 받았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들은 그런 교육을 제대로 받을 수 없었다. 대학교에 합격하고, 등록금을 낸 사람들에게만 주어진 일종의 특권이자 혜택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시대가 변했다. 더 이상 대학교육은 ‘대학생’들만이 받는 교육이 아니다. 한국과 전 세계가 주목하는 MOOC가 그 증거다. MOOC는 언제 어디서든 양질의...
-
생글기자
황인희 선생님과 함께 떠나는 근현대사 여행
한국경제 생글신문에 지속적으로 한국 근현대사에 관한 글을 연재하신 역사칼럼니스트 황인희 선생님께서 생글신문에 기고하셨던 글을 모아 《펭귄 쌤과 함께 떠나는 우리 근현대사 여행》이라는 책을 출간하셨다. 출간을 기념하여 책과 생글신문에 실린 글에 관한 인터뷰를 하였다. 황인희 선생님께서는 다양한 역사 중 한국의 근현대사에 초점을 두어 글을 쓰게 된 계기를 두 가지로 나누어 말씀해 주셨다. 먼저 근현대사에는 다른 역사적 시대에 비해서 제대로 확립되...
-
교양 기타
(82) 앙드레 지드…'좁은 문'
평가가 상반된 작품 한국 기독교 역사가 130년이 된 데다 성경에 기초한 서양문학이 우리와 친숙하기 때문인지 문학과 일상에서 기독교 용어 사용이 빈번해졌다. ‘좁은 문, 13일의 금요일, 새 술은 새 부대에, 솔로몬의 지혜, 선한 사마리아인, 에덴의 동쪽, 카인의 후예’ 등은 비유적으로 쓰이는 기독교 용어다. 누가복음 13장 24절 ‘좁은 문으로 들어가기를 힘쓰라’는 말씀을 바탕으로 앙드레 지드는 『...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21) 마키아벨리(중) 로마사 논고
어느 작품 하나로 유명하게 된 배우가 그 후 다른 작품에서 배역을 꽤 괜찮게 소화했는데도 처음 배역에 워낙 그 배우의 이미지가 고정되는 바람에 여간해서 빛을 발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 는 정치 철학에서 마키아벨리에게도 어느 정도 들어맞는 것처럼 보인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마키 아벨리하면 《군주론》만을 떠올린다. 그래서 마키아벨리가 원래 공화주의의 대가였다는 사실도 지금까지 많이 가려져 있는 편이다.《군주론》이 마키아벨리 정치 철학의 전부인...
-
생글기자
반려견은 가족인가 동물인가?
애견인 1000만 시대, 우리는 동물과 직접적인 언어로 소통할 순 없지만 신호를 주고받으며 서로 배려하며 가족이 되어간다. ‘세상에 나쁜 개는 없다’ ‘개 밥 주는 남자’와 같은 애견 프로그램도 흥행에 올라 사람들의 높은 관심을 샀다. 최근 반려견과 관련된 사건들이 잇따라 논란이 되었다. 사건이 보도된 후 각종 포털 사이트에선 갑론을박이 계속되었다. “사람을 죽게 했으니 안락사를 시켜야 한다...
-
테샛 공부합시다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TESAT 맛보기
문제 중고차 시장처럼 판매자와 구매자 간 정보비대칭이 심해 불량품이 많이 유통되는 시장을 가리키는 말은? ① 레몬마켓 ② 오픈마켓 ③ 니치마켓 ④ 블랙마켓 ⑤ 그레이마켓 해설 정보의 비대칭성 때문에 저품질의 재화나 서비스만 거래되는 시장 상황을 레몬마켓이라 한다. 중고차 시장에서 차량 품질의 정보를 파는 사람이 독점하며 나타나는 현상이다.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불완전 판매’가 이뤄지는 중고차를 겉은 예쁘지만 ...
-
진로 길잡이 기타
"창구사무와 카드영업은 금융NCS에서 가장 중요해요"
제6회 한경금융NCS 시험이 11월18일(토) 치러진다. 홈페이지( www.금융NCS.com )에서 응시원서접수가 이뤄지고 있다. 금융 분야에서 국내 처음으로 개발된 한경금융NCS에는 금융권 취업을 준비중인 전국 특성화고교생들이 많이 응시한다. 정부가 블라인드 채용을 확대하면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따라 인재를 선발할 것을 강하게 요구함에 따라 한경금융NCS는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시험에 대비하는 수험생들은 그동안 출제된 기출...
-
생글기자
늘어나는 독거노인, 우리의 관심이 필요해요!
전 세계적으로 삶의 질 향상과 의학 기술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있다. 그래서 노인의 인구 비율이 점점 높아지는 추세이다. 그에 따라 대두되는 문제가 있는데 바로 독거노인 문제이다. 게다가 노인들을 부양해야 할 청년들은 점점 줄어들고 있으니 경제적으로 지원을 받지 못하는 독거노인이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 뉴스를 보면 홀로 쓸쓸하게 죽어가는 독거노인들의 사연이 소개될 때마다 안타까움을 자아낸다. 가족이 없는 독거노인들도 있지만 가족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