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금융 상식 퀴즈
1월 10일 (737)
1. 증기발생기, 냉각재 펌프, 가압기 등 주요 기기를 하나의 용기에 일체화한 ‘소형모듈원자로’다. 차세대 원전 기술로 주목받는 이것은?① SMR ② PBR③ HMR ④ NFT2. 경제활동의 주축이 되는 만 15세 이상 인구를 가리킨다. 한국은 급격한 감소 추세를 맞고 있는 이것은?① 총인구 ② 비경제활동인구③ 생산가능인구 ④ 주민등록인구3.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이나 국가가 발행하는 채권으로, 고위험 고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이것은?① 양키본드 ② 제로쿠폰본드③ 딤섬본드 ④ 정크본드4. 코로나19 등과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억눌렸던 소비가 한꺼번에 분출되는 현상을 가리키는 말은?① 부의 효과 ② 보복소비③ 가치소비 ④ 베블런 효과5. 수학과 통계를 기반으로 오로지 숫자만을 고려해 의사결정을 내리는 투자법을 뜻하는 말은?① 대체투자 ② 퀀트투자③ 포트폴리오투자 ④ 역외투자6. 다음 중 ‘OTT’ 서비스에 해당하는 것은?① 카카오톡 ② 우버③ 넷플릭스 ④ 위워크7. 상장사들로 하여금 기업 주가에 영향을 줄 만한 사안을 정기적으로 또는 수시로 투자자에게 알리도록 의무화한 제도는?① 공모 ② 공시③ 증자 ④ 증권8. 기업이 특정 사업부문을 분사할 때, 신설법인 지분을 기존 법인 주주에게 나눠주지 않고 기존 법인이 100%를 갖도록 하는 방식은?① 인적분할 ② 물적분할③ 액면분할 ④ 현물출자▶737회 정답 : 1① 2③ 3④ 4② 5② 6③ 7② 8②
-
생글기자
세상의 흐름 트렌드…새해 계획에 참고해볼까
2022년 새해가 밝았다. 이맘때면 새해에 대한 기대와 흥분 속에 여러 가지 전망이 나온다.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는 지난해 10월 《트렌드 코리아 2022》라는 책에서 올해 주목할 만한 트렌드를 ‘TIGER OR CAT’으로 요약하고, 각 알파벳 머리글자마다 한 가지씩 총 10가지 트렌드를 예측했다. 그중에서도 ‘Gotcha Power’(득템력), ‘Revelers in Health-Healthy Pleasure(헬시 플레저)’ ‘Tell Me Your Narrative(내러티브 자본)’ 등 세 가지가 인상적으로 다가왔다.득템력은 단순히 비싼 상품이 아니라 구하기 어려운 상품을 구입해내는 능력을 말한다. 래플(추첨식 판매) 등 가격 이외 요소가 상품 구매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등장하면서 득템력이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 헬시 플레저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세계를 휩쓰는 가운데 건강과 면역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세태를 반영한다. 건강은 과거에도 주요 관심사였지만 식단 관리, 운동 등을 즐기면서 한다는 점이 요즘 젊은 세대의 특징이다.내러티브 자본은 기업 브랜딩과 정치 등의 영역에서 서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경향을 가리킨다. 내러티브는 단순히 이야기하는 것이 아닌, 자기만의 방식으로 전달한다는 점에서 ‘스토리(story)’와도 차이가 있다. 대통령선거와 지방선거 등 올해 예정된 두 차례 선거는 내러티브 격전장이 될 가능성이 크다.트렌드는 사람들이 살아가는 일정한 방향인 동시에 거꾸로 사람들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세상의 흐름에 주목한다면 개개인의 인생 방향도 더 잘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양승민 생글기자(대건고 2년)
-
생글기자
미세먼지 줄여준다는 인공 강우…다양한 기술연구 필요
지난달 강원 평창군 대관령에서 항공기와 드론을 활용한 인공 강우 실험이 있었다. 인공 강우는 구름 속 작은 물방울이 뭉쳐지도록 ‘비 씨앗’을 뿌려 인공적으로 비가 내리게 하는 것이다. 가뭄을 해소하는 한편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으로도 거론되고 있다.하지만 인공 강우가 실제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많은 전문가들은 지나친 기대는 말아야 한다며 회의적인 의견을 나타내고 있다. 현재 기술 수준에서 인공 강우가 성공할 수 있는 기상 조건과 미세먼지가 많은 날씨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인공 강우는 구름이 많이 낀 저기압 상태에서 성공할 확률이 높다. 구름 속 작은 수증기 입자가 뭉치게 해 빗방울이 되도록 하는 것이 인공 강우의 기본 원리이기 때문이다. 반면 미세먼지는 주로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구름이 많지 않은 날 심해진다. 또 인공 강우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효과를 내려면 강수량이 시간당 10㎜ 이상 돼야 하는데 현재 기술 수준은 이에 못 미친다. 인공 강우에 활용되는 물질인 요오드화 은 등이 인체에 유해하다는 논란도 제기된다.다만 앞으로 기술 발전에 따라 인공 강우의 효과가 달라질 수는 있다. 인공 강우 기술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낼 수 있는 또 다른 기술을 발견해낼 가능성도 있다. 미세먼지 저감은 물론 수자원 관리에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최준원 생글기자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617)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2월 27일 (736)
1. 좌파연합 ‘존엄성을 지지한다’ 소속의 35세 정치인 가브리엘 보리치가 이 나라 최연소 대통령에 당선됐다. 수도는 산티아고인 이 나라는?① 칠레 ② 멕시코③ 아르헨티나 ④ 페루2. 다음 중 한국이 최초의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은 나라는 어디일까?① 칠레 ② 멕시코③ 아르헨티나 ④ 페루3. 한 국가가 필요 시 다른 나라에서 외화를 융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환보유액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제도는?① 통화선물 ② 통화스와프③ 서킷브레이커 ④ 사이드카4. 가계 소비지출액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이다. 생활수준 지표의 하나인 이것은?① 빅맥지수 ② 통화승수③ 지니계수 ④ 엥겔지수5. 특정 품목 수입이 급증해 국내 업체에 피해가 우려될 때 국가에서 발동하는 ‘긴급 수입제한 조치’는?① 비관세화 ② 덤핑③ 엠바고 ④ 세이프가드6. ‘포트폴리오’의 개념을 가장 잘 설명한 투자격언은?① 무릎에서 사고 어깨에서 팔아라② 소문에 사서 뉴스에 팔라③ 밀물이 들어오면 모든 배가 뜬다④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7. 기업의 경영활동과 관련해 총괄적인 책임을 지는 ‘최고경영자’를 뜻하는 약어는?① CFO ② CIO③ CEO ④ CHO8. 한국은행이 집계하는 ‘M1’과 ‘M2’는 무엇과 가장 밀접한 지표일까?① 경상수지 ② 통화량③ 민간소비 ④ 재정지출▶736회 정답 : 1 ① 2 ① 3 ② 4 ④ 5 ④ 6 ④ 7 ③ 8 ②
-
생글기자
디지털 자산 가치 높이는 NFT에 주목하자
NFT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non-fungible token)’이란 뜻으로 디지털 파일의 소유와 거래 기록을 블록체인에 저장해 자산화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NFT 기술을 적용하면 디지털 콘텐츠마다 고유한 인식값이 주어져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다. 소유권이 부여되는 만큼 디지털 자산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이 때문에 게임 등 기존 디지털산업 분야는 물론 예술과 엔터테인먼트 분야도 NFT에 주목하고 있다.예를 들어 예술 작품을 촬영하거나 스캔해 디지털화한 뒤 NFT를 적용하면 대체 불가능한 ‘디지털 원본’이 탄생한다. 이 ‘디지털 원본’은 실물 원본과는 다르지만 가상 세계에서는 ‘진품’의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 생산과 거래, 보관이 쉽다는 기존 디지털 상품의 장점에 희소성까지 갖춰 높은 가치를 평가받을 수 있다는 것이 NFT가 적용된 디지털 자산의 장점이다.그러나 NFT는 몇 가지 문제점도 안고 있다. 우선 실물 자산의 저작권자가 아닌 사람도 NFT를 제작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실물 자산의 저작권자와 NFT를 소유한 사람 간에 분쟁이 발생할 수 있다.디지털 자산의 진품 여부를 인증하는 더 나은 기술이 개발되면 NFT의 효용 자체가 사라질 가능성도 있다.디지털 콘텐츠와 게임산업의 규모가 점점 커지고 메타버스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가상 자산에 소유권을 부여하는 NFT에 대한 관심도 지속될 것이다.이건희 생글기자 (조암중 2년)
-
생글기자
쓰레기 배출 않는 '제로 웨이스트' 소비 실천할 때
MZ세대가 소비의 중심으로 떠오르면서 주목받는 트렌드 중 하나가 ‘미닝 아웃(meaning out)’이다. 미닝 아웃이란 소비를 할 때 단지 물질적 만족감만이 아니라 정치적·사회적 신념과 같은 ‘의미(meaning)’를 표현하려는 소비 경향을 말한다.경제적 효용은 물론 환경, 이웃, 지역, 세계에 미치는 영향까지 고려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제품의 품질이나 가격뿐만 아니라 기업이 사회를 위해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지까지 따져가며 구매하는 ‘윤리적 소비’도 그런 흐름에 속한다.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소비 습관으로는 △아무것도 사지 않는 날을 정하고 실천하기 △재사용·재활용으로 물건 오래 쓰기 △가능하면 걸어서 쇼핑하고 차를 이용할 때는 목록을 정해 한 번에 사기 △취약계층에 일자리를 제공하는 기업의 제품 사기 △재생 소재 제품 구매하기 △면이나 마 종류의 장바구니 쓰기 등이 있다. 쓰레기를 배출하지 않는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 실천 방법으로 ‘5R 소비’도 주목받고 있다. 5R은 《나는 쓰레기 없이 살기로 했다》의 저자 비 존슨이 제안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불필요한 것은 거절하기(refuse) △필요한 것은 줄이기(reduce) △줄일 수 없는 것은 재사용하기(reuse) △재사용할 수 없는 것은 재활용하기(recycle) △나머지는 썩히기(rot)다.집 안 한구석을 가득 채우고 있는 안 쓰는 물건에 스트레스를 받은 적이 있는가. 꼭 필요한 것만 구입해서 쓰고, 버리는 것을 최소화한다면 삶의 만족도는 더 높아질 것이다.김재윤 생글기자 (세현고 1년)
-
생글기자
늘어나는 청소년 자살…다양한 관심·예방책 절실해
대한민국은 ‘자살 1위 국가’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다. 지난해까지 3년 연속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자살률을 기록했다.연령별로 보면 50대가 가장 많지만 10대 청소년 자살 문제도 심각하다. 2011년 이후 매년 청소년 사망 원인 중 자살이 1위를 차지했을 정도다. 교통사고 등 안전사고로 인한 청소년 사망이 매년 줄어드는 것과 달리 청소년 자살은 오히려 늘어나는 추세다.청소년 자살의 특징은 한순간의 충동이 극단적 선택으로 이어지는 사례가 많다는 것이다. 우울증 등의 징후를 전혀 보이지 않다가도 스트레스를 이기지 못하고 급작스럽게 자살을 시도하는 경향이 있다. 조사에 따라서는 청소년의 최대 절반 가까이가 1년에 한 번 이상 자살을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자살을 시도한 적이 있다는 응답도 많게는 10%까지 나온다.청소년들이 자살을 생각하는 이유는 다양하다. 그중에서도 가정폭력, 가족 구성원의 사망, 부모의 이혼과 별거 등이 자살과 관련이 깊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청소년의 스트레스 인지율과 우울감 경험률은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청소년 자살률을 낮추려면 학업 스트레스를 포함해 청소년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 가정환경 악화가 자살로 이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자살 예방 상담 전화(1393), 청소년 상담 전화(1388) 등 고민을 나눌 수 있는 24시간 상담 창구가 있다는 것도 더 많이 알릴 필요가 있다.소현정 생글기자 (염경중 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