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양 기타
(51) 러디어드 키플링 '정글북'
최연소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정글북》은 1894년 발표된 이래 120년이 지난 지금까지 출판, 극장 애니메이션, TV 애니메이션, 영화 등으로 각색되며 사랑받고 있다. 1907년 작가 러디어드 키플링이 이 작품으로 노벨문학상을 받을 때 그의 나이는 41세였다. 최연소 수상 기록은 아직 깨지지 않고 있다. 디즈니 실사판 영화 《정글북》의 원작인 이 작품 주인공은 ‘늑대인간’ 모글리다. 대충 스토리만 훑으면 이 작품의 진면...
-
과학 기타
중력파와 AI, 야누스의 기초과학
로마신화에서 시작의 신은 야누스다. 1월의 영어명 ‘January’도 ‘Janus’라는 이름에서 왔다. 우리는 야누스를 두 개의 얼굴로 기억한다. 신화에서는 농사와 법을 다스리는 얼굴, 그리고 성과 가정의 문을 지키는 얼굴을 앞뒤로 가진다고 한다. 모든 시작은 뒤로 지나온 과거의 끝이면서 앞으로 다가올 미래라는 두 얼굴을 가진다. 시작의 신 야누스가 두 개의 얼굴을 가지는 것은 이런 뜻이 아닐까? 2...
-
커버스토리
커피 만들어 파는 로봇 바리스타
최근 미국에서 로봇 바리스타(사진)가 커피를 만들어 파는 카페가 등장했다. 샌프란시스코 메트레온 쇼핑센터에 있는 카페X(Cafe X)가 그곳이다. 고객이 스마트폰 앱(응용프로그램)이나 터치 화면을 통해 주문하면 로봇이 커피를 전해준다. 자판기와 달리 로봇 바리스타가 직접 카페 라테, 카푸치노 등을 만든다. 로봇이 인간 바리스타 일자리를 파괴할까? 컴퓨터가 타자수 일자리를 없앴지만 더 많고 좋은 일자리가 컴퓨터 부문에서 생긴 것을 생각해보자. 로...
-
커버스토리
미국 행정명령, 테러 방지인가 반이민인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테러위험국 국민의 미국 입국을 금지한 것을 놓고 세계적으로 논란이 일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7일 서명·공표한 행정명령을 통해 7개 테러위험국(이라크 이란 시리아 수단 소말리아 리비아 예멘) 국민에 대한 비자 발급과 미국 입국을 최소 90일간 금지했다. 또한 이민과 구별되는 난민에 대해서도 심사를 강화하고 난민의 미국 입국도 120일 동안 중단시켰다. 한시적이지만 사실상 특정국의 이민을 막는 ...
-
경제 기타
20만원 넘던 제주행 티켓, 반값으로 뚝! 항공권 가격혁신 주도한 'LCC 전성시대'
■ 금주의 시사용어 저비용항공사(LCC) "요즘 해외 여행객 10명 중 3명은 LCC를 탄다. 국내선뿐 아니라 국제선까지 LCC 점유율은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업계에선 'LCC 전성시대'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 ▶한국경제신문 1월31일자 A11면 "LCC는 기내서비스를 줄이고 가격을 크게 낮춰 실속파 여행객에게 인기가 좋아요. 10년 만에 국제선 점유율이 30%를 돌파했어요.&...
-
경제 기타
39회 테샛· 19회 주니어테샛 11일(토) 시행
‘제39회 한경 테샛’과 ‘제19회 주니어테샛’이 오는 11일(토) 오전 10시부터 11시40분까지 80분간 시행된다. 주니어테샛은 오전 10시부터 11시까지 60분간 치러진다. 이번 2월 테샛 시험은 제주를 포함한 전국 12개 고사장에서 시행된다. 주니어테샛은 서울, 인천, 수원, 부산, 대구, 대전의 테샛 고사장을 활용한다. 수험생은 당일 아침 늦지 않도록 자신이 지원한 고사장으로 가는 길을 테샛...
-
경제 기타
음악시장 순위 보면 '저작권 선진국' 보여요 !
■ 아하! 이런 뜻이 풍선효과(balloon effect) 어떤 행위를 억제하기 위한 정책 때문에 오히려 그 행위가 음지서 은밀하게 확산되거나 예상치 못한 부작용을 가져오는 현상. 풍선 한쪽을 누르면 다른 쪽이 불룩 튀어나오는 모습에 빗댄 것이죠. 최대 음악시장은 ‘팝의 본고장’ 미국 음악시장 규모에서 단연 1위는 미국으로 48억9800만달러(약 5조7000억원)에 달했다. 미국은 다양한 장르의 유행을 주도하는 &l...
-
커버스토리
인류 역사는 기회를 찾아 떠난 '이민의 역사'…7개 테러위험국 이민 막는 미국 행정명령 논란
■NIE 포인트 칸트와 하딘은 이민과 난민 수용에 대해 정반대의 주장을 한다. 칸트는 ”세계평화를 위해서“를, 하딘은 ”구명선 두 척 중 하나라도 살리기 위해서’를 주장한다. 토론해보자. 미토콘드리아…“우리는 아프리카에서 왔다” 인류의 역사는 이민(移民)의 역사라고 할 수 있을까? 인간의 세포 속에서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미토콘드리아는 “그렇다&rdqu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