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기타
2017년 세계 시가총액 톱10, 모두 미국기업
우리나라 기업들의 순위는 세계 몇 등일까? 위 그래프는 세계시가총액 톱10 기업의 지난 10년간 변화를 보여준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집계한 수치다. 시가총액은 주식가격×주식수로 산출 시가총액은 그 회사의 발행주식 수와 주가를 곱한 것으로 그 회사 규모를 평가할 때 사용한다. 주가는 기업 실적과 미래가치를 반영하는 것이므로 시가총액은 중요한 지표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가가 1만원이고 발행주식 수가 1000만주인...
-
과학 기타
스티븐 호킹 "인류, 100년내 다른 행성으로 이주해야"
세계적인 천재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영국 케임브리지대 교수(사진)가 인류가 멸종을 피하려면 100년 내 다른 행성으로 이주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영국 매체 더선은 호킹 교수가 영국 BBC의 과학 다큐멘터리 시리즈인 ‘새로운 지구로의 탐험’이라는 프로그램에 출연해 이같이 말했다고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다큐멘터리는 올여름 공개될 예정이다. 호킹 교수는 이 프로그램과의 인터뷰에서 “지구가 기후 변화와 인구...
-
경제 기타
교수 "돈과 지혜 중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인가"…간디 "돈을 택하겠다. 내게 없는 것이므로"
■ 필자 인사 “생글생글 독자를 만날 수 있게 돼 매우 기쁩니다. 중·고교생들이 시장, 기업, 기업가, 정부, 노동, 환경, 복지 등 다양한 경제분야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이야기 형식으로 시리즈를 이어가려 합니다. 저와 함께 길을 떠나 볼까요!” ■ 체크 포인트 우리의 삶은 늘 경제적 선택의 반복이다. 어떤 것을 어떻게 선택할 지는 전적으로 개인에게 달렸다. 선택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들에 대해 논의해보...
-
경제 기타
플라스틱 빗과 바가지 팔아 사업 밑천 마련…라디오사업 위기 이겨내고 전자·화학 성공 일궈
1961년 새해가 밝았지만 구인회는 걱정이 태산이었다. 라디오 사업을 접어야 할 것 같았다. 플라스틱 사업을 잇는 차세대 먹거리로 야심차게 시작한 사업이었다. 그러나 애써 만든 라디오가 팔리지 않았다. 생산에 들어간 비용은 모두 적자로 쌓여갔다. 이러다간 플라스틱으로 번 돈을 모두 날릴 수도 있었다. ■ 기억해 주세요^^ 지금의 LG와 GS칼텍스는 라디오를 만들었던 금성사와 플라스틱 바가지를 제조했던 락희화학에서 시작됐습니다. 국내 4대 그...
-
경제 기타
생글 구독 선생님에겐 한경 구독료 50% 특별 할인
생글생글을 신청해 수업이나 NIE 등에 활용하고 계시는 학교 선생님들께는 한국경제신문 구독료를 50% 할인해드립니다. 할인된 가격으로 1개월에 7500원의 구독료를 받습니다. 생글과 함께 한경을 수업에 활용해 더 큰 학습 효과를 거두실 수 있게 지원하는 취지입니다. 신규 구독을 희망하시는 선생님들께서는 한경 경제교육연구소로 전화(02-360-4051)주세요. 한국경제신문은 앞으로도 더 나은 생글생글을 만들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독자 여러분께 진심...
-
커버스토리
반도체의 힘…한국 경제성장률 올라가요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좋은 쪽으로 바뀌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과 국제통화기금(IMF)이 한 목소리로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올려잡고 있다. KDI는 당초 2.4%에서 2.6%로 전망치를 바꿨고 IMF는 2.6%에서 2.7%로 수정했다. 이같은 낙관은 세계경제 회복 기미와 맞물려 있다. IMF는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4%에서 3.5%로 높여 잡았다. 이를 반영하듯, 지난 1분기(1~3월) 한국의 수출, 생산, 투자가 동...
-
경제 기타
세계 식품시장 6조달러! 'IT+자동차'보다 크다
■ 체크 포인트 우리나라는 대기업 진출이 그 산업을 망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전통시장도 농축산업도 영세상인과 농민들의 반대로 기업의 진출이 막혀 있다. 식품시장이 발전하는데도 우리나라의 기업들은 먼 산 쳐다보듯이 외국계 기업에 다 빼앗기고 있다. 어떤 선택을 하는 것이 발전인지 생각해 볼 시기다. 세계 식품 100대 기업 중 한국은 고작 한 곳 이 데이터의 출처는 영국 리서치업체 데이터모니터와 마켓라인이다. ‘식품산업 주...
-
경제 기타
한경 고교경제캠프 참가해보니…
“꿈이 비슷한 친구들끼리 목표에 맞는 강의들어 좋았어요” 이른바 ‘헬조선’이라는 한국에 대한 몇몇 사람의 평가를 자주 들어왔다. 이 말을 들으면서 나는 한국이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뒤처져 있고, 다른 나라 사람들은 더 잘 살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강의를 통해 일본이나 중국 등의 나라도 모두가 살기 힘듦을 느끼게 됐다. 언제나 나의 삶이 추구하는 방향이 옳은지를 고민해왔었는데, 우리가 겪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