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버스토리
"신산업에 일자리 있다…낡은 규제부터 없애야"
‘취포자’(취업 포기자) ‘문송합니다’(문과라서 죄송합니다) '삼포세대‘(연애·결혼·출산을 포기한 세대) ’헬조선‘(지옥 같은 한국)…. 젊은층에서 회자되는 씁쓸한 신조어들의 어원은 모두 취업난과 연결돼 있다. 과거 어느 세대보다 열심히 스펙 쌓고 공부했는데도 취업문은 열리지 않는다는 절망감의 표현이다. 구직자들이 느끼는 &l...
-
경제 기타
정부가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바꾸라는데…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고용과 노동이슈가 봇물처럼 터지고 있다. 일자리 창출이 시대적 과제처럼 됐으니 당연한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대표적인 게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다. ‘공공기관의 성과연봉제 재검토’ ‘근로시간 단축 법제화’ 같은 아젠다도 조만간 뒤따라 제기될 전망이다. 외형적으로 파급효과가 가장 큰 사안이 비정규직의 인위적인 정규직화다. 강압적으로 밀어붙이는 비정규직 철폐정책은 바람직한 것일까. ○...
-
과학 기타
인간에 '속살' 보여준 목성 "지구만한 초대형 폭풍 관찰"
태양계 다섯 번째 행성인 목성은 고대 로마의 신 ‘주피터’로 불린다. 태양계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이 행성은 그동안 베일에 가려져 왔다. 질량이 지구의 318배지만, 부피는 1400배 이상으로 밀도가 지구의 4분의 1에 불과하다는 정도만 알려졌을 뿐이다. 지난해 7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우주탐사선 ‘주노’가 목성에 도착한 뒤 상황이 바뀌었다. 주피터 아내 이름을 딴 주노는 2011년 발사돼 5...
-
커버스토리
IoT 시대의 딜레마…해킹도 점점 진화한다
‘워너크라이(WannaCry)’라는 악성코드가 최근 세계 컴퓨터 이용자를 긴장시켰다. 이 악성코드에 감염된 컴퓨터의 주인은 아무 일도 할 수 없었다. 해커가 컴퓨터에 들어 있는 주요 자료와 정보에 암호를 걸어 열어보지 못하게 했기 때문이다. 해커는 암호를 풀어준다는 조건으로 돈을 요구했다. 인질의 몸값과 비슷하다고 해서 이런 악성코드는 ‘랜섬웨어(Ransomware)’로 불린다. 해커의 요구액은 300...
-
커버스토리
백신 업데이트만 꾸준히 해도 해킹 막을 수 있죠
PC와 스마트폰을 전 세계 누구보다 많이 쓰는 한국인은 24시간 인터넷 세상에 로그인한 채 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온라인은 사람들의 삶을 편리하게 바꿨지만, 동시에 불특정 다수가 해킹 위협에 노출되는 부작용도 낳았다. 정부와 기업의 보안망 관리 못지않게 개개인의 ‘생활 속 보안 습관’도 중요해지고 있다. 갈수록 교묘해지는 해커들의 기술을 감안하면 해킹에서 100% 안전한 길은 없는 것이 현실이다. 전문가들은 다만 몇...
-
경제 기타
정부가 정당에 국고 보조금을 주는 것은 바람직한가
19대 대통령 선거를 20여일 앞둔 4월18일 각 정당에 거액의 선거보조금이 지급됐다. 국고보조금은 이번에만 421억원에 달했다. 전액 국민 혈세에서 나간 것으로, 국회의원 숫자에 비례해 정당별 지원 금액이 산정됐다. 지급일 기준으로 더불어민주당(119석) 123억5737만원, 자유한국당(93석) 119억9433만원, 국민의당(39석) 86억6856만원, 바른정당(33석) 63억4309만원 등이다. 한국 정치의 후진성을 지적하는 국민 중에는 퇴...
-
경제 기타
최승노 박사의 시장경제 이야기 (4) 재산권은 경제행위의 근본
■ 체크 포인트 이사벨라 버드 비숍이라는 인물을 찾아보자. 비숍 여사는 구한말 조선인들을 보고 “이 나라는 희망이 없다”고 했다. 비숍은 연해주에서 사는 조선인을 보고 생각을 바꿨다. 생각을 바꾼 이유를 재산권과 연결지어 토론해보자. 사유재산이 인정되지 않는 사회에서는 ‘내 것과 네 것’이 분명하지 않아 정직하고 공정한 거래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거래가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거래를 통해 얻게 되는...
-
교양 기타
(63) 북한작가 반디 '고발'
북한작가, 세계를 울리다 우리가 북한문학을 접할 기회는 거의 없다. 무엇보다 북한은 ‘문학’이 생산되기 힘든 풍토다. 모든 자유가 봉쇄된 곳에서 상상의 나래를 마음껏 펼쳐야 하는 창작은 결코 시도될 수 없는 영역이다. 북한에도 작가들이 있고 많은 작품이 양산되지만 일방적으로 체제를 찬양하거나 의도를 갖고 선동하는 것은 창작으로 볼 수 없다. 그간 탈북자나 그들을 취재한 이들이 쓴 북한 관련 책이 나오긴 했지만 제대로 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