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 이슈 찬반토론
정부가 민간의 석탄발전을 LNG로 바꾸라는데…
삼척시에 들어서려던 석탄발전소(삼척 포스파워 1, 2호기) 건설이 중단됐다. 폐광산 부지를 발전소로 개발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려는 프로그램이었다. 탈원전, 탈석탄 에너지정책 때문이다. 정부는 기존의 인허가 절차를 모두 중단하고 사업조건이 완전히 다른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로 전환을 ‘유도’하고 있다. 이 바람에 1976년부터 석회석을 생산했던 불모의 발전예정지는 장기간 방치된 채 오히려 환경문제를 야기하는 상황이다. ...
-
경제 기타
"공공이익 위한 규제라도 사회적 허용범위 넘어선 안돼"
1980년대 후반 대한민국은 투기 열풍으로 인한 심각한 부동산 가격 상승이 문제시됐다. 토지는 공공재(公共財)라는 주장이 널리 확산됐고 이른바 토지공개념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헌법 제122조는 ‘국가는 국민 모두의 생산 및 생활의 기반이 되는 국토의 효율적이고 균형있는 이용·개발과 보전을 위하여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그에 관한 필요한 제한과 의무를 과할 수 있다’고 규정했다. 이런 헌법 규정과 여론에 근거...
-
교양 기타
"이마트 등 신세계 이명희·홈플러스 이승한...복잡한 유통구조 개선해 생활혁명 일으켜"
낙후된 유통구조 이명희, 구학서, 이승한은 한국형 유통혁명의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이름들이다. 이명희는 삼성그룹 창업자 이병철의 막내딸이다. 8남매 중 아버지를 가장 많이 닮았다고들 했다. 신세계백화점을 상속받은 그는 투명하고 윤리적인 경영으로 새롭게 성공시키고 싶었다. 3500억원이라는 상속세를 곧이곧대로 납부한 것이 그 첫걸음이었다. 그다지 크지 않은 자본으로 시작할 수 있는 새로운 사업을 찾다가 미국의 프라이스클럽 등을 모델 삼아 대...
-
경제 기타
기업이 원하지 않는 맹목적인 '스펙'은 도움 안 돼요
야구에는 ‘무관심 도루’라는 흥미로운 상황이 있다. 주자가 도루를 하는데 상대 팀 투수나 포수 가 견제하지 않는 것이다. 말 그대로 도루에 무관심한 상황인데, 대개 양 팀 간 점수 차가 많이 벌어진 경기 후반부에 일어난다. 도루를 막아 봐야 경기의 향방을 바꿀 수 없기에 그냥 내버려 두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하는 도루는 상대 팀을 배려하지 않고 선수가 자기 기록만 관리한 다는 인상을 주기 때문에 비신사적인 행위로 보기도...
-
경제 기타
저금리 시대 끝났다… 기준금리 인상 초읽기
언젠가부터 저축하는 재미를 느낄 수 없다는 사람들이 많다. 10년 전만 해도 연 5~6%대였던 은행 예금 금리는 1%대로 떨어진 지 오래. 돈을 많이 맡겨도 좀체 불어나질 않는다. 반면 대출 금리가 함께 하락하다보니 빚을 내는 사람은 늘어났다. 국내 가계부채는 10년 새 두 배 이상 불어나 1400조원에 이른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각국은 일부러 이자율을 확 낮추는 정책을 폈고 한국도 마찬가지였다. 소비와 투자를 유도해 얼어붙...
-
커버스토리
한국 신용등급은 20년 사이 V자로 올랐어요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최근 미국 출장길에 오를 때마다 ‘무디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피치’라는 회사의 고위 임원들을 꼭 만났다. 이들 기업은 국가 신용등급 평가에 있어 세계적 권위를 인정받는 3대 신용평가 회사다. 북핵(北核) 위기가 고조되면서 신평사들이 한국의 등급을 낮출 가능성이 제기되자 “한국은 결코 위험하지 않다”는 점...
-
교양 기타
(82) 앙드레 지드…'좁은 문'
평가가 상반된 작품 한국 기독교 역사가 130년이 된 데다 성경에 기초한 서양문학이 우리와 친숙하기 때문인지 문학과 일상에서 기독교 용어 사용이 빈번해졌다. ‘좁은 문, 13일의 금요일, 새 술은 새 부대에, 솔로몬의 지혜, 선한 사마리아인, 에덴의 동쪽, 카인의 후예’ 등은 비유적으로 쓰이는 기독교 용어다. 누가복음 13장 24절 ‘좁은 문으로 들어가기를 힘쓰라’는 말씀을 바탕으로 앙드레 지드는 『...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21) 마키아벨리(중) 로마사 논고
어느 작품 하나로 유명하게 된 배우가 그 후 다른 작품에서 배역을 꽤 괜찮게 소화했는데도 처음 배역에 워낙 그 배우의 이미지가 고정되는 바람에 여간해서 빛을 발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 는 정치 철학에서 마키아벨리에게도 어느 정도 들어맞는 것처럼 보인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마키 아벨리하면 《군주론》만을 떠올린다. 그래서 마키아벨리가 원래 공화주의의 대가였다는 사실도 지금까지 많이 가려져 있는 편이다.《군주론》이 마키아벨리 정치 철학의 전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