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숫자로 읽는 세상

    삼성 배터리 단 '현대 전기차' 유럽 달린다…탄력 받는 삼성·현대차 '電車 동맹'

    삼성SDI가 2026년부터 현대자동차의 차세대 전기차에 들어갈 각형 배터리를 공급한다. ‘삼성표’ 전기차 배터리가 현대차에 탑재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삼성이 차량용 반도체에 이어 전기차의 심장 격인 배터리까지 현대차에 납품하면서 두 그룹의 ‘전차(電車) 동맹’이 한층 공고해지는 모습이다. 어제의 경쟁자, 오늘의 파트너로 삼성SDI는 2026년부터 7년간 현대차에 전기차 배터리를 공급한다고 지난...

  • 디지털 이코노미

    혁신은 정부·민간 장점 결합할 때 가속

    혁신의 주체에 대한 의견이 다양하다. 민간이라는 의견부터 사실은 정부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의견, 그리고 스타트업의 전유물이라는 주장에서부터 대기업이 오히려 혁신에 유리하다는 의견까지, 혁신의 주인공을 둘러싼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 혁신을 둘러싼 의견은 경제학자들 사이에서도 다양했다.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으로 담아내기 어려운 이슈였기 때문이다. ‘보이지 않는 손’은 이기적인 수요자와 공급...

  • 과학과 놀자

    투자수익 따라 상금액 바뀌고, 공동수상자엔 나눠 지급

    지난 10월 2일 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물리학상, 화학상, 문학상, 평화상, 경제학상 등 6개 부문에서 총 11명이 노벨상을 받았다. 과학 분야만 살펴보면 생리의학상은 코로나19 mRNA(메신저리보핵산) 백신을 개발한 2명, 물리학상은 아토초(100경분의 1초) 단위의 짧은 순간을 포착하는 빛을 만들어낸 3명, 화학상은 양자점을 개발해 관련 기술 상용화를 이끈 3명의 과학자에게 돌아갔다. 과학계는 대체로 수상이 유력한 분야에서 수상자가 나왔다고...

  • 커버스토리

    20여일 앞둔 수능…최대 변수는 국어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20여 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월드컵도 첫 경기가 중요하듯이 수능도 1교시가 중요합니다. 최근 몇 년간 수능에선 많은 수험생이 1교시 ‘불국어’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첫판부터 ‘멘붕’에 빠지지 않고 높은 점수를 얻으려면 반드시 잡아야 하는 게 국어입니다. 이번 수능은 이른바 ‘킬러 문항’은 배제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익숙하지 않은 글을 읽...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한국인보다 한국을 더 사랑한 미군 장성

    10월 24일은 1945년 유엔 창설을 기념하는 유엔의 날이다. 1975년까지만 해도 공휴일이었으나 지금은 유엔군이 한국전쟁에 참전한 일을 기념하는 정도에 그친다. 그것도 일부 관련 인사들만 참석할 뿐 대부분의 사람은 유엔의 날에 대해 잘 모르는 게 현실이다. 한국전쟁에서 전사한 분들이 잠들어 있는 유엔기념공원이 부산에 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도 많지 않다. 2023년 4월 5일 준공 72주년을 맞은 유엔기념공원에는 호주(281명), 캐나다(...

  • 경제 기타

    경제활동의 신호등, 가격

    제84호 주니어 생글생글 커버 스토리 주제는 가격입니다. 가격은 경제 활동에서 신호등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가격에 따라 소비자는 무엇을 얼마나 살지, 생산자는 무엇을 얼마나 만들지를 결정합니다. 수요의 법칙과 공급의 법칙, 이 두 가지가 맞물린 수요·공급의 법칙에 따라 가격이 결정된다는 점을 알기 쉽게 설명했습니다. 내 꿈은 기업가에선 서커스를 예술의 경지로 끌어올린 태양의 서커스 창업자 기 랄리베르테를 소개했습니다.

  • 경제 기타

    나라 경제가 대상…최대 관심은 안정적 성장이죠

    경제학에서는 시장과 관련된 경제이론을 미시경제 이론이라고 부른다. 지난주까지는 중·고등학생이 알아두면 유익한 기초적인 미시경제 이론에 대해 설명을 했다. 이번 주부터는 거시경제 이론이라고 부르는 경제이론들에 대해 설명을 해나갈 예정이다. 거시경제 이론은 경제 현상이 나타나는 범위를 시장에서 국가로 확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발생하는 주요 경제 현상들을 설명한다. 거시경제 이론에 대한 학습이 끝나고 나면 경제 현상이 나타나는 범위를 국...

  • 디지털 이코노미

    하루아침에 이뤄지는 혁신은 없다

    단언컨대, 혁신은 점진적이다. 성공한 혁신은 200년 전이든, 상류의 기술이든, 작은 장치로 구현되었든, 파괴적인 충격을 야기했든 상관없이 동일하다. 거의 언제나 점진적이지 갑작스럽지 않다. ‘와우’ 소리가 절로 나는 이유는 모든 일이 지난 뒤에 얻은 깨달음이거나 과정에 대한 어떤 지식도 없는 주체가 결과만 본 경우이다. ‘유레카’는 아르키메데스가 욕탕에서 뛰어나오면서 지른 소리로 유명하다. 하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