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교양 기타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꾼 비결 [고두현의 아침 시편]

    사람들은 불가능하다고 말하지 에드거 게스트 누군가 그런 일은 불가능하다고 말했지. 하지만 그는 껄껄 웃으면서 대답했어. “그럴지도 모르죠.” 스스로 해보기 전에는 알 수 없는 일. 그는 싱긋 웃으며 덤벼들었지. 걱정하는 기색조차 없었어. 노래를 부르며 남들이 할 수 없다던 일과 씨름했고, 결국 그 일을 해냈지. 누군가 비웃었어. “아무도 한 적이 없는 일을 네가 한다고?” 하지만 ...

  • 경제 기타

    한글, 왜 소중할까요

    제82호 주니어 생글생글 커버 스토리 주제는 한글입니다. 577돌 한글날을 맞아 한글 창제와 보급, 발전에 기여한 역사 속 인물들을 살펴봤습니다. 한글이 우리 국민의 교육 수준을 높여 경제 성장에 이바지했다는 점도 설명했습니다. 내 꿈은 기업가에선 도요타자동차의 창업자 도요타 기이치로를 소개했습니다. 원래 방직기 제조회사였던 도요타를 자동차회사로 탈바꿈해 일본을 대표하는 기업으로 성장시킨 기업가의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 사진으로 보는 세상

    가을이 성큼…쌀쌀해진 등굣길

    가을이 성큼 다가와 쌀쌀해진 지난 4일 대구 수성구 한 중학교 앞에서 긴소매 옷에 외투까지 챙겨 입은 학생들이 등교하고 있다. 뉴스1

  • 디지털 이코노미

    침체하는 실리콘밸리, 아프리카 벤처에서 배워야

    어느 분야의 스타트업이든 자금조달은 기업의 수명 연장을 위한 핵심으로 알려져 있다. 아프리카라고 예외는 아니다. 하지만 이들은 가장 적은 자본을 조달하면서 수명이 가장 길었다. 가장 많은 자본을 조달하지만 수명이 짧은 미국 기반의 스타트업과 확연히 대조되는 모습이다. 자본조달을 중시하는 미국의 스타트업 아프리카의 클레오스 어드바이저리 아프리카 창업자인 글로리 에닌나야와 나이지리아 라고스 팬애틀랜틱대학 교수인 올라미투냐 다카레 교수는 미국과 ...

  • 경제 기타

    보험 믿고 부주의운전 하는 경우죠

    정보의 비대칭적 상황 때문에 생겨나는 또 다른 문제로 ‘도덕적 해이(moral hazard)’가 있다. 이는 거래나 계약이 이뤄진 이후 주어진 의무를 소홀히 하는 현상으로, 대개 본인(principal)과 대리인(agent)의 관계에서 나타난다. 본인은 일을 시키는 사람이고, 대리인은 대신 일을 처리하도록 부탁받은 사람을 뜻한다. 만약 본인과 대리인이 보유한 정보가 비대칭적이라면 대리인의 행동에서 도덕적 해이가 나타나게 된...

  • 시사 이슈 찬반토론

    특정대학 쏠림 '공기업 지역인재 의무채용', 문제 없나

    가을 취업 시즌이다. 수시 채용 기업이 늘어나고 있지만, 대학·고교 졸업 예정자들에겐 연례행사처럼 된 정기 채용이 매우 중요하다. 공공기관은 채용도 정부 시책에 따를 수밖에 없다 보니 정책이 중요하다. 지역 균형 발전 차원에서 정부는 지방 이전 공기업 등에 대해 일정 비율 이상의 해당 지역 인재를 채용하도록 의무화했다. 기업 이전만으로는 정체된 지방을 살리기에 부족하고, 현지 채용까지 해야 효과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전국 각지 혁신...

  • 과학과 놀자

    413일 주기로 출현…보름달보다 14% 크고 30% 밝아

    지난달 29일, 올해 마지막 '슈퍼문'이 추석 밤하늘에 등장했다. 슈퍼문은 달의 공전(한 천체가 다른 천체 주위를 주기를 가지고 도는 운동) 궤도상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에 있을 때 뜨는 보름달을 뜻하는데 올해는 7월에 한 번, 8월에 두 번, 9월에 한 번씩 총 4번 등장했다. 지난달 29일, 올해 마지막 ‘슈퍼문’이 추석 밤하늘에 등장했다. 슈퍼문은 달의 공전(한 천체가 다른 천체 주위를 주기를 가지...

  • 커버스토리

    월 6.5만원 무제한 교통카드…서울시 '담대한 실험' 성공할까

    서울시가 대중교통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교통카드를 내놓기로 했습니다. 월 6만5000원으로 지하철, 시내·마을버스, 공공 자전거 ‘따릉이’ 등을 무제한 탈 수 있는 교통카드입니다. 내년 1월 1일부터 5개월간 시범 운영한 뒤 7월 1일부터 전면 도입할 계획입니다. 서울시는 교통카드 이름을 ‘기후동행카드’라고 지었습니다. 대중교통 이용을 유도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임으로써 기후 위기에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