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기타
어려운 나라 돕는 이면엔 국익 확보 경쟁
“아프리카에 한국의 벼 농업 기술과 종자 등을 전수하는 ‘K라이스벨트’ 프로젝트에 코트디부아르와 시에라리온이 참여하기로 했다. 애초 8개국이던 참여국은 10개국으로 늘었다. K라이스벨트는 한국이 통일벼를 아프리카 기후에 맞게 개량한 신품종과 재배 기술을 아프리카에 전수해 쌀 증산을 지원하는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이다.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에 들어가 2027년까지 연 3000만 명이 먹을 수 있는 200만t...
-
경제 기타
경제성장 보여주는 지표…금융상품 등은 제외하죠
국가경제를 대상으로 하는 거시경제이론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경제지표에 대한 공부가 필요하다. 경제지표는 경제성장과 경기변동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만든다. 1차적인 경제 데이터를 가공하거나 인위적인 조사를 통해 얻게 되는 수치다. 경제지표는 여러 종류가 있다. 주로 한국은행이 만든다. 국가경제 상황을 알려주는 가장 대표적인 경제지표로는 국내총생산(GDP), 물가지수, 실업률 등이 있다. 이번 주에는 GDP에 대해 살펴보자. GDP는 &lsq...
-
사진으로 보는 세상
'독도의 날' 퍼포먼스
경북 포항 동지중학교와 동지여중, 동지여고, 동지고교 학생 1000여 명은 지난 23일 학교 운동장에서 ‘독도의 날(25일)’을 앞두고 독도 글씨 퍼포먼스를 펼쳤다. 이날 행사에서는 서예가 쌍산 김동욱 작가가 쓴 ‘대한민국’ 글씨와 함께 학생들이 ‘독도’ 글씨를 만들며 우리 땅 독도의 소중함을 되새겼다. 뉴스1
-
숫자로 읽는 세상
삼성 배터리 단 '현대 전기차' 유럽 달린다…탄력 받는 삼성·현대차 '電車 동맹'
삼성SDI가 2026년부터 현대자동차의 차세대 전기차에 들어갈 각형 배터리를 공급한다. ‘삼성표’ 전기차 배터리가 현대차에 탑재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삼성이 차량용 반도체에 이어 전기차의 심장 격인 배터리까지 현대차에 납품하면서 두 그룹의 ‘전차(電車) 동맹’이 한층 공고해지는 모습이다. 어제의 경쟁자, 오늘의 파트너로 삼성SDI는 2026년부터 7년간 현대차에 전기차 배터리를 공급한다고 지난...
-
디지털 이코노미
혁신은 정부·민간 장점 결합할 때 가속
혁신의 주체에 대한 의견이 다양하다. 민간이라는 의견부터 사실은 정부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의견, 그리고 스타트업의 전유물이라는 주장에서부터 대기업이 오히려 혁신에 유리하다는 의견까지, 혁신의 주인공을 둘러싼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 혁신을 둘러싼 의견은 경제학자들 사이에서도 다양했다.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으로 담아내기 어려운 이슈였기 때문이다. ‘보이지 않는 손’은 이기적인 수요자와 공급...
-
과학과 놀자
투자수익 따라 상금액 바뀌고, 공동수상자엔 나눠 지급
지난 10월 2일 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물리학상, 화학상, 문학상, 평화상, 경제학상 등 6개 부문에서 총 11명이 노벨상을 받았다. 과학 분야만 살펴보면 생리의학상은 코로나19 mRNA(메신저리보핵산) 백신을 개발한 2명, 물리학상은 아토초(100경분의 1초) 단위의 짧은 순간을 포착하는 빛을 만들어낸 3명, 화학상은 양자점을 개발해 관련 기술 상용화를 이끈 3명의 과학자에게 돌아갔다. 과학계는 대체로 수상이 유력한 분야에서 수상자가 나왔다고...
-
커버스토리
20여일 앞둔 수능…최대 변수는 국어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20여 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월드컵도 첫 경기가 중요하듯이 수능도 1교시가 중요합니다. 최근 몇 년간 수능에선 많은 수험생이 1교시 ‘불국어’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첫판부터 ‘멘붕’에 빠지지 않고 높은 점수를 얻으려면 반드시 잡아야 하는 게 국어입니다. 이번 수능은 이른바 ‘킬러 문항’은 배제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익숙하지 않은 글을 읽...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한국인보다 한국을 더 사랑한 미군 장성
10월 24일은 1945년 유엔 창설을 기념하는 유엔의 날이다. 1975년까지만 해도 공휴일이었으나 지금은 유엔군이 한국전쟁에 참전한 일을 기념하는 정도에 그친다. 그것도 일부 관련 인사들만 참석할 뿐 대부분의 사람은 유엔의 날에 대해 잘 모르는 게 현실이다. 한국전쟁에서 전사한 분들이 잠들어 있는 유엔기념공원이 부산에 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도 많지 않다. 2023년 4월 5일 준공 72주년을 맞은 유엔기념공원에는 호주(281명), 캐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