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버스토리
68혁명은 어떻게 시작됐나…
권위적 교육제도에 불만 품은 학생들 반기 사회전반으로 좌파사상 확산 프랑스 68혁명은 1968년 3월 파리 낭테르대(현재 파리 10대학) 학생들이 '여자 기숙사를 개방하라'라는 슬로건을 갖고 학내 집회를 가짐으로써 시작되었다. 남자 기숙사는 여학생이 출입할 수 있으나 여자 기숙사에 남학생 출입을 금지시키는 것은 불평등하다며 시작된 집회는 '사랑할 수 있는 자유'를 명분으로 급속히 확산되었다. 파리 당국은 2개월 넘게 지속된 이 시위를 ...
-
커버스토리
"68혁명은 후대에 빚만 남겨줬다"
68혁명 지지자들은 이 혁명이 권위적이고 동맥경화에 걸린 프랑스의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여성들에게 낙태할 권리를 주는 등 인간 자유와 복지에 큰 역할을 했다고 평가한다. 이들은 지금 프랑스의 젊은이들도 68혁명의 가치를 인정하고 그 정신을 계승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프랑스 청년들은 68혁명으로 인해 너무나 많은 손실을 입고 있는 게 현실이다. 20년 동안의 장기적인 경제 침체로 인해 실업률이 8%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
-
경제 기타
오륜기 간데 없고 오성홍기만 '펄럭펄럭'
중화 애국주의에 물든 성화봉송 현장 반(反)서방 분위기가 고조되면서 지난달 30일 올림픽 개막 D-100일 잔치는 중국인만의 축제가 돼 버렸다. 시내 곳곳에서 개최하려던 문화 행사는 대부분 취소됐다. 베이징의 젊은이들이 많이 모이는 광화루인근 더 플레이스 광장에서 행사를 준비하던 한 중국인은 "행사 전날인 지난달 29일 밤 베이징 공안국에서 이를 취소한다"는 짤막한 통지문을 받았다고 황당해 했다.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마라톤대회가 열리긴 ...
-
과학 기타
지구 온난화의 진실…재앙 아니면 과장?
이번 '지오 사이언스'에 발표된 연구결과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량을 분석,지구 온난화의 책임이 인류에 있다는 IPCC 보고서를 확인하고 있다. 인류가 화석 연료를 집중적으로 사용하기 전의 고대 자연상태에서 대기 중 이산화탄소 과다 현상을 일으키는 요인은 주로 화산 폭발이었으며 이때 방출된 이산화탄소는 시간과 함께 산이 흡수해 결국 깊은 바다 속 해저에 묻혔다. 지비 교수는 이처럼 지구의 자정 능력이 작동하는 자연 상태에서 지난 60만년 동안...
-
경제 기타
ETF는 업종 대표 기업주식 한데 묶은 상품
개별 종목 매매 위험 줄여 수익 안정적 코스피지수가 하락세를 멈추고 반등을 모색하던 2월 초, 투자자 A씨가 주식 투자에 나섰다고 가정하자. A씨가 IT(정보통신)업종의 전망이 유망하다고 판단했다면 어느 종목을 샀어야 했을까? 같은 IT 업종군의 종목이라도 회사별 상황이 다르고, 기관이나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매 패턴도 제각각이기 때문에 쉽게 결정할 수 없었을 것이다. 만약 A씨가 2월 초 당시 LG전자를 샀더라면 최고의 선택을 한 것이다...
-
경제 기타
불심검문 불응자 형사처벌해야 하나요?
찬 "질서가 유지될 때 인권도 보호된다" 반 "공권력의 횡포이며 인권침해 행위" 경찰이 불심검문 때 신분증을 보여주지 않는 시민들에 대해 벌금,구류,과료 등 형사처벌을 할 수 있도록 경찰관 직무집행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경찰 쪽에서는 "불심검문의 강제 요건이 없어 수배자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다"며 "범죄 예방 차원에서 이러한 불심검문제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국민의 일상생활에 다소 불편을 준다고 해도 국...
-
경제 기타
폭력은 어떤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
지난 4월27일 국내에서 일어난 중국인 유학생 폭력 사태는 중국인들의 인간성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한다. 일부 인터넷 게시판에서는 이번 사건을 둘러싸고 중국에 대한 네티즌들의 비판이 격렬해지고 있다. 왜 하필 한국의 성화 봉송 때 이런 일이 발생했는가 하는 의문을 제기해 볼 수 있다. 티베트 정책에 항의하는 시민단체와의 충돌이 발단이 됐다지만 티베트 사태에 대한 반대 여론이라면 아시아 국가보다 서구 사회의 반발이 더 심했기 때문에 의아하게...
-
경제 기타
중국의 오만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중국 시위대의 폭력이 난무했던 바로 그날, 서울 탑골공원에선 티베트 평화연대 주최로 '티베트 평화를 기원하는 평화의 성화 봉송'이 시작됐다. 평화 성화 주자 33인은 평화의 성화를 들고 광화문 사거리까지 걸었다. 티베트 평화연대가 주장한 반 올림픽,반 중국 발언들은 중국 유학생들의 자존심을 건드린 것으로 보인다. 티베트 평화연대와 중국 유학생들의 대립은 이번 폭력 시위에 가장 큰 원인이다. 하지만 티베트 평화연대와 이에 참석한 티베트인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