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디지털 이코노미

    "첨단기술도 인간과 협업해야 생산성 극대화"

    1976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밀턴 프리드먼은 ‘뉴욕 타임스’에 짧은 글을 남겼다. 제목은 매우 대담했다. ‘프리드먼 독트린’. 프리드먼은 기고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잘못 이해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기업은 오로지 이윤을 높여 주주에게 더 높은 수익을 가져다주는 것에만 신경을 써야 한다고 설명하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이윤을 올리는 것”이라고 표현했다. 1980년대는 경...

  • 키워드 시사경제

    2차전지 핵심 원자재…'하얀 석유'로 불리죠

    아무리 좋은 스마트폰이라도 배터리가 나가면 무용지물이다. 거의 모든 기기가 전자화되는 디지털 세상에서 배터리의 중요성은 커지고 있다. 반도체에 이어 2차전지가 차세대 유망 산업이라는 얘기를 경제 뉴스에서 자주 접하는 이유다. 사실 2차전지의 사전적 의미는 간단하다. 일반 건전지처럼 방전되면 수명이 끝나는 배터리는 1차전지이고, 충전해서 다시 쓸 수 있는 배터리는 2차전지다. 수십 년 전부터 쓰여온 2차전지가 ‘폭풍 성장’을...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슈퍼 개인의 시대…콘텐츠로 세상을 바꿔보라

    ‘따라 하면 결과가 따라오는 SNS 마케팅 성공 공식’이라는 부제를 단 <1등은 당신처럼 SNS 하지 않는다>는 ‘SNS를 이렇게 운영하라’고 말하는 대신 수많은 사례를 보여주는 책이다. 기업이나 관공서, 개인이 어떻게 SNS를 활용하는지 진솔하게 풀어나가는 가운데 ‘나도 이렇게 하면 되겠다’는 법칙을 자연스럽게 체득하게 만든다. 정진수 저자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인스타...

  • 교양 기타

    이해인 수녀가 암을 이긴 비결 [고두현의 아침 시편]

    가장 거룩한 것은 장재선 겨울 끝에서 봄이 일어나는 것처럼 명랑 투병으로 희망을 일으킨다는 당신, 웃는 얼굴이 떠오릅니다. 단정한 시를 쓰는 분이 그렇게 말이 빠를 줄은 몰랐지요. 암을 다스리는 분이 그렇게 많이 웃을 줄도 몰랐지요. 교도소 담장 안의 이들과 편지를 나눈 이야기를 하다가 세상 떠난 이들이 사무쳤던 당신, 끝내 눈시울을 붉혔지요. 가장 거룩한 신앙은 가장 인간적인 것임을 알려준 당신, 웃다 울다 하...

  • 경제 기타

    총수요와 총공급 함수 통해 도출하죠

    이번 주부터는 본격적으로 국가 경제의 작동과 관련된 거시경제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거시경제 이론의 핵심은 한 나라의 균형총생산이 결정되는 과정이다. 한 나라의 균형총생산이 결정되어야 그 나라의 경제가 잘 성장하는지, 경기변동이 어느 정도 발생하는지에 대해 평가를 한다. 그에 따라 성장률을 높이거나 경기변동을 줄이는 경제정책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균형총생산에는 단기균형총생산과 장기균형총생산이 있다. 단기와 장기의 균형총생산이 결정되는 과...

  • 경제 기타

    대리인이 자기 이익을 추구할 때 문제가 생기죠

    금융상품을 소비자에게 제대로 설명하지 않고 판매하는 ‘불완전판매’는 잊을 만하면 뉴스에 나오는 소재입니다. 금융상품을 판매하는 사람이 단기 실적을 위해 금융상품의 위험성을 고객에게 제대로 설명하지 않아 생기는 문제죠. 이런 문제를 설명하는 경제 이론이 있습니다. 바로 ‘주인-대리인 문제’입니다. 수능에서는 비문학 지문이나 토론형 문제 등으로 다양하게 출시될 수 있는 소재입니다. 주인-대리인 문제란 ...

  • 숫자로 읽는 세상

    K방산 또 축포…한화, 호주에 장갑차 첫 수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미국, 영국, 독일 등 방산 선진국을 제치고 호주 정부로부터 장갑차 수주를 따내는 데 성공했다. 12월 4일 폴란드와의 K-9 자주포 수출 계약에 연이어 ‘수주 잭팟’을 터뜨린 것이다. 방산 수입국이던 한국이 재래식 무기 분야에서 완전한 수출 국가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 ‘K-방산’은 방산 분야 꿈의 무대인 미국 시장 진출까지...

  • 과학과 놀자

    태양 입자와 지구 대기가 마찰하는 광전현상

    겨울밤 북극 하늘에서는 초록빛 오로라가 피어난다. 오로라는 로마 신화에서 매일 아침 태양의 도래를 알리는 새벽의 여신 '아우로라' 이름에서 유래했다. 새벽의 여신이 여는 하늘의 문이라 불리는 이유다. 그러나 실상을 안다면 결코 아름답게만 보이진 않을 것이다. 강렬한 오로라의 출현은 자연이 선사하는 낭만의 순간이지만, 동시에 통신장비 혼란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이기도 하다. 오로라는 태양풍과 지구 자기장의 합작으로 탄생한다. 태양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