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한국은 왜 북한보다 잘 사나…자본축적의 차이

    미국은 왜 러시아보다 잘 살까. 우리나라는 왜 북한보다 잘 살까. 지구상에선 어떤 나라는 '더 싸고 더 좋은' 상품과 여가를 즐기며 살고, 어떤 나라는 빈곤 속에서 허덕일까. 질문에 대한 답은 여러 가지 일 수 있다. 경제학에서는 이유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자본축적과 1인당 자본재 투입량의 차이(결과적으로 생산성의 차이) 때문이다.' 모든 경제에서 최종생산은 학교에서 배운 '생산의 3요소(토지, 노동, 자본)' 결합으로 이뤄진다. 경제학자들...

  • 커버스토리

    채권·주식·환율·금리…자본시장을 읽는 키워드들

    키워드는 어떤 현상을 설명하는 핵심어다. 논술에서 글을 쓸 때도 키워드는 매우 중요하다. 키워드가 잘 정리되면 글이 일관성을 유지하고 쓰기도 훨씬 편해진다. 공부도 마찬가지다. 핵심어를 머릿속에 넣고 있으면 원리를 이해하는데 효율성이 크게 높아진다. 금융시장이나 자본시장도 기본 용어를 잘 이해하면 큰 흐름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특히 경제신문을 읽으려면 경제 관련 용어 숙지가 중요하다. 자본·금융시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용어들을...

  • 경제 기타

    시간 선택제, 주부여성·퇴직자에겐 '기회'

    고용률을 높일 '묘안'이 될 것인가 아니면 실현 가능성이 떨어지는 '공약(空約)'으로 끝날 것인가. 박근혜 정부의 핵심 고용정책인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두고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정부는 잘만 된다면 고용률 70% 달성도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반면 일각에선 목표치를 너무 높게 잡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재계에선 정책 취지는 좋으나 이를 뒷받침할 정부 정책의 허점이 많다는 비판도 제기한다. #고용률 70% 위한 주력 정책 정부가 시간선택제 일자리 ...

  • 경제 기타

    "겨울방학…테샛 경제캠프에서 시작해요"

    겨울방학을 어떻게 시작할까. 무엇인가 재미있고 유익한 캠프가 있다면! 명문대에 입학한 선배들과 공부법과 진로고민에 대해 얘기를 나누고 대학교수들의 경제·경영 강의를 듣고, 전국의 고교친구들을 만날 수 있다면! 재미와 유익함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캠프가 오는 28일(토)일 서울 남산 동국대 캠퍼스에서 열린다. 바로 제6회 한경테샛 경제리더스 캠프다. 테샛 경제리더스 캠프는 지난 5회를 거치는 동안 국내 최고의 고교 경제캠프로 자리...

  • 경제 기타

    한경·민성원연구소 공동 개최, 겨울방학 공부 전략 설명회

    한국경제신문은 오는 10일 서울 강남구 청담동 46-11 민성원연구소에서 '겨울방학 대비 공부전략 설명회'를 민성원연구소와 함께 갖는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민성원연구소장과 한국경제신문 박주병 경제교육연구소 소장이 특목고 상경계 대학 진학을 위한 장기 전략을 제시하고 주니어 테샛 활용 방안을 설명한다. 오전 10시 초등, 오후 1시 중등 대상으로 설명한다. 부산에서도 해운대구 우동 1518 센텀 메디컬센터 빌딩 8층에서 12월 9일 오전 10시...

  • 경제 기타

    방학맞아 23일· 30일자 휴간합니다^^

    생글생글 독자여러분 안녕하세요. 2013년도 이제 한 달 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한 해를 시작한 지 엊그제 같은데 달력이 마지막 잎새처럼 달려 있습니다. 하지만 학교현장은 연말의 상념에 젖을 틈도 없이 수능성적 발표후 대학 정시전형으로 바쁠테지요. 며칠 사이 불어닥친 비바람에 헐벗어진 나목(裸木)을 봅니다. 혹시 수능이후 좌절감에 갈 곳 잃어하는 제자들, 친구들이 없는 지 꼭 살펴봐 주세요. 그리고 노력한 것보다 성적이 덜 나온 친구들, 왜 공...

  • 커버스토리

    창조와 혁신…기업가정신이 답이다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은 기업의 본질인 이윤을 추구하고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기 위해 기업가가 갖춰야 할 자세나 정신을 일컫는다. 창의적 아이디어, 위기를 극복하는 불굴의 정신, 신제품 개발, 신시장 개척, 조직의 효율적 운영, 인재 육성, 공정한 경쟁, 사회적 책임, 미래를 예측하는 통찰력 등은 기업가정신을 이루는 핵심 요소들이다. 미국의 경제학자 조지프 슘페터(1883~1951)는 기업가정신을 주창한 대표적 인물이다. 그...

  • 경제 기타

    원격진료는 필요할까요

    정부가 오는 2015년부터 원격진료를 허용하는 의료법 개정안을 입법예고하면서 이를 둘러싼 논란이 한창이다. 의사가 직접 환자와 대면하지 않고 진단을 하고 처방을 내리는 원격진료는 그동안 수차례 도입이 논의됐으나 그때마다 번번이 무산됐다. 이에 따라 25년째 시범사업만 해오고 있는 게 현실이다. 보건복지부의 안은 전면적 원격 진료는 아니고 고혈압 당뇨와 같은 만성질환자 및 정신질환의 재진 환자를 대상으로 동네병원에만 우선 허용하겠다는 것이다.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