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버스토리
곳곳서 서성대는 '빅 브러더'들…당신은 감시당한다!
'빅 브러더'(big brother)는 정보의 독점으로 사회를 통제하는 관리 권력, 혹은 그러한 사회체계를 일컫는 말이다. 사회학적 통찰과 풍자로 유명한 영국의 소설가 조지 오웰(1903~1950)의 소설 《1984년》에서 비롯된 용어이다. 긍정적 의미로는 선의 목적으로 사회를 돌보는 보호적 감시, 부정적 의미로는 음모론에 입각한 권력자들의 사회통제를 뜻한다. 《1984년》에서 빅 브라더는 텔레스크린을 통해 소설 속의 사회를 끊임없이 감시한다...
-
커버스토리
금융정보는 돈… 유혹에 약한 보안
1억4000만건의 개인정보 유출사건이 발생했다. 경남 창원검찰이 밝혀낸 국내 최대 규모의 유출범죄다. KB카드, 롯데카드, NH농협카드 고객의 정보가 몽땅 털렸다. 보안담당자 한 사람이 이름 주민등록번호는 물론이고 집주소 전화번호 카드사용한도 카드번호 사용실적 신용등급 정보를 빼내갔다고 한다. 외부 해킹이 아니라 내부인의 소행이라는 데 충격은 더 크다. 정보 거래는 중대 범죄 영화에서 자주 보는 장면이 있다. 주인공이 동네깡패에게 용돈을 집...
-
커버스토리
인기 직업으로 떠오른 보안 전문가
컴퓨터 보안전문가는 가장 유망한 직종이다. 이런 전망은 오래전부터 나왔다. 10년 전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당시 367개 직업에 대한 향후 인력 전망을 한 적이 있다. 그때 직능원은 컴퓨터 보안전문가를 단연 첫손에 꼽았다. 보안전문가의 사회적 위상뿐 아니라 소득수준도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본 것이다. 최근 10년 사이 보안전문가를 위한 일자리는 끊임없이 늘어나고 있다. 유선과 무선 인터넷의 발달과 각종 상거래의 폭발적 증가는 그 배경이다. 은행...
-
경제 기타
(4) 소비·생산·분배활동은 서로 의존하는 경제활동
첫째 시간에 우리는 경제활동을 소비 생산 분배 등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이들 경제활동은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학생들이 분식집에서 떡볶이를 먹는 소비를 하려면 분식집이라는 기업은 떡볶이를 생산해서 팔아야 합니다. 또 떡볶이를 사 먹으려는 학생들은 생산과정에 참여해 일을 하거나 용돈을 받아야 합니다. 이와 같이 소비, 생산, 분배 활동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고 어느 활동이 하나라도 없다면 다른 활동도 연...
-
경제 기타
퍼블리시티권 보장법이 필요하다 등
퍼블리시티권 보장법이 필요하다 지난달 9일 연예인 35명이 서울 강남 소재의 한 성형외과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에서 패소했다. 소송 이유는 이 성형외과가 운영하는 블로그에 자신들의 이름과 사진이 포함된 게시물을 올려서 자신들의 퍼블리시티권을 침해당했다는 것이었다. 퍼블리시티권(right of publicity)이란 유명인이 자신의 성명이나 초상을 상품 등의 선전에 이용하여 경제적 이득을 취하는 것을 허락하는 권리이다. 이 권리는 1953...
-
경제 기타
너무 다른 한국과 미국의 고교 교육…어디가 정답? 등
너무 다른 한국과 미국의 고교 교육…어디가 정답? “한국사회에서는 대학 졸업장이 필수죠. 흔히 말하듯 좋은 직업을 갖고 성공하려면 명문이라 불리는 학교를 졸업해야 하고요.” 한국의 의무교육은 초등학교부터 중학교까지 9년이다. 의무교육에 해당되지 않는 고등학교의 경우도 진학률이 거의 100%에 가까우며, 대학진학률 또한 80%에 달한다. 이처럼 고등교육을 받기 위하여 고등학교에 진학하고, 대학입시를 준비하는 학생들이 많으면 많을수록 입시경쟁은...
-
경제 기타
경기 좋아져도 젊은이 일자리는 '바늘 구멍'
ILO, 청년실업 우울한 보고서 글로벌 경제가 저성장세를 지속하면서 세계가 청년실업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지난해 전 세계 청년(15~24세) 실업률이 성인(24세 초과) 실업률의 세 배 수준으로 상승해 격차가 사상 최대 수준으로 벌어진 것이다. 또 실업자들이 일자리를 찾는 데 걸리는 시간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에 비해 두 배 수준으로 늘었다. - 1월22일 한국경제신문 ☞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와 그 뒤를 이은 유럽 재정위기로 많은 사...
-
경제 기타
빌 게이츠 “북한 외 모든 나라 2035년까지 절대빈곤 벗어날 것”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주 빌 게이츠가 20년 뒤 세계의 모습을 전망했다. 2014년 현재 절대 빈곤에 허덕이는 나라가 많지만 2035년쯤 절대 빈곤 국가가 사라질 것으로 봤다. 낙관적인 문명 발전이라는 지적도 있지만 인류 문명진화 과정에 비춰보면 그리 놀랄 전망은 아니다. 빌 게이츠는 이런 전망을 '빌 & 멀린다 재단'이 발행한 '2014년 연례 서한'에 공개했다. 이 재단은 자신과 부인인 멀린다가 운영하는 세계 최대 자선단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