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기타
금융NCS 교원 직무연수 '성황'
한국경제신문사가 주최하고 유비온(와우패스), 금융NCS 교육협의회가 후원한 ‘제3차 금융NCS 교원 직무연수’가 지난 18일 서울 중림동 한국경제신문사 3층 드림 강의실에서 열렸다. 참가 교사들은 금융NCS 시험과 출제 방향, NCS 직업기초능력 학습 방법에 큰 관심을 보였다. 금융NCS 1종 과목별 수험 전략과 은행권 취업 활용 요령에도 만족감을 표시했다.
-
경제 기타
9월 테샛시험, EBS방송으로 준비하자
EBS가 국가공인 1호 경제경영이해력 검증시험인 테샛(TESAT) 강좌를 방송한다. EBS 방송을 활용하면 오는 9월24일 치러지는 제36회 테샛 정기시험을 더 쉽고 편리하게 대비할 수 있다. 한국경제신문사가 시행하는 테샛의 추천교육기관인 와우패스(www.wowpass.com)는 25일부터 9월23일까지 5주간 EBS가 테샛 강좌를 방송한다고 발표했다. 테샛 강의는 매주 목요일과 금요일 두 차례 방송되며 방영 시간은 오전 8시30분부터 9시까...
-
경제 기타
지구촌 강타한 '포켓몬고'…새 비즈니스 창조
포켓몬고 인기비결은 ‘스토리’ 포켓몬은 ‘주머니 속의 요괴’를 뜻한다. 1990년대 인기 만화 ‘포켓몬스터(pocket monster)’의 약칭이기도 하다. 일본은 20세기 초부터 ‘요괴학’을 학문으로 인정해 끊임없이 연구하고 지원해 왔다. 일본 민담 속 요괴를 어린이용 캐릭터로 발전시켜 탄생한 것이 포켓몬이다. 포켓몬은 1996년 닌텐도 비디오 게임으로 ...
-
커버스토리
수능 최저학력기준 충족 여부·학생부 유불리 따져야
해마다 논술전형 모집인원은 대학별로 약 5~10%씩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논술전형으로 선발하는 인원은 모든 대학을 기준으로 하면 4.2%인 1만4861명에 불과하지만 서울 주요 대학을 포함한 상위권 대학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약 24%까지 올라간다. 연세대는 683명(20%), 고려대 1040명(27.4%), 서강대 364명(22.8%), 성균관대는 1154명(35.4%)을 선발한다. 학생부교과, 학생부종합전형 등은 교과성적이 우수하거나 비교과...
-
커버스토리
학생부전형 전성시대…모집정원 60% 이상 선발
2017학년도 입시는 작년과 동일하게 ‘학생부’, ‘논술’, ‘실기’, ‘수능’ 등으로 단순화해 시행된다. 정부의 공교육 정상화 정책 시행 이후 학생부전형은 선발 비율이 전체 모집인원 중 지난해 56.9%, 올해 60%로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학생부전형은 교과와 종합으로 다시 나뉘는데, 학생부를 주요 전형요소로 반영하는 전형이라는 점은 동일하되 학생부교과...
-
숫자로 읽는 세상
요동치는 국제정세…'내편 없던' 러시아, 각국서 러브콜
‘고립무원(孤立無援).’ 지난해까지만 해도 러시아는 국제무대에서 외톨이였다. 문자 그대로 누구의 도움도 없이 홀로 서 있었다. 2013년 3월 우크라이나 크림반도를 자국 영토로 병합하면서 유럽연합(EU)의 경제제재가 시작됐다. 시리아 내전 과정에서 독재자로 비판받는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을 지원하자 국제사회의 눈총이 쏟아졌다. 급기야 터키 공군에 전폭기를 격추당하는 모욕까지 당했다. 상황은 올해 들어 급반전했다. 격변하...
-
경제 기타
상반기 세계 무역 6년만에 최저, 세계 떠도는 보호주의와 고립주의 '악령'
◆ 상반기 세계 무역액 급감 상반기 세계 무역액이 6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추락했다. 세계 경기 침체와 디지털 무역 증가,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무역액이 이례적으로 2년 연속 줄면서 나타난 기현상이다. 한국의 상반기 수출액은 전년보다 감소폭이 두 배로 늘면서 세계 7위로 한 계단 떨어졌다. 22일 세계무역기구(WTO)에 따르면 올 1~6월 전 세계 주요 71개국 간의 무역액은 14조4250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4% 감소했다. -8...
-
경제 기타
전기요금 누진제 완화해야 할까요
올여름 유례 없는 폭염이 지속되면서 가정용 전기요금 누진제를 손봐야 한다는 주장이 잇따르고 있다. 폭염으로 일반 가정에서도 에어컨 사용이 급증하면서 전기 사용량도 덩달아 크게 늘어 이른바 ‘전기 요금 폭탄’을 맞는 가정이 증가하고 있어서다. 우리나라 주택용 전기요금은 2007년부터 현재까지 6단계의 누진요금 체계로 운영되고 있다. 최저구간과 최고구간의 누진율은 11.7배다. 월평균 전력소비가 100㎾h 이하면 원가의 절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