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글기자
#우정와플 #이팔청춘 #낭랑18세
2-3반 아이들아! 모두 많이 애정해♥ 대학 입시라는 큰 산을 넘기위해 하루하루 빠듯하게 살아가는 우리들이지만 항상 함께라는 생각에 든든해. 피치못하게 서로 경쟁자가 되어야하지만 멋진 선의의 경쟁을 펼쳐보자! - 이** #롯데월드 #나이트파티 #할로윈 #좀비 롯데월드 나이트파티에 다녀왔어~^^ 심야로 운영해서 피곤했지만 정말 재밌었어! 좀비 분장을 한 사람들과 사진도 찍고 색다른 경험이었어ㅎㅎㅎ 사람이 정말 많아서 놀이기...
-
커버스토리
4500억원짜리 '슈퍼 현미경', 세계 세번째…우주·생명 연구
‘슈퍼 현미경’으로 불리는 4세대 방사광 가속기다. 물질의 미세구조와 현상을 관찰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현미경이다. 살아 있는 물질의 분자구조 움직임을 나노초(10억분의 1)의 1000만 분의 1초인 펨토초(1000조분의 1초) 단위까지 분석한다. 상상 이상의 빠른 속도로 이뤄지는 광합성과 생명 화학반응을 보기 위해서는 이런 현미경이 필요하다. 미국 일본에 이어 세계 세 번째인 슈퍼 현미경은 지난달 29일 포항공대에 설치...
-
커버스토리
신자유주의 석학들의 모임 '몽펠르랭 소사이어티'
2차 세계대전 상처가 채 아물지 않은 1947년 4월2일. 스위스 몽펠르랭(펠르랭山) 파르크호텔에 39명의 ‘순례자’가 모였다. 일생을 경제학과 철학에 바치기로 한 지식인들이다. 순례자를 뜻하는 펠르랭과 잘 어울리는 학자들이었다. 세계대전 이후의 지구촌을 걱정한 이들은 1주일 동안 회의를 연 뒤 이렇게 선언했다. “문명의 중심가치가 위기에 처해 있다. 모든 것을 부정하는 역사관이 팽배하고 법의 지배가 무너졌다.&...
-
경제 기타
한경 고교 경제캠프 열린다
제20회 한경 고교 경제 리더스캠프가 오는 10월29일(토) 서울 고려대 현대자동차경영관에서 열린다.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되는 당일 프로그램이다. 고교 경제 캠프는 평소 경제에 관심이 있으며 상경계 진학을 희망하는 전국 고등학생들이 참가한다. 주요 프로그램은 경제학 강의, 최고경영자(CEO) 특강, 대입전략 강의, 멘토와의 대화로 구성돼 있다. 경제학의 양대산맥으로 불리는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은 경제학 전공자라면 반드시 들어야 ...
-
경제 기타
1억명이 지켜본 힐러리 vs 트럼프 첫 TV토론
미국 대통령선거 향배에 큰 영향을 미칠 첫 텔레비전(TV) 토론회에서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후보가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에게 압승했다. 약 1억명에 이르는 미국 시청자의 표심(票心)을 선점한 건 클린턴의 이 한마디 “대통령이 될 준비했다”였다. 토론회 직후 한 여론조사에서 클린턴이 잘했다는 응답이 62%에 달한 데 비해 트럼프는 27%에 그쳤다. 1차 토론에서 크게 뒤진 것으로 나타나자 트럼프는 오는 15일(현지시간) ...
-
커버스토리
"번영은 시장에서 온다"…신자유주의 경제 지성들의 외침
몽펠르랭 소사이어티(Mont Pelerin Society·MPS)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자유주의 경제학자 프리드리히 하이에크(1899~1992) 주도로 1947년 스위스 몽펠르랭에서 만든 모임이다. 창립 당시 경제학자, 역사학자, 철학자 39명이 참가했으며 현재 회원은 60개국 700명 정도다. 2차 세계대전 직후 확산되던 공산주의와 케인스학파에 맞서 자유주의 시장경제를 전파하는 것이 설립 목적이다. 몽펠르랭은 스위스 로잔 호숫가 인...
-
커버스토리
경제적 자유는 작은 정부·자유경쟁·규제완화
세계 경제학계는 크게 두 갈래로 나뉜다. 존 메이너드 케인즈를 필두로 하는 개입주의와 프리드리히 하이에크가 이끄는 자유주의다. 경제학계에서는 케인즈쪽을 주류 경제학으로, 하이에크쪽을 비주류 경제학으로 대개 구분한다. 학교에서 가르치는 대부분의 경제학이 케인즈 학파가 주창하는 경제이론들이다. 둘 중에 몽펠르랭소사이어티가 추구하는 경제학이 바로 ‘하이에크 자유주의’다. 하이에크 ‘자유’ vs.케인즈 &l...
-
숫자로 읽는 세상
위안화 '세계 5대 화폐'로… 중국, 미국 달러화 패권에 도전
다음달 1일부터 중국 위안화가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SDR) 통화 바스켓에 정식 편입된다. 신흥국 통화 중 첫 번째 준비통화로 인정받는 것으로 2차대전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이어진 국제 금융질서와 한국을 포함한 각국 경제에 커다란 변화를 몰고 올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SDR은 회원국이 경제적으로 어려움에 처했을 때 담보 없이 인출할 수 있는 가상적인 국제 준비자산이자 통화다. 1970년 도입 당시에는 SDR과 미국 달러화 가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