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남 따라하는 묻지마식 소비가 밴드왜건 효과죠

    선거판에서 시간이 흐를수록 유력 후보자에 지지가 몰리는 것도 '밴드왜건 효과'라고 부릅니다 '밴드왜건'은 퍼레이드 맨 앞에서 행렬을 선도하는 마차나 차량을 가리키는 말이에요 재커리 테일러가 미국 대통령이 된 이유 재커리 테일러(Zachary Taylor)는 정치권의 테두리 밖에 있던 사람으로서 미국 대통령에 당선된 최초의 인물이다. 평생을 전쟁터에서 보낸 직업군인이던 그는 휘그당(공화당 전신) 대통령 후보로 ...

  • 경제 기타

    투표 연령 하향은 정말 합리적일까?

    만 18세 청소년들이 정치적으로 미숙하다고 이야기할 수 있을까요? 기존의 만 19세 이상으로 되어 있는 선거 연령을 만 18세로 낮춰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찬반 논란도 뜨겁다. 과연 고등학교 3학년에 해당하는 만 18세 학생들에게 선거권을 부여해도 괜찮은 것일까? 이를 반대하는 주요 근거로는 만 18세가 합리적인 정치 사고와 판단 능력이 확립되지 않은 미숙한 학생이라는 점과 선거권이 정치의 이론적 교육 수단으로 이용되어서는 안 된...

  • 경제 기타

    #대학교탐방 #꿈 #도전 #화이팅

    고등학교 3학년에 올라가기 전에 친구들과 서울을 다녀왔다. 친구들과 놀러 갔다기보다, 3학년이 되기 전에 대학을 보고 왔다. 내 목표는 서울에 있는 학교에 오는 것이 꿈이다. 서울에 올라오기 전 버스에서 많은 생각을 해봤다. 나는 아직 서울에 있는 학교를 올 수 없는 성적이다. 하지만, 1년 동안 열심히 한다면 반드시 올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고속터미널에 내려 지하철을 타고 많은 학교를 돌아다녔다. 아직은 많은 것이 신기했지만, 열심히 해...

  • 커버스토리

    미국 백악관 주인교체…들어가는 트럼프, 나오는 오바마

    오는 20일 미국 대통령 관저인 백악관의 주인이 바뀐다. 제45대 대통령 당선자인 도널드 트럼프(왼쪽)가 들어가고 44대 대통령인 버락 오바마는 나온다. 트럼프는 자유, 작은 정부, 감세,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우는 반면 오바마는 정부 개입과 규제, 증세, 평등을 선호했다.

  • 경제 기타

    다시 '경제적 자유'를 생각한다

    2017년 경제가 어려울 것이라는 소리가 많이 들린다. 경제성장의 동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걱정도 많다. 한 해를 막 시작한 지금 경제를 발전시키는 힘을 새삼 생각해보게 된다.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는 혁신과 창의성, 끊임없이 도전하는 기업가정신, 시장을 중시하는 정부의 경제정책, 정치적 안정 등이 모두 핵심 요인들이다. 무엇보다 그 바탕에는 ‘경제적 자유’가 있다. 경제적 자유는 근대 경제학의 문을 연 영국의 경제학자 애덤...

  • 경제 기타

    반도체 가격 다시 치솟아, 만드는 곳은 전세계 3곳 뿐…한국 대호황!

    ■ 금주의 시사용어 반도체 슈퍼사이클 “D램 가격이 가파르게 치솟으며 반도체업계가 슈퍼호황(super cycle)을 맞고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올해 영업이익은 25조원을 넘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한국경제신문1월6일자 A1면 한국 경제를 먹여살리는 주력 수출품목 중 대표적인 것이 반도체다. 여러 전자기기에 꼭 들어가기 때문에 ‘산업의 쌀’이라고 불리는데, 이 반도체...

  • 경제 기타

    생글생글 새단장했어요 ^^

    생글생글(생각하기와 글쓰기)이 2017년 새해를 맞아 새롭게 단장했습니다. 보기 좋고, 읽기 쉽고, 이해하기 쉬운 생글로 독자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전체적으로 기사량을 줄이고 여백을 많이 둬 읽기 편하도록 편집을 바꿨습니다. ‘대한민국 기업가 이야기’를 새로 연재하고 영어면을 확대하는 등 콘텐츠도 더욱 풍부해졌습니다. 기사의 성격에 맞춰 면 배치도 일부 조정했습니다. 1면 생글생글 제호 디자인부터 변화를 줬습니다. 한국경...

  • 경제 기타

    대한민국은 지구촌 몇 개 나라에 수출할까?

    ■ 아하! 이런 뜻이 스파게티볼 효과 스파게티볼 효과 여러 국가와 동시다발적으로 FTA를 체결하면 국가마다 서로 다른 원산지 규정, 통관 절차, 표준 등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손해를 보는 것. 음식이 복잡하게 엉킨 모습과 비슷하다고 해서 붙은 이름. 이런 나라에도 수출을 한다고? 이 통계에 따르면 한국 상품은 총 237개국에 수출됐다. 유엔 회원국(193개국)이나 코카콜라 판매국(220여개국)보다도 많으니 지구상에 한국산 제품이 안 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