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마크롱의 '신 시장개혁 정책'이 프랑스 일자리 늘렸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던 프랑스 제조업이 ‘마크롱 효과’로 살아나고 있다. 세계 경기가 회복세를 타는 가운데 노동, 세제를 중심으로 한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의 친(親)시장 개혁정책이 기업 투자와 고용을 촉진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 30일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프랑스는 2009년 이후 처음으로 지난달 공장이 순증했다. 새로 문을 연 공장이 문을 닫은 공장 수를 넘어섰다. 수출 제조...

  • 경제 기타

    "성을 쌓는 자 망하고, 길을 가는 자 흥하리라"

    인류 역사상 가장 큰 제국을 건설했던 칭기즈 칸은 “성을 쌓는 자 망하고, 길을 가는 자 흥하리 라”라는 멋진 유언을 남겼다. 성을 쌓지 말라는 게 정확히 칭기즈 칸의 말인지에 대해서는 논란 이 있다. 당시 몽골은 문자가 없었기에 기록을 남겨야 한다는 생각 자체를 하지 않아 이게 정확 히 칸의 말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하지만 이게 칸의 말이라고 두고두고 회자되는 데는 다 이유 가 있을 것이다. “성을 쌓지 말라...

  • 커버스토리

    '공룡 포털' 네이버가 어쨌길래 …

    ‘네모난 초록색 검색창’ 하면 떠오르는 네이버는 국내 독보적인 1위 포털사이트다. 회원이 4200만 명이 넘고, PC 검색시장 점유율은 70%대에 이른다. 스마트폰으로도 매일 평균 2700만 명이 접속한다. 세계 거의 모든 나라의 포털시장을 장악한 미국 구글조차 한국에선 네이버에 눌려 점유율이 한 자릿수에 그치고 있다. 네이버는 1999년 작은 벤처기업으로 출발해 연매출 4조원대 기업으로 성장했다.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

  • 커버스토리

    "교육·학습 방법 획기적으로 달라져야"… 글로벌 인재포럼 2017

    교육과 학습은 첨단 정보기술(IT) 시대에 가장 크게 변할 분야 중 하나다. 캠퍼스를 둔 대학은 30년 안에 없어지는 등 교육방식이 혁신될 것이란 분석이 많다. 10월31일부터 11월2일까지 서울에서 열린 ‘글로벌 인재포럼 2017’에서 IT 및 교육 전문가들은 ‘정보기술 시대의 교육혁명’을 한목소리로 강조했다. 유무선 온라인 시대에 개인들이 제작한 교육 콘텐츠가 자유롭게 공개되면 기존 교육산업은 위기...

  • 경제 기타

    "1000분의 1초 줄여라"… 스포츠도 과학이죠

    첨단 소재, 첨단 설계가 기록이다 “침대는 가구가 아닙니다. 과학입니다”라는 광고 문구가 눈길을 끈 적이 있다. 단순하게 나무로 짜서 만든 가구가 아니라 인체 구조에 맞게 과학적으로 설계한 가구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 광고를 벤치마킹하면 이런 말도 만들 수 있겠다. “스포츠는 운동이 아닙니다. 과학입니다.” 스포츠에서 과학이 그만큼 중요해졌다는 뜻이다. ‘스포츠 사이언스(sports s...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정부가 시중은행의 대출금리 인상에 제동 걸려 하는데 …

    금융감독당국이 시중은행들의 대출금리 올리기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금융위원회와 그 지휘를 받는 금융감독원이 공조하고 있다. 정부가 시중 민간 은행의 ‘기본 영업’에 개입한 배경은 상승세를 보이는 금리 때문이다. 다중·과다 대출자의 이자 부담을 줄여주자는 취지다. 하지만 금리가 오르고 내리는 것은 시중의 자금사정에 따른 ‘돈값’(금융시장의 가격 결정) 문제인 데다 개별 은행의 경영전략이어서 ...

  • 경제 기타

    한국 여권 있으면 117개국을 무비자로 들어가요

    여권에도 힘이 있을까? 한국 여권은 세계 몇 위일까? 글로벌 금융자문회사인 아톤 캐피털(Arton Capital)은 세계 199개국을 대상으로 매년 ‘여권 파워 순위’라는 여권 지수를 발표한다. 여권 파워 순위는 그 나라의 여권으로 비자 없이 방문할 수 있거나, 비자를 즉석에서 발급받을 수 있는 나라의 수를 기준으로 판단한다. 이 지수에 따르면 한국 여권은 무비자 입국(117개국) 또는 비자를 입국한 공항에서 즉석 발급(...

  • 경제 기타

    거래 거절한 독점기업, 제재할 수 있을까?

    시장경제에서 독과점 상태는 규제 대상이다. 우리 법체계에서 독과점 규제는 두 가지 특징을 보여왔다. 시장지배적 지위 자체를 금지하는 것이 아니라 그 지위 남용을 규제한다는 점, 그리고 금지하는 남용 행위들이 불공정 거래 행위와 유사한 외형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두 유형에 모두 해당하는 행위가 발생할 경우 독점기업에 의한 것이라면 시장지배적 지위 남용으로, 일반 기업에 의한 것이라면 불공정 거래 행위로 규제되는 것으로 생각돼 왔다. 그런데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