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정부가 할 일을 '위원회'에 미루면 안되겠죠

    [사설] 노동시장 양극화 해소, '위원회'에 떠넘기지 말고 제도 개혁 결단해야 현 정부 들어 계층 간 소득격차가 심화된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빈익빈(貧益貧)이 문제의 본질이겠지만, 계속 벌어지는 부(富)의 격차를 내버려둘 수는 없다. 양극화는 사회 곳곳에서 나타나는 구조적 문제다. 특히 경제적 양극화는 좌우·보혁 진영 논리를 떠나 우리 모두가 고민하고 지혜를 모아야 할 당면 과제다.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 경제 기타

    왕실·교회·귀족에 고용돼 창의력 잃었던 고전음악…'천재' 모차르트, 19세기 자유화 타고 독립해 대활약

    모차르트는 ‘음악의 신동’으로 불렸다. 이미 네 살 때 피아노를 연주할 수 있었고, 다섯 살 때는 바이올린을 연주하며 직접 곡을 만들기도 했다. 이뿐만 아니라 모차르트는 어렸을 때부터 어떤 곡이라도 30분 내에 완벽하게 연주할 수 있었고, 한 번 들은 음악은 아무리 복잡한 곡이라도 악보에 정확히 옮겨 적을 수 있는 천재였다. 모차르트와 자유 그래서 모차르트는 35년이라는 짧은 인생에도 불구하고 온갖 장르를 넘나들며 빼어...

  • 디지털 이코노미

    '스마트'는 IT 지식이 바탕이 된 관찰·분석에서 나와

    오늘날 대부분의 기업은 소프트웨어 혹은 데이터 기업이다. 해당 기업이 표준산업분류상 제조업인지, 서비스업인지와 무관하다. 어떤 산업의 기업이더라도 소프트웨어와 데이터 경쟁력 없이는 본연의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가치를 창출할 수 없는 까닭이다. 소프트웨어나 데이터를 자기 분야에 활용하는 기업만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승자로 거듭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오늘날 기업의 양극화는 대기업인지 중소기업인지보다 데이터와 소프트웨어 활용 여부에 달려 있다....

  • 커버스토리

    위기의 '공유경제'…기득권 눈치보는 규제에 제동걸리나

    우버X, 콜버스, 카카오T 카풀, 풀러스. 2014년 이후 한국에서 시도됐다가 중도에 종료됐거나 영업이 제한된 모빌리티(이동수단) 서비스들이다. 검찰이 지난달 28일 불법 딱지를 붙인 VCNC의 ‘타다’ 서비스도 같은 전철을 밟을지 모를 위기다. 검찰이 최근 렌터카 기반 승합차 호출 서비스인 타다를 기소하면서 공유경제가 후퇴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미 미국은 물론 동남아시아에서도 공유경제를 기반으...

  • 커버스토리

    14일은 대입 수능일…수험생 여러분을 응원합니다!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오는 14일(목)에 치러진다. 올 응시자는 54만8734명으로 지난해보다 4만6190명 줄었다. 저출산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로 수능 응시자는 해마다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다. 수능은 오전 8시40분부터 오후 5시40분까지 전국 1185개 시험장에서 치러지며, 모든 수험생은 오전 8시10분까지 시험장에 입실해야 한다. 수능은 정시는 물론 최저학력기준을 맞춰야 하는 논술전형에서도 매우 중요한 시험이다. 시험 성적표는 ...

  • 경제 기타

    비트코인 금지한 중국이 '디지털 화폐' 찍는다는데…

    중국 인민은행이 세계 중앙은행 중 처음으로 디지털 공간에서만 사용하는 화폐를 내놓을 예정이다.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일종의 ‘디지털 화폐’를 중앙은행이 선보이는 것이다. 중국은 지금까지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화폐 사업은 엄격히 금지해왔다. 국가가 아닌 제3의 다른 누군가가 화폐를 찍어내는 것을 ‘권력에 대한 도전’으로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이랬던 중국이 블록체인 분야를 선도하고 국제금융 질서를 ...

  • 숫자로 읽는 세상

    글로벌 혁신지수 2위 스웨덴…기초과학 투자로 스타트업 키웠다

    노벨상과 이케아, 볼보로 유명한 스웨덴은 세계에서 손꼽히는 혁신 강국이다. 우수한 기초과학 역량을 앞세운 산·학·연의 활발한 협력이 스웨덴을 세계 최고 혁신 강국으로 키웠다는 분석이 나온다.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가 지난 8월 공개한 ‘글로벌혁신지수(GII) 2019’에서 스웨덴은 스위스에 이어 2위에 올랐다. 한국은 11위를 차지했다. 2017년 기준 스웨덴 정부·민간의 연구개...

  • 숫자로 읽는 세상

    종교인 과세, 지난해 소득의 1.2% 수준 그쳐

    지난해 1월부터 종교인 과세가 시행됐지만 이들이 낸 세금은 소득의 약 1%에 그친 것으로 드러났다. 세금 부담이 일반 직장인의 5분의 1도 안 된다. 종교인 과세 제도를 지나치게 관대하게 설계한 탓에 조세형평성이 훼손됐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최근 국세청의 ‘2018년 6월 귀속분 종교단체의 원천세 신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작년 6월 ‘종교인소득’을 신고한 8000개 종교단체의 급여 지급액은 2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