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버스토리
경제는 평화를 사랑해…전쟁은 번영의 적이죠
경제는 평화를 좋아합니다. 평화롭고 전쟁이 없는 곳에서 경제는 잘 성장합니다. 이것은 경제가 지닌 기본적인 속성에서 비롯됩니다. 경제는 사람들이 농사를 짓고, 다양한 생필품과 물건을 만들고, 서로의 필요에 따라 교환과 거래를 하고, 그것으로 삶을 영위하는 모든 활동을 말합니다. 이런 활동은 평화로운 곳에서 잘 이뤄질 겁니다. 폭탄이 터지고, 총알이 빗발치고, 사람이 죽는 곳에선 어떨까요? 한 치 앞을 볼 수 없는 전시 상태인데 누가 제조, 거래...
-
시사 이슈 찬반토론
2년 간 세 번 유예 했는데…또 연장한 '코로나대출' 문제없나
세 번이나 반복됐던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코로나 대출’에 대한 만기연장 및 상환유예 조치가 한 번 더 연장된다. 코로나 충격이 닥쳤던 지난 2년 새 네 번째 획일적 연장이다. 이번에도 정부 주도로 이뤄졌는데, 당초 ‘2022년 3월 말까지만’이라고 했던 시한을 또 넘기게 됐다. 늘 그렇듯이 이번 일률적 연장 조치도 금융위원회가 나서 은행장을 끌어모은 시중은행장 간담회를 통해 ‘전달&rsqu...
-
사진으로 보는 세상
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 개막
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장애인올림픽)이 4일 개막했다. 13일까지 열리는 이번 패럴림픽에는 세계 50여 개국에서 약 1500명의 선수단이 참가하며 알파인스키, 스노보드, 크로스컨트리 스키, 바이애슬론, 아이스하키, 휠체어컬링 6개 종목에서 총 78개의 금메달을 놓고 경쟁한다. 전 중국 패럴림픽 높이뛰기 국가대표 허우빈(가운데)이 중국 베이징의 톈단(天壇)에서 성화를 점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
커버스토리
투키디데스 "강대국에 대한 신흥국의 도전"…칸트 "전쟁은 악, 인류를 멸망으로 이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전쟁이 일어났습니다. 러시아는 “전통적으로 친러시아였던 우크라이나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에 들어가는 것을 허용할 수 없다”라는 명분을 내세워 전쟁을 일으켰습니다. 세계 2위 군사 대국의 공격에 우크라이나가 결연히 맞서 싸우는 중입니다. 미국과 NATO 동맹국들은 러시아를 경제 제재하기 시작했고 자칫 잘못하다간 국제전으로 번질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 우리는 전쟁이 없는, 평화로운 세상...
-
키워드 시사경제
숲 조성·청년 창업가 육성…지속가능 지구촌 이끌죠
SC그룹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정책 방침에 따라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금융 투자, 리스크 관리, 지배구조 체제를 확립하고 있다. 그룹의 환경 보호 전략에 따라 저탄소·그린에너지 정책에 비즈니스 디지털화로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 지역사회공헌 전략에 따라 미래를 이끌 청년층의 사회적 불평등 해소와 경제적 자립 지원을 목표로 금융 교육, 취업 및 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꾸준히 펼치고 있다. 투명한 기업...
-
주코노미의 주식이야기
한 회사의 주식을 소유한 사람들을 '주주'라 하죠, 주주들이 모여 중요한 일 결정하는 건 '주총'이죠
주주가 됐다는 것은 기업의 주인이 됐다는 의미입니다. 회사가 벌어지는 일들에 대해서 의결권을 보유하게 되는 것이죠. 상법상 상장사들은 1년에 한 번, 정기 주주총회를 통해 여러 안건을 결의해야 합니다. 우리나라 대부분 기업은 3월 말에 주주총회를 엽니다. 어떤 안건들이 다뤄지는 총회에 어떻게 참석할 수 있을까요? 주주총회 왜 열지? 주주는 회사의 주인입니다. 어떤 일을 결정하려면 지분을 갖고 있는 모든 주주들의 의견을 수렴해야 하기에 주주총...
-
디지털 이코노미
세계 2대 맥주기업이 합치니 일자리가 줄어드네
칼도어가 찾아낸 규칙성은 오랜 기간 유지됐다. 헝가리 태생이면서 영국 런던경제대 교수였던 니콜라스 칼도어는 전체 국내총생산(GDP)에서 노동과 자본이 차지하는 몫은 언제나 각각 3분의 2와 3분의 1 수준이라는 점을 밝혀냈다. 경제구조가 농업에서 제조업 중심으로 변할 때도 이 규칙은 변하지 않았다. 경제학에서는 이 놀라운 규칙성을 ‘정형화된 사실’이라고 표현해왔다. 낮아지는 노동의 몫 하지만 1980년대를 지나며 다른 ...
-
커버스토리
해상권 잃은 스페인…배상금에 허덕인 독일, 전쟁은 한 나라와 세계 경제 패권을 바꿨다
전쟁은 한 나라의 경제와 세계 경제 패권을 극적으로 바꾸었습니다. 전쟁이 경제력과 국방력을 소진하기 때문이죠. 그리스 로마 시대부터 중세, 근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전쟁을 자주 한 나라는 기울거나 망했습니다. #그리스와 로마의 몰락 BC 5세기 아테네와 스파르타를 중심으로 한 그리스는 페르시아와의 전쟁에서 승리했습니다. 페르시아에 결정적 타격을 가한 살라미르 해전은 유명하죠. 승리의 기쁨도 잠시. 아테네와 스파르타는 그리스 패권을 놓고...